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x viscosity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6초

반응압출법에 의해 개질된 폴리카프로락톤의 물성에 관한 연구 (Properties of Polycaprolactone Modified by Reaction Extrusion)

  • 신부영;장상희
    • 청정기술
    • /
    • 제12권4호
    • /
    • pp.198-204
    • /
    • 2006
  •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을 반응개시제를 첨가하여 반응압출법으로 개질시켰다. 개시제의 함량은 중량 백분율로 0.1, 0.3, 0.5 그리고 1.0% 이었고 이축압출기의 온도는 $130{\sim}180^{\circ}C$로 운전하였다. 개질된 폴리카프로락톤에 대한 열분석, 분자량 분석, 기계적 강도 측정, 유변학적 특성 및 생분해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개질된 폴리카프로락톤은 순수 폴리카프로락톤과 비교하여 여러 물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개시제 1% 개질 폴리카프로락톤은 약 20%의 결정화도 감소, 약 50%의 인장탄성률 상승을 보였고, 복합점도, 유변학적 특성인 저장탄성률 및 손실탄성률의 큰 증가를 보여주었다. 0.1%의 가장 적은 개시제로 개질된 폴리카프로락톤의 생분해도는 순수 폴리카프로락톤과 비슷한 생분해도를 보였으나, 나머지는 생분해도가 증가하였다.

  • PDF

패널법과 전산유동해석법의 결합을 이용한 날개단면 주위 점성유동 해석 (Viscous Flow Analysis around a Blade Section by a Hybrid Scheme Combining a Panel Method and a CFD Method)

  • 오진안;이진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0권5호
    • /
    • pp.355-363
    • /
    • 2013
  • Panel methods are essential tools for analyzing a fluid-flow problem around complex three dimensional bodies, but they lack ability to solve viscous effects. On the other hand, CFD methods are considered as powerful tools for analyzing fluid-flow characteristics including viscosity. However, they also have short falls, requiring more computing time and showing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urbulence models and grid systems. In this paper a hybrid scheme combining a panel method and a CFD method is suggested. The scheme adopts a panel method for far-field solution where viscous effects are negligible and a CFD method for the solution of RANS equations in near-field where viscous effects are relatively strong. The intermediate region between the far-field and near-field is introduced where the calculated field point velocities by the panel method are given as boundary velocities for the CFD method. To verify the scheme, calculated results, by a panel method, a CFD method and the hybrid scheme, for a two dimensional foil section are compared. The suggested hybrid scheme gives reasonable results, while computation time and memory can be dramatically reduced. By using the hybrid scheme efforts can be concentrated for the local flow near the leading and trailing edges, by providing more dense grid system, where detailed flow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Corrosion and Materials Selection for Bitumen with Heavy Naphthenic Acid in Canadian Oil Sands

  • Eun, Thomas Jung-Chul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6호
    • /
    • pp.350-361
    • /
    • 2008
  • Canada's oil sands contain one of the largest reserves of oil in the world. According to recent estimates, there are nearly 180 billion barrels of oil in the Canadian oil sands trapped in a complex mixture of sand, water and clay. More than 40 companies have been currently operating or developing oil sands facilities since the first production in 1967. The process of oil sands upgrading is similar with down stream refinery, but the corrosion environment in upgrading refinery is often more severe than in the refinery because of high chlorides, mineral contents, carbonic acid, heavy viscosity and fouling, higher naphthenic acid [$NA-R(CH_{2})nCOOH$], and greater sulfur contents. Naphthenic acid corrosion (NAC) which is one of the most critical corrosion issues in up & downstream refinery plants was observed for the first time in 1920's in refinery distillation processes of Rumania, Azerbaizan (Baku), Venezuela, and California. As a first API report, the 11th annual meeting stated sources and mechanism of NAC in early 1930's. API has been developing the risk base standards, such as API RP580, 571, and Publication 581 which are based on the worst NAC damage in the world since 2000. Nevertheless not only the NAC phenomena and control in Canadian sands oil process are not much widely known but also there are still no engineering guidances for the Canadian sands oil in API standards. This paper will give NAC phenomina and materials selection guidance against NA environment in Canadian oil sands upgrading processes.

전자선 조사에 의해 상용화된 PLA/PCL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유변학적 성질 (Morphology and Rheological Property of PLA/PCL Blend Compatibiliz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신부영;조백희;홍기헌;김봉식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88-59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단량체인 glycidyl methacrylate(GMA)와 전자선을 이용하여 비혼화성 poly (lactic acid) (PLA)/polycaprolactone (PCL) 블렌드의 상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GMA를 포함하는 PLA/PCL 블렌드에 10, 50, 100 kGy의 전자선을 조사하여 시료를 제조한 후 모폴로지 및 유변학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50과 100 kGy로 조사된 블렌드는 크게 변화된 계면 형상을 보였고, 복합점도와 저장탄성률 또한 전자선을 조사하지 않은 블렌드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100 kGy로 조사된 PLA/PCL(9/1) 블렌드의 복합점도는 순수 PLA보다 약 100배 가까운 증가를 보였다. 기능성 단량체 첨가와 적절한 전자선 조사로 비혼화성 PLA/PCL 블렌드의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국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거동 특성 연구 (A Study on Rheological Behavior of Korean Straight Asphalts)

  • 김남호;황성도;박용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21-133
    • /
    • 1999
  • 본 논문은 국내 정유사에서 생산되는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에 대하여 노화에 따른 거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5개 정유회사에 생산되는 두가지 등급의 아스팔트 제품(침입도 85-100, 침입도 60-70)을 포함한 총 9종에 대하여 노화 단계별(노화 이전, 단기노화, 장기노화)로 국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침입도$(25^{\circ}C)$, 점도$(50^{\circ}C\;135^{\circ}C)$, 연화점, 및 DSR 시험$(-20^{\circ}C\sim30^{\circ}C)$을 수행하여, 아스팔트의 물성 변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거동은 고온($60^{\circ}C$근방) 및 상온$(10-30^{\circ}C)$범위에서 정유사 제품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저온의 경우에는 정유사 제품이나 등급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어느 정유사의 아스팔트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저온에서의 온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은 다소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판단되지만, 소성변형 및 피로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상이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Dispersion on the Electrical, Morpholog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carbonate/Multi-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 Han, Mi-Sun;Lee, Yun-Kyun;Kim, Woo-Nyon;Lee, Heon-Sang;Joo, Jin-Soo;Park, Min;Lee, Hyun-Jung;Park, Chong-R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11호
    • /
    • pp.863-869
    • /
    • 2009
  • The effect of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dispersion on the electrical, morpholog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carbonate (PC)/MWCNT composites was investigated, with and without pretreating the MWCNTs with hydrogen peroxide oxidation and lyophilization. The resulting PC/treated MWCNT composites showed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PC/untreated MWCNT composites. The morphological behavior indicated the treated composites to have greater dispersion of MWCNTs in the PC matrix.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iciency (EMI SE) of the treated composit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ones. Rheological studies of the composites showed that the complex viscosity of the treated composites was higher than the untreated ones due to increased dispersion of the MWCNTs in the PC matrix,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MI SE and morphological studies of the treated composites. The latter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MI SE of the treated composites were mainly due to the increased dispersion of MWCNTs in the PC matrix.

흡수 분광법을 이용한 세정 과정에서 흡착된 오일의 평가 (A Method to Determine Amount of Adsorbed Oil in Hair Washing Using Absorption Spectroscopy)

  • 송상훈;김현영;손성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5-116
    • /
    • 2019
  • 두발이나 인체 세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일 흡착은 내부 성분량 변화와 컨디셔닝 기능에 큰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을 흡착재에서 직접 검출하여 편리하게오일량을 정량할 수 있는 흡수 분광 평가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오일 흡착량에 영향을 미치는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을 판단하기 위해서 음이온과 양쪽성 계면 활성제간 몰비율에 따른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을 조사하였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일 흡착량 평가에 가장 적합한 오일 점도값을 확보하였고 세정제의 계면활성제간 몰비 조정 등을 통해 모발 대체 흡착재와 흡착 및 용출에 필요한 가장 최적의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렇게 확립한 평가법으로 자외선 흡광도가 있는 오일을 자외선 흡광도가 없는 실리콘 같은 오일 대신 배합해서 흡착시키고 용출시킨 후 흡수 분광법으로 오일 흡착량을 정량 계산해 본 결과를 HPLC의 질량분석과 AFM을 이용한 점착력 결과와 비교하였다. 오일 흡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양이온 폴리머를 다르게 하고 복합 폴리머를 사용해 본 결과 본 평가법이 모든 오일의 흡착량 평가에 적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쉘-튜브 열교환기에서의 쉘쪽 유체의 특성에 따른 열교환기 성능 변화 예측 사례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Performance Estimation by Changing Shell-side Fluid Characteristics)

  • 백승환;정영석;조기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37
    • /
    • 2019
  • 쉘-튜브 열교환기가 나로우주센터 추진기관종합시험장(PSTC)에 설치되었으며, 이 열교환기는 극저온의 헬륨을 고온의 열매유와 열교환하여 약 500 K 까지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헬륨의 온도가 설계보다 100 K 낮게 나옴에 따라, 성능저하의 원인으로 열매유의 격막효과가 지목되었다. CFD 해석을 통해 격막효과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격막효과에 의한 열교환기 성능저하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가적으로 열교환기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열매유 교체에 따른 열교환기 성능 변화를 알아보았다. 열매유를 사용하는 열교환기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500 K 부근에서 점성이 낮아야 하고, 열전도도가 높아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진기관종합시험장에서 운용된 극저온 헬륨과 고온 열매유의 열교환 시스템의 시험 결과를 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산균의 종류 및 귀리 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at Addition and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 이미자;양지영;김현영;송승엽;서우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4-611
    • /
    • 202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ng oat and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Yogurt was fermented with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LA),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 bulgaricus (LB),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sei (ST) and quality properties, β-glucan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were estimated. The quality of control and oat added yogurt (O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strain and combination. The addition of oats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decreased the pH, and increased the titratable acidity and count of the viable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Acid production was highest in ST, with the complex strains containing ST and LALBST showing high quality characteristics. The viscosity of oat yogur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LALBS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β-glucan content of OY was 0.14-0.2%, and the orga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oats.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addition of oats and a combin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폴리카보실란 전구체의 용매 처리에 따른 열적 및 유변학적 특성 분석 (Thermal and Rheological Characterizations of Polycarbosilane Precursor by Solvent Treatment)

  • 송예은;주영준;신동근;조광연;이두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23-30
    • /
    • 2022
  • 폴리카보실란은 탄화규소 섬유 방사와 세라믹 제조를 위해 필요한 중요한 전구체이며, 이 전구체는 제조방법 및 공정에 따라 고내열성 및 내산화성 및 연속적인 탄화규소 섬유 생산 능력이 달라진다. 탄화규소 섬유는 폴리카보실란의 합성, 정제 및 분자구조제어기술,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용융방사 및 안정화,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본 논문에서는 폴리카보실란 전구체를 다양한 용매처리를 통하여 전구체 내에 존재하는 미반응물 및 저분자량의 정제효과를 파악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온도에서의 열처리에 따른 폴리카보실란 전구체의 중합 및 네트워크 재배열에 의한 변화에 대해 열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폴리카보실란 전구체의 유변물성 특성을 통해 용매처리 및 열처리에 따른 복합점도 및 구조적 배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