• 제목/요약/키워드: compressive force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8초

인도네시아 저등급석탄의 무결합제 성형 특성 (Characteristics of Binderless Briquettes for Indonesian Low-Rank Coals)

  • 전동혁;임영준;김상도;유지호;최호경;임정환;이시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231-235
    • /
    • 2015
  • 저등급석탄을 건조하고 무결합제로 성형하는 경우에 대한 조건별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도네시아 산 두 종류의 저등급석탄을 전기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성형에 사용하였으며, 석탄의 수분별, 입도별, 성형압력별, 보관일수별로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성형특성을 비교하였다. 석탄의 수분별로는 10~15 wt%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석탄의 종류에 따라 가장 높은 강도를 갖는 수분 함량의 차이가 있었다. 석탄의 입도는 적을수록 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입도가 증가할수록 수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형압력이 높아질수록 성형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약 300 kN 이상에서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관일수별로는 약 일주일 동안 강도가 급격히 감소한 후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저등급석탄의 산지에서 고품위화시킨 석탄을 국내 반입하는 경우에 대한 성형석탄 제조 및 관리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확공형 앵커의 인발거동 특성 (Pullout Behavior Characteristics of Enlarged Cylinder Type Anchor Using Numerical Analysis)

  • 문준식;이민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13-118
    • /
    • 2017
  • 확공형 앵커에 대한 인발시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확공형 앵커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에서 확개각도의 변화에 따른 앵커의 지지력 비율 결과값과 앵커의 강선에 작용하는 축하중 결과값의 비교 분석을 통해 확개각도의 크기가 커질수록 앵커의 지지력 증대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확개각도가 $30{\sim}60^{\circ}$인 경우 앵커인장력에 따른 변형 및 응력분포 특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동일한 앵커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확개각도에 따라 상부 변위발생량의 차이로 인하여 마찰저항력 발현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확공형 비트가 상부를 원뿔형으로 굴착함에 따라 그라우팅부 상부 원뿔위치에서 최대압축력과 인장력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상부 그라우팅부의 인장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량-궤도 작용력에 대한 교량 단부에서의 레일지지점간격의 영향 (Influence of Rail Supporting Spacing of Railway Bridge Deck Ends on Bridge-Track Interaction Forces)

  • 최준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45-2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궤도 교량의 사용성 설계를 위한 연구로서 궤도 및 교량 설계변수들이 콘크리트 궤도의 레일지지점에서의 작용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궤도 구조에 작용하는 작용력을 구하기 위해서 각 레일 지지점의 간격이 다른 부등간격 이산지지보 모델을 유도하였다. 해석 변수는 교량의 교대 또는 교각 위치 부근의 신축이음부의 레일 지지점의 간격, 교량 거더의 받침에서부터 교량 거더 단부측의 마지막 레일지 지점까지의 거리, 그리고 추가 배치한 레일지지점의 수이다. 궤도 구조의 변위를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축하중, 거더의 단위 수직단차와 단부회전각이다. 해석결과로부터 레일지지점에서의 최대압축력과 최대부상력을 구하였으며 레일지지점의 간격이 작용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Free vibration of axially loaded Reddy-Bickford beam on elastic soil using the differential transform method

  • Yesilce, Yusuf;Catal, Seva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1권4호
    • /
    • pp.453-475
    • /
    • 2009
  •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f Bernoulli-Euler and Timoshenko beams on elastic soil is plenty, but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f Reddy-Bickford beams on elastic soil with/without axial force effect using the Differential Transform Method (DTM) has not been investigated by any of the studies in open literature so far. In this study,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f axially loaded Reddy-Bickford beam on elastic soil is carried out by using DTM. The model has six degrees of freedom at the two ends, one transverse displacement and two rotations, and the end forces are a shear force and two end moments in this study. The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of motion of the rectangular beam in free vibration are derived using Hamilton's principle and considering rotatory inertia. Parameters for the relative stiffness, stiffness ratio and nondimensionalized multiplication factor for the axial compressive force are incorporated into the equations of mo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natural frequencies. At first, the terms are found directly from the analytical solutions of the differential equations that describe the deformations of the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high-order theory. After the analytical solution, an efficient and easy mathematical technique called DTM is used to solve the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of the motion. The calculated natural frequencies of one end fixed and the other end simply supported Reddy-Bickford beam on elastic soil using DTM are tabulated in several tables and figures and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tical solution where a very good agreement is observed and the mode shapes are presented in graphs.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is Unlikely to Occur when Performing a Stable Weight Lifting Operation

  • Moon, Youngjin;Moon, Jehe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99-205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crease in barbell weight on closely related variable to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which are knee joint kinematics, joint load, joint moment, and maximum load attainment point during snatch of the weight lifting.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male Korean national weight lifting athletes (69 kg 5, 77 kg 5; age: $21.80{\pm}3.91yrs.$, height: $168.00{\pm}4.06cm$, weight: $75.00{\pm}4.02kg$, career: $7.8{\pm}3.99yrs.$, snatch records: $168{\pm}4.06kg$). The weight of the barbell during the snatch operation was set at 70%, 75% and 80% of the highest records for each subject studied. Results: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are as follows: With increased barbell weight, the extension moment of the left knee joint was higher in the 80% condition than the 70% (p<.001). However, other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maximum load attainment point of the ACL major injury variables, the first sub-factor was the internal shear force, the posterior shear force, the abduction moment, and the muscle activity of the VL. The second sub-factor was the extension moment of the knee joint, compressive force, adduction moment, and the third sub-factor was the muscle activity of BF.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sibility of ACL injury can be lowered when performing a stable snatch movement.

Frictional Anisotropy of CVD Bi-Layer Graphene Correlated with Surface Corrugated Structures

  • Park, Seonha;Choi, Mingi;Kim, Seokjun;Kim, Songkil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8권6호
    • /
    • pp.235-240
    • /
    • 2022
  • Atomically-thin 2D nanomaterials can be easily deformed and have surface corrugations which can influence the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2D nanomaterial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graphene can be grown in a wafer scale, which is suitable as a large-area surface coating film. The CVD growth involves cooling process to room temperature,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mismatch between graphene and the metallic substrate induces a compressive strain in graphene, resulting in the surface corrugations such as wrinkles and atomic ripples. Such corrugations can induce the friction anisotropy of graphene, and therefore, accurate imaging of the surface corrugation is significant for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friction anisotropy of CVD graphene. In this work, the combinatorial analysis using friction force microscopy (FFM) and transverse shear microscopy (TSM) was implemented to unveil the friction anisotropy of CVD bi-layer graphene. The periodic friction anisotropy of the wrinkles was measured following a sinusoidal curve depending on the angles between the wrinkles and the scanning tip, and the two domains were observed to have the different friction signals due to th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atomic ripples, which was confirmed by the high-resolution FFM and TSM imaging. In addition, we revealed that the atomic ripples can be easily suppressed by ironing the surface during AFM scans with an appropriate normal force. This work demonstrates that the friction anisotropy of CVD bilayer graphene is well-correlated with the corrugated structures and the local friction anisotropy induced by the atomic ripples can be controllably removed by simple AFM scans.

고강도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 behavior of High strength concrete)

  • 이준구;김우;박광수;김대중;이응찬;김한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774-780
    • /
    • 1999
  • The study of bond behavior between concrete and rebar has been performed for a long time. O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sed variation of bond behaviors quantitatively with varying the strength of concrete. Bond stress which observed below the neutral surface of beam and at connecting part of beam and column is affected by various bond parameters. Resistance of deformed bars which embedded in concrete to the pullout force is divided 1) chemical adhesive force 2) frictional force 3) mechanical resistance of ribs to the concrete and these horizontal components of resistance is being bond strength. We selected the most common and typical variable which is concrete strength among various variables. So we used two kinds of concrete strength like as 25MPa(NSC) and 65MPa(HSC). Tension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how bond behavior varied with two kinds of concrete strength. Concentration of bond stress was observed at load-end commonly in Tension Test of the initial load stage. At this stage stress distribution was almost coincident at each strength. As tension load added, this stress distribution had difference gradually and movement of pick point of bond stress to free-end and central section was observed. This tendency was observed at first and moving speed was more fast in NSC. At the preceeding result the reason of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discretion of chemical adhesion and local failure of concrete around rebar in load-end direction. Especially, when concrete strength was increased 2.6 times in tension test, ultimate bond strength was increased 1.45 times. In most recent used building codes, bond strength is proportioned to sqare root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ut comparison of normalized ultimate bond strength was considered that the higher concrete strength is, the lower safety factor of bond strength is in each strength if we use existing building codes. In Tension Test, in case of initial tensile force state, steel tensile stress of central cross section is not different greatly at each strength but tensile force increasing, that of central cross section in NSC was increased remarkably. Namely, tensile force which was shared in concrete in HSC was far greater than that of concrete in NSC at central section.

  • PDF

사질토와 점성토가 혼재하는 해안 매립지반에서 조합형 Sheet Pile의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The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ur of Combined Sheet Pile in the Reclaimed Ground Mixed by Sandy Soil and Clayey Soil)

  • 김병일;김영선;한상재;박언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9-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와 점성토가 혼재하는 해안 매립지반에서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설계법을 고찰하였고 지반 굴착시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형태(Built up, Interlocking, Welding) 및 해석방법(엄지말뚝법, 연속벽법)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예측 거동이 상이함을 탄소성 해석으로부터 확인하였다. Sheet Pile(측면말뚝) 부재력의 경우 연속벽체 해석법의 결과가 가장 보수적인 결과를 예측하였다.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최대 부재력을 토대로 각 부재별 응력비(발생/허용)를 분석하면 측면말뚝의 경우 휨, 버팀보의 경우 조합응력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유한요소해석결과 측면말뚝의 부재력은 단기 유효응력 해석 조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버팀보의 압축력은 압밀 해석에서 크게 나타났다. 탄소성 해석과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비교하면, 측면말뚝의 전단력과 버팀보의 축력은 탄소성 해석에서 크게 평가되었고, 측면말뚝의 휨은 유한요소해석의 단기 유효응력 조건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면말뚝의 변위는 탄소성 해석보다는 유한요소해석에서 더 크게 예측되었다.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의 실규모 실험을 통한 수리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Hydraulic Stability Using Real Scale Experimental on Porous Concrete Revetment Block)

  • 김봉균;서대석;박준석;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22-130
    • /
    • 2016
  • 최근 수십년간의 산업화로 인해 인간중심의 하천 개발이 이루어진 결과, 하천의 직강화 및 복개화 등 오수 및 하수의 배출구로만 활용되어 집중호우 등의 수해가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해 하천 및 제방의 사면을 각종 공법을 통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있으나, 관련 기준에서는 비탈높이, 최소비탈경사 등 최소한의 기준만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홍수해 방지를 위한 가장 중요한 특성인 소류력에 대한 검토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의 인공실험하천에서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을 설치하고, 유입유량을 조절하여 각 실험조건에 따른 유속 및 수심을 측정하여 소류력을 평가하였다. 다공성콘크리트블록의 압축강도 및 공극률 시험결과 압축강도는 16.6~23.2 MPa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실측공극률은 10.1%로 나타나 국내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소류력 시험결과 한계소류력은 $47.202N/m^2$으로, 하천설계실무요령에서 제시된 급류부의 소류력 범위인 $67N/m^2$은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블록 및 기반층의 유실이나 손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기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볼때 그 이상의 소류력에도 저항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을 추정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실험조건 등을 조정하여 실질적인 한계소류력 측정을 위한 실험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광중합형 임시충전재의 미세누출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icroleakage in Light-activated Temporary Filling Materials)

  • 황수현;유지수;김선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3-337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광중합형 임시충전재의 사용기간(1일 후, 3일 후, 7일 후)동안 구강 내의 수분과 온도변화 및 교합력에 의한 미세누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게 및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열 순환 횟수에 따라 충전재와 와동면 사이의 미세누출을 평가하고자 2종의 광중합형 임시충전재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중합형 임시충전재는 사용기간에 따라 측정한 무게는 증가되었다. 제품 간의 비교결과는 Quicks의 무게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Spacer의 압축강도는 사용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Quicks의 압축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Spacer에서는 3일차에서 압축강도가 크게 증가되었다. 3. 열 순환 횟수에 따른 미세누출은 7,000번 실시한 군에서 미세노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00번 실시한 군과 3,000번 실시한 군은 7,000번 실시한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낮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4. 사용기간에 따른 무게와 압축강도 및 미세누출사이의 상호연관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기간 경과에 따라 미세누출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수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누출이 증가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므로 향후 광중합형 임시충전재의 미세누출을 평가를 위해서는 습식분석을 통하여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는 재료의 조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부여하는 것이 미세누출 평가에 적절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