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nent protein

검색결과 1,198건 처리시간 0.029초

Membrane-Bound Protease FtsH Protects PhoP from the Proteolysis by Cytoplasmic ClpAP Protease in Salmonella Typhimurium

  • Hyungkeun Song;Eunna Choi ;Eun-Jin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9호
    • /
    • pp.1130-1140
    • /
    • 2023
  • Among the AAA+ proteases in bacteria, FtsH is a membrane-bound ATP-dependent metalloprotease, which is known to degrade many membrane proteins as well as some cytoplasmic proteins. In the intracellular pathoge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FtsH is responsible for the proteolysis of several proteins including MgtC virulence factor and MgtA/MgtB Mg2+ transporters, the transcription of which is controlled by the PhoP/PhoQ two-component regulatory system. Given that PhoP response regulator itself is a cytoplasmic protein and also degraded by the cytoplasmic ClpAP protease, it seems unlikely that FtsH affects PhoP protein levels. Here we report an unexpected role of the FtsH protease protecting PhoP proteolysis from cytoplasmic ClpAP protease. In FtsH-depleted condition, PhoP protein levels decrease by ClpAP proteolysis, lowering protein levels of PhoP-controlled genes. This suggests that FtsH is required for normal activation of PhoP transcription factor. FtsH does not degrade PhoP protein but directly binds to PhoP, thus sequestering PhoP from ClpAP-mediated proteolysis. FtsH's protective effect on PhoP can be overcome by providing excess ClpP. Because PhoP is required for Salmonella's survival inside macrophages and mouse virulence, these data implicate that FtsH's sequestration of PhoP from ClpAP-mediated proteolysis is a mechanism ensuring the amount of PhoP protein during Salmonella infection.

고단백 대두 품종 육성을 위한 종실의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단백질의 축적과 전기영동 유형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Biochemical Features of Soybean Seeds for Higher Protein Variety -With Emphasis on Accumulation during Matura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Proteins-)

  • 이종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5-166
    • /
    • 1977
  • 본 실험은 대두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을 품종면에서 밝혀 고단백 대두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를 보강코저 실시하였다. 광범위한 재래종을 포함한 우리나라 품종 46, 일본 품종 9, 미국계 품종 31등 도합 86품종을 동일조건에서 재배하여 종실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의 품종간 변이, 그들 성분 함량간의 상호관계, 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에 의한 종실 단백질 구성분 조합의 품종적 특성 그리고 그들과 단백질함량 및 기타 성분함량과의 상호관계를 분석 추구하였고, 고단백 품종 서해 20호, 저단백 품종 Shelby 및 중간형 광교의 종실성숙중 단백질 및 지방의 축적, 단백질구성분들의 소장을 종실 발달과정과 관계하여 그 품종간 차이를 밝히고저 하였다. 1. 공시 86품종의 종실 성분함량은 단백질 34.4(Capital)~50.6%(서해 20호), 지방 15.0(소립종)~27.9% (Capital), 탄수화물26.1(서해 20호)~35.7% (수계 6001), 회분 4.8(Comet)~6.6%(금강소립)이었다. 2. 단백질함량은 지방함량 및 탄수화물함량과 각각 -0.73$^{**}$ 및 -0.62$^{**}$ 고도의 부상관이 있었다. 공시 전품종중 단백질 및 지방함량이 모두 평균치이상인 품종은 13품종에 불과하였으며, 두 성분 모두 평균함량+표준편차 이상의 고단백 고지방인 품종과 평균함량+표준편차 이상의 고단백이면서 평균 지방함량을 갖고 있는 품종은 없었다. 3. 단백질함량 50.6~40.0% 범위에 있는 12품종에 대한 단백질의 필수아미노산 함유율은 32.82(Hill)~36.63%(부석)이었고 제한 아미노산인 함황 아미노산 함유율은 2.09(쥐눈콩)~2.73%(봉의)의 변이를 보였으며, 봉의와 서해 20호는 고단백이며 함황 아미노산 함량도 높았다. valine과 leucine 및 aspartic acid, glycine과 glutamic acid, leucine과 aspartic acid 간에는 고도의 정상관, glycine과 serine, valine과 phenylalanine, threonine과 proline, phenylalanine과 arginine, methionine과 glutamic acid, histidine과 lysine 간에는 유의 정상관, 그리고 isoleucine과 lysine 간에는 유의한 부상관이 있었다. 4. lysine 함량은 단백질 함량과 정산곤, isoleucine 함량은 단빅질 함량과 부상관을 보였으며, alanine, valine, leucine 함량은 지방함량과 각각 유의한 정산관을 보였다. 5. 대두 단백질은 7.5% acrylamide gel 전기영동에 의해 품종에 따라 12~16개의 구성분으로 분리되었으며, 이들중 주구성분들은 상대이동도가 0.06(a), 0.14(b). 0.24(d) 이었고, 구성분 b의 함량이 품종간에 가장 변이가 컸으며, 구성분 b는 그밖의 주요 구성분들의 함량과 부의 상관이 있었고, 구성분 a는 단백질 함량과 정상관이 있었다. 6. 종실단백질 구성분들의 조합 특성 면에서 공시 86품종은 11개 유형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품종은 미국품종에 비해 단백질구성분 조성이 훨씬 다양하였다. 7. 이동도가 매우 빠른 단백질 구성분 o(Rm 0.77) p(Rm 0.81)를 모두 갖고 있는 품종은 3품종, 모두 갖고 있지 않은 품종은 1품종이었고, 나머지 82품종은 o나 p중 한 구성분을 갖고 있었으며 그 분포율은 30 : 65 이었는데 미국계 품종은 우리나라 품종에 비해 구성분 o를 간고 있는 비율이 현저히 적었다. 8. 대두 종실은 개화후 22일까지 완만히, 그 이후 20~30일간 급속히 직선적으로, 그후 5~15일간 서서히 건물중이 증가되어 최고에 달하고, 개화후 12일부터 27일까지 단백질함량은 급격히 감소되는 반면 지방함량은 급격히 증가되고 그 이후부터 개화후 40~47일까지는 단백질과 지방함량 모두 서서히 증가된후 성숙기까지 큰 변이가 없었다. 9. 고단백 품종 서해 20호는 광교 및 Shelly에 비해 전 성숙기간에 대한 비율로 보아 성숙 초기의 단백질함량 감소기간이 짧고 감소율도 적었으며, 그 후 단백질함량 증가기간이 길고 증가율도 큰 특성을 보였으나, 지방 축적은 일찍 정지되었다. 저단백 고지방 품종 Shelly는 서해 20호 및 광교에 비해 전 성숙기간에 대한 단백질함량 감소기간이 길고 증가기간은 짧았으며, 지방함량의 완만한 증가기간이 상대적으로 특히 길었다. 11. 대두 종실의 성숙중 단백질 구성분 변화 정도은 품종간차가 뚜렷하였고, 완숙 종실의 단백질 구성분들이 모두 출현하는 시기는 종실의 단백질함량의 감소가 끝난 시기와 대체로 일치되었으며, 완숙종실에서 나타나지 않는 상대이동도가 가장 작은 (Rm 0.03) 단백질이 개화후 17일까지 존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없었다. 12. 고단백 품종 서해 20호는 광교 및 Shelby에 비해 단백질 구성분 a의 조성비율이 성숙 초기에서부터 계속 높았고 개화후 47일까지 계속 증가되었으나, 광교의 Shelby에서는 구성분 a의 조성비율이 개화후 27일경 이후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13. 단백질 구성분 b의 조성비율은 개화후 17일~42일 간에 계속적으로 증가되었는데, 고단백 품종서해 20호는 광교 및 Sheby에 비해 동기간에 그 증가율이 낮았다.

  • PDF

쌀단백질(蛋白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여지전기영동법(濾紙電氣泳動法)에 의(依)한 쌀단백질(蛋白質)의 획분(劃分)) (A Study on the Rice Protein (Fractionation of the Protein of Korean Rice by Paper Electrophoresis))

  • 이춘영;변시명;이홍원;김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0권
    • /
    • pp.15-21
    • /
    • 1968
  • 한국산(韓國産) 벼 9 품종(品種) (Japonica type)과 Indica type인 1품종(品種)을 대상으로하여 각(各) Protein fraction을 정량(定量)하고 여지전기영동(濾紙電氣泳動)으로 protein의 fraction을 행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각시료(各試料)에서 albumin은 distilled water로 추출(抽出)하고 globulin은 10% Nacl로, prolamine은 70% ethanol로 oryzenin은 0.05N-NaOH로 추출(抽出)하여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albumin은 0.26%, globulin은 0.65%, prolamine은 0.41%, oryzenin은 5.01%이었으며 albumin은 모든 시료(試料)에 대해서 거의 비슷하였고 globulin은 조생종(早生種), 중생종(中生種), 만생종(晩生種)의 차례로 증가하였으며 prolamine은 조생종(早生種)과 만생종(晩生種)이 거의 비슷하고 중생종(中生種)이 낮으며 oryzenin은 중생종(中生種), 만생종(晩生種), 조생종(早生種)의 순서로 증가(增加)된 경향을 보여주었다. 2. 10개 품종(品種)에 대해 albumin과 globulin은 phosphate buffer (pH 7.6, ${\mu}$ 0.18) , prolamine은 70% alcoholic buffer(pH 9.0, ${\mu}$=0.0095), orzenin은 Sorensen's buffer을 사용하여 여지전기영동(濾紙電氣泳動)을 행한 결과(結果)로서, albumin과 prolamin은 각시료(各試料)에서 모두 1 component였으며 globulin은 globunlin I, globunlin II의 두 component로 분리(分離)되었고 oryzenin은 시료(試料) 육우(陸羽) 132호(號), 등판(藤坂) 5호(號), 관산(關山) 재건(再建)에서는 oryzenin I, oryzenin II, oryzenin III의 3 component를 분리(分離)하였고 팔달(八達), 진흥(振興), 서광(瑞光), 은방주(銀坊主), 다마금(多摩錦), Pin Galw56의 6시료(試料)에서는 oryzenin II, oryzenin III의 2 component만 분리(分離)하였다. 3. 각(各) fraction을 여지전기영동(濾紙電氣泳動)하여 각(各) component의 농도곡선(濃度曲線)에 의해 함량(含量)을 구(求)한 결과(結果) albumin 0.26%, globulin I, 0.35%, globulin II, 0.32%, prolamin, 0.41%, oryzenin I, 0.30%, oryzenin II, 2.23%, oryzenin III, 2.66%이었다.

  • PDF

온도와 조성이 식품성분의 열전도도와 열확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Composition on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Diffusivity of Some Food Components)

  • 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57-363
    • /
    • 1986
  • 식품의 주요 구성 성분의 현탁액에 대한 열전도도와 열확산도를 $-40^{\circ}C\;-150^{\circ}C$의 온도 범위와 10%-60%의 농도 범위애서 측정하였다. 세 종류의 서로 다른 농도에서 측정된 실험값으로부터 가정된 모델에 의해 순수 성분의 열전도도와 열확산도를 각각의 온도에서 구한 다음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의 상수들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전시킨 모델을 사용하여 얻은 식품의 열전도도와 열확산도 수치를 기발표된 모든 액체식품의 데이타와 비교해 본 결과 3.8%의 오차가 있었다. 식품의 주요 구성 성분의 함량과 온도가 주어지면 본 연구에서 발전시킨 모델을 이용하여 열전도도와 열확산도 수치를 위의 오차 한계에서 구할 수 있다.

  • PDF

GFP 리포터를 이용한 외부 푸마르산 유도 dctA 유전자 발현 특성 파악 (Understanding of Extracellular Fumarate Induced dctA Gene Expression Profile Using GFP Reporter)

  • ;;김주한;홍순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4-1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외부의 푸마르산을 인식하는 DcuS/R TCS에 의하여 발현이 조절되는 dctA 유전자의 발현 특성을 GFP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1 mM의 푸마르산을 감지하여 GFP를 발현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개량된 E. coli는 간단한 dctA 프로모터와 GFP의 융합을 이용하여 푸마르산을 모니터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승된 푸마르산 농도 조건하에서 원활히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alysis of Molecular Pathways in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s with a Bioinformatics Approach

  • Wang, Yan;Li, Y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6호
    • /
    • pp.2561-2567
    • /
    • 2015
  •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is a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Our study aimed to reveal molecular mechanisms. Microarray data of GSE15471 (including 39 matching pairs of pancreatic tumor tissues and patient-matched normal tissues) was downloaded from Gene Expression Omnibus (GEO) database.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in PDAC tissues compared with normal tissues by limma package in R language. Then GO and KEGG pathway enrichment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online DAVID. In addi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and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was constructed to study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s through database STRING. A total of 532 DEGs were identified in the 38 PDAC tissues compared with 33 normal tissues.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top 20 DEGs could differentiate the PDAC tissues from normal tissues directly. In the PPI network, 8 of the 20 DEGs were all key genes of the collagen family. Additionally, FN1 (fibronectin 1) was also a hub node in the network. The genes of the collagen family as well as FN1 were significantly enriched in complement and coagulation cascades, ECM-receptor interaction and focal adhesion pathways. Our results suggest that genes of collagen family and FN1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DAC progression. Meanwhile, these DEGs and enriched pathways, such as complement and coagulation cascades, ECM-receptor interaction and focal adhesion may be important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PDAC.

제지 공정 적용을 위한 Cellulase의 정제 특성 및 처리 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Properties and Treatment Conditions of Cellulase for Papermaking Processes)

  • 김병현;전양
    • 펄프종이기술
    • /
    • 제30권1호
    • /
    • pp.18-28
    • /
    • 1998
  • The main protein peak was observed in fraction No.9 and 109 when cellulase seperation was conducted by use of DEAE-Sephadex. The protein obtained from fraction No.9 has the characteristics of Cx component and that from fraction No.109 characteristics similiar to $C_1$ component. The effective reaction condition of the ensyme used was $40^{\circ}C$ in temperature. pH 5.0 and 90 minutes in treatment time. For the case of $C_1$ pH 5.5 in temperature range of $30^{\circ}C 50^^{\circ}C$, 4.0 5.5 in pH, and over 30 minutes of treatment time, the reaction was in the range of 80% of the maximum. Affinity of enzyme increased as freeness, increased, and this effect was more visible in fiber than in fines.

  • PDF

개구리目 혈색소와 혈청단백질의 전기영동 (Electrophoresis of the Hemoglobins and the Serum Proteins of Korean Anuran)

  • 박상윤;조동현;김상엽;김선균;김창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9-162
    • /
    • 1974
  • 韓國産 개구리 目의 8種에 대하여 血色素와 血淸 단백질의 cellulose acetate 電基泳動圖를 조사하였다. 혈색소의 전기영동도는 종에 따라 그 구성성분의 수와 이동도에 차이가 있었다. 두꺼비와 금개구리에서는 단일 밴드로 나타났고, 여타의 종에서는 2밴드로 분리되었다. 혈청단백질의 전기영동도는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동물의 혈청단백질에서는 다형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실험재료에서 albumin은 뚜렷이 나타나지만 prealbumin은 나타나지 않았다. 두꺼비에서는 albumin과 postalbumin 사이가 분명하게 분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혈청단백질의 전기영동도에서 두꺼비와 다른 종들을 쉽게 구별할 수가 있었다.

  • PDF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혈맥주입 후 나타나는 혈장의 Proteom 분석 (Analysis of Serum Proteom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 이동희;귄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7
    • /
    • 2006
  • Objectives :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serum protein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Methods : Blood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and only the serum was taken. Then differences in the spots on the scanned image after carrying out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were located and conducted mass analysis and protein identification. Results :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erum proteins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1. 28 spots were identified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2. In confirming manifestation degree, spots with more than two-times increase were 204, 1302, 2205, 3105, 7104, 8006, spots with more than one-time increase were 1101, 1505, 2013, 2403, 3009, 3010, 4002, 4009, 6704, 8101, and spots with decrease were 205, 801, 803, 3205, 5202, 6105, 6106, 7103, 9001, 9003. 3. After conducting protein identification, proteins 205, 804, 1302, 4009, 6105, 6106 are unidentified yet, and 1l01 is unnamed protein. Protein 204 is identified as complement receptor CR2-C3d, 801 as YAPl protein, 803 as antitrypsin polymer, 1505 as PRO0684, 2013 and 3010 as proapolipoprotein, 2205 as USP48, 2403 as vitamin D binding protein, 3009 as complement component 4A preprotein, 3105 as immunoglobulin lambda chain, 3205 as transthyretin, 4002 as Ras-related protein Ral-A, 4204 as beta actin, 5202 and 7104 as apolipoprotein Ll, 6704 as alpha 2 macroglobulin precursor, 7103 as complement component 3 precursor, 8006 as testis-specific protein Y, 8101 as transferrin, 9001 as (Alpha-Oxy, Beta-(Cl12g)deoxy) T-State Human Hemoglobin, and 9003 as human hemoglobin. 4. Immune protein CR2-C3d(204), which acts against microbes and pathogenic organisms, was increased by more than two-tim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5. Antitrypsin(803), which is secreted with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lungs, was reduc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6. Proapolipoprotein(2013, 3010) and apolipoprotein(7104), key components of the HDL-cholestero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arteriosclerosis, were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7. Vitamin D binding protein(DBP, 2403), protecting the lung at the time of inflammatory response, was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8. Transthyretin(TTR, 3205), which is the main protein causing 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FAP), was de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9. Ras-related protein Ral-A(4002) that controls phospholipid metabolism, cytoskeletal formation, and membrane traffic, was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10. Testis-specific protein Y(8006), which takes part in determination of the gender, was increased by more than two-tim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11. Transferrin(8101), which balances the iron level in the body, was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puncture. Conclusion : Abov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intravenous injection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induce changes in serum proteins and this research can be a pioneer work in finding biomarkers.

Characterization of the Open Reading Frame 35 of Bombyx mori Nucleopolyhedrovirus

  • Zhu, Ying Min;Li, Guo Hui;Yao, Qin;Chen, Ke Ping;Guo, Zhong Ji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1권2호
    • /
    • pp.157-162
    • /
    • 2010
  • Open reading frame 35 (bm35) of the Bombyx mori nucleopolyhedrovirus (BmNPV) is a special gene whose homologues are only found in some group-I nucleopolyhedroviruses, suggesting that bm35 plays a specific role in the viral life cycle. This paper described the characterization of BmNPV bm35. Computerassisted sequence analysis shows that a putative RING finger motif is observed in the protein, Bm35 encoded by bm35. The coding sequence of bm35 was amplified and subcloned into the vector pET30a(+) and the $(His)_6$-tagged fusion protein His-Bm35 was expressed in the Escherichia coli BL21 (DE3) LysS cells. The bm35 transcript and Bm35 protein were detected in BmNPV-infected BmN cells at 12~48 h post infection (p.i.)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using the polyclonal antibody generated by immunizing a rabbit with purified $(His)_6$-tagged Bm35, suggesting that bm35 is synthesized in the late stage of BmNPV infection cycle. Bm35 was not a structural component associated with budded virus (BV) and occlusion derived virus (ODV). These data indicated that bm35 is a functional gene in the BmNPV life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