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is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초

천문학적 공간 개념 측면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및 조직의 특징 탐색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 유은정;박경진;정찬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480-497
    • /
    • 2021
  • 본 연구는 천문 영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및 조직의 특징을 천문학적 공간 개념 이해라는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우주' 영역 성취기준의 해당 단원을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찾아 텍스트, 삽화,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귀납적으로 도출한 공간 개념 분석 준거에 따라 중등학교 교과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학습 내용의 적정화를 준수하고자 실생활과 연계된 관찰 가능한 천체를 대상으로 개념보다는 현상 위주로 내용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관찰과 현상 위주의 실생활과 연계된 천체 관측 학습 내용이 초등학생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학생들의 지적 참여를 격려하기 위해서는 '왜'라는 질문에 대해 학생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단순히 과학적 실행을 통해 학생들이 관찰한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에 주목하기보다, 과학적 실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전이 가능한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핵심 개념에 대한 내용 조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용수학 교과서의 계산기 관련 단원 내용 비교 분석 (Analysis and comparison on the Contents including Calculator Use in Applied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고유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35-60
    • /
    • 2006
  • In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the use of technological tools including calculator and computer are generally recommended through the seventh subjects related to mathematics emphasized, and especially in 'Applied Mathematics' subject, their use are more strongly emphasized and reflected. The total four kinds of textbooks of Applied Mathematics includes contents on their use.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are contents on calculator use, how they are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Applied Mathematics Textbook. Furtherm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n those factors of four kinds of textboo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ultimately hope to suggest how effectively calculator use be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textbook both in Applied Mathematics and the other mathematics subjects.

  • PDF

A Comparison between Editions A and B of Experimental Textbooks in Ordinary Senior High Schools in China

  • Jin, Meiyue;Jia, P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185-196
    • /
    • 2007
  • In order to study the new curriculum, as well a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new textbooks well, the authors make horizontal comparisons between Editions A and B of Experimental Mathematics (2) textbook in ordinary senior high schools (Grades 10-12) of PEP Edition, which focuses on the topic of line slope. The interview was made with 11 selected teachers who are teaching the content in the light of Edition B. It was found that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the introduction of concepts and the exercises. The interviews showed that teachers were familiar to the contents of Edition A and saw it reasonable, because few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Edition A and the old Edition. The teachers also viewed that though the contents of Edition B were easy and fit to self-educated, but its reasoning is not clear, and the examples are not enough so that the teachers need to add additional examples.

  • PDF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II - 중학교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ion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 Focused on the Area of Geometry -)

  • 정환옥;노정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1-14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as well as in the methods of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in Korean and German mathemat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research we investigated only the area of geometry, and in particular this study performed in-depth analysis concerning 4 subjects; namely congruences of triangles, special points in a triangle, similarity of figures and the theorem of Pythagoras.

  • PDF

시각과 시간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im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남지현;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513-5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시각과 시간 내용을 종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지도에 대한 함의점을 얻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시각과 시간의 여러 가지 학습 주제 중 시계 읽기, 시간 단위, 시간 계산을 선정하여, 지도 시기, 지도 방법, 교수 표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서 우리나라 교육과정별 교과서의 시각과 시간 내용의 지도 시기 및 방법에 관한 특징 및 차이점을 제시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각과 시간의 지도 및 교과서 구성을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 (Content Diversity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Weight of an Object" Unit)

  • 신정윤;박상우;정현지;홍미나;김현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307-324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국정 교과서와 동 교육과정에 따라 2022년에 출판된 초등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의 '물체의 무게' 단원에 진술된 과학 개념의 서술과 탐구활동 내용의 특징을 비교하여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의 내용 다양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의 설명텍스트에서 개념 서술 내용의 흐름, 개념 서술 과정에서의 특이점을 분석하였고,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 수, 연결중심성이 높은 중심 단어를 분석 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에서 탐구활동 유형, 탐구과정기능 및 탐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검정 교과서에서는 과학 개념의 서술이나 탐구활동 내용 구성에서 다양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하위 개념의 포함 여부, 중심 단어 등이 교과서별로 유사하였다. 탐구활동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탐구활동 내용과 탐구 유형, 탐구과정기능이 유사하였다. 특히 이전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탐구활동 주제나 실험 방법을 도입한 경우는 없었다. 하지만 동일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정 교과서 체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노력들이 일부 시도되고 있었다. 핵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하위 개념의 배치 순서가 교과서마다 달라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이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탐구활동의 내용은 동일하였지만 기존 실험에서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 탐구 활동 준비물이 교과서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검정 교과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시도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IMSS 2019의 8학년 지구과학 평가틀을 이용한 남한과 북한 지구과학 내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Earth Science Curriculum using the TIMSS 2019 Eighth Grade Earth Science Evaluation Framework)

  • 박기락;박현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1-2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 지구과학 내용의 학습 시기와 학습량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설계 및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남한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과학 교과서와 고등학교의 통합과학과 지구과학 I·II 교과서이며, 북한은 초급중학교의 자연과학 1·2와 조선지리 2, 고급중학교의 지리 1 교과서이다. TIMSS 2019의 8학년 지구과학 평가틀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은 반복 학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습 이해에 효과적인 반복 학습이 적용된 내용은 8학년까지 1개에 그친다. 둘째, 남한은 학습 시기 조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북한과의 내용 시기 차이가 발생하고 TIMSS 기준 50%에 해당하는 내용의 학습 시기가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남한과 북한은 학습하지 않은 TIMSS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제 사회에서 교육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향후 남·북한의 지구과학 내용에 대한 접근 방법 비교 분석과 통합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실질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계산적 사고 교육을 위한 중학교의 학습요소 추출과 정보 교과서 분석 (Extraction of Learning Contexts and Analysis of Informatics Textbooks in Order to Teach The Computational Thinking in Middle School)

  • 최현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5-54
    • /
    • 2013
  • 계산적 사고는 최근 정보 교과의 교육과정과 컴퓨터 교육학계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국외의 연구와 비교하여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기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계산적 사고에 대한 정의, 학습 단계, 학습 요소를 국외 연구를 참조하여 전문가 설문을 통해 연구하였다. 또한 연구된 학습요소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계산적 사고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계산적 사고 학습을 위해 필요한 3단계와 13가지의 학습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고, 현재의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 수집을 비롯한 5개의 학습 요소가 제외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7종의 인정 정보 교과서는 10개의 학습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통일대비 남북한 정보통신교육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cs Education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박정호;김영기;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7-165
    • /
    • 2007
  • 본 연구는 통일대비 정보통신교육 통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남북한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은 소학교에서는 정보통신교육이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중학교에서 주당 2시간씩 필수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재학교, 제1중학교, 일반중학교 등 학교수준에 따라 교육과정에 차이가 있었고, 특히 일부 수재학교에 집중적인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다. 둘째, 컴퓨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한의 컴퓨터 교과서는 영역별로 골고루 내용이 선정되어 있었는데 북한의 경우 컴퓨터의 기초지식 및 문서작성에 대부분이 할애되어 있었으며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최신의 내용이 전혀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BASIC 프로그래밍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활용 중심인 남한의 교육과 대조를 보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의 비례 추론에 대한 연구 (Study on Proportional Reaso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정은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505-516
    • /
    • 2013
  • 이 연구는 비례 추론의 본질이 무엇이며, 비례 추론이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알아보고 비례 추론을 개발하기 위한 요인 중 과제 요인에 초점을 맞춰 지도 방향이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어떠해야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비례 추론은 비례, 비, 비율, 비례식과 관계된 추론으로서, 공변과 다중 비교의 의미를 포함하는 양적 및 질적 추론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비와 비율, 비례식, 정비례와 반비례 등 비례 추론과 관련된 내용을 지도하고 있으나 닮음, 속도, 농도, 확대도와 축도 등 다른 교과와 관련된 내용들은 지도하지 않거나 약화시키고 있다. 공변과 관련된 내용은 비와 정비례, 반비례 등에 포함되어 있으나 전개 방식이 동적이라기보다는 정적인 방식이다. 특히 비례식에서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측치를 구하는 데 치중하고 동치인 비를 생각하고 양변의 구조적 유사성을 의식하도록 유도하지는 않는다. 또한 비를 비형식적으로 비교해보거나 비례 상황과 비비례 상황을 구별하는 활동을 찾아볼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례 추론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작업에서 이를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