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ramy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보리-밀 복합분(複合粉)의 라면제조(製造) 및 제품특성(製品特性)에 관(關)하여 (A Note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Ramyon (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Using Barley-wheat Composite Flours)

  • 유정희;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83
    • /
    • 1977
  •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paration of Ramyon using composite flours of raked barley (20 or 30%)-wheat(80 or 70%) in commercial plant scale and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Ramyon made from those flours. The naked barley(20%)-wheat(80%) flour gave acceptable Ramyon-making characteristics during the continuous Ramyon manufacturing process. The composite flours had a higher water absorption rate in kneading process and oil absorption value of the Ramyon product than those of wheat flour alone. Even though the Ramyon of composite flours showed a little inferior value compared with wheat flour alone in the cooking and texture characteristics, sensory panel scores of Ramyon indicated that the naked barley (20%)-wheat(80%) flour was acceptable in Ramyon.

  • PDF

라면유지(油脂)의 안정성(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 제2보 공장규모에서의 라면 Frying 유지(油脂)의 성상변화(性狀變化) - (Stability of Lipid in Ramyon(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 II. Chemical Changes of Frying-fats during Frying Process in Ramyon Producing Plant -)

  • 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1
    • /
    • 1973
  • 라면제조(製造)과정중 frying 유지(油脂)(주원료 유지(油脂)는 beef tallow, 유지회전율(油脂回轉率) 9%/hr, 가열온도(加熱溫度) $140{\pm}10^{\circ}C)$의 안정성(安定性)을 작업시간 경과에 따라 공장규모(工場規模)로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frying 유지(油脂)의 carbonyl 가(價) 및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의 변화(變化)는 비교적 적었고, 산가(酸價) 및 착색성(着色性)은 다소(多少)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Silicic acid column 을 이용한 liquid partition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하여 중합물(重合物)을 검토한 바, 대부분(大部分)이 monomer 이었으나 polar fraction에서 미량(微量)이나마 frying 시간의 경과에 따른 dimer 의 증가를 주목(注目) 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는 현저한 변화는 없었으나 linolenic, linoleic 가 증가한 반면에 stearic, palmitic acid가 감소하였으나 적은 량(量)이었다. 3) 시간경과에 따른 각 시료(試料)의 시험저장결과, 신선유지(新鮮油脂)는 저장 초기(初期)에 있어서 다른 사용유(使用油)에 비(比)하여 중량증가(重量增加) 및 carbonyl 가(價) 공(共)히 안정(安定)한 경향이었고, 저장중 사용유간(使用油間)에 있어서 안정성(安定性)의 차이는 적었다.

  • PDF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이 라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lour Protein Contents on Ramyon (deep-fried instant noodle) Quality)

  • 정구식;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49-655
    • /
    • 1991
  • 단백질 함량이 9.12-9.78%인 HRW-WW와 DNS-WW 밀가루를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제조한 라면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조리된 라면의 무게와 부피는 일정한 조리시간에서 단백질 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에 따른 HRW-WW와 DNS-WW 라면의 조리 성질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라면을 4분 조리한 후 무게와 부피는 HRW-WW의 경우 파리노그라프와 익스텐소그라프의 지표와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아밀로그라프의 지표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DNS-WW의 경우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라면의 관능검사 결과 적정 단백질 함량은 9.28-9.62%이었고 HRW를 DNS로의 대체 효과는 없었다.

  • PDF

라면스프류의 감미성분(感味成分) 분석연구 (Studies on the Principal Taste Components in Soup Base of Commercial Ramyons)

  • 김현위;김영준;배수경;심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8-32
    • /
    • 2001
  • 시판 라면제품(봉지면 25시료, 용기면 11시료)을 대상으로 하여 짠맛, 단맛, 감칠맛과 관련한 성분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객관화하고 수치화하였다. 짠맛성분인 $Na^+$ 함량(봉지면 $18.73{\pm}3.18%$, 용기면 $17.62{\pm}1.92%$)을 분석하여 NaCl 함량을 구한 결과, 봉지면 20.90%, 용기면 18.16%이었으며, 감칠맛 성분인 glutamic acid 함량(봉지면 $10.50{\pm}3.78%$, 용기면 $10.47{\pm}1.68%$)를 분석하여 MSG 함량을 구한 결과는 봉지면 12.08%, 용기면 12.04%로 비슷하였다. 또한 GMP, IMP 함량은 봉지면 $0.15{\pm}0.06%$, $0.20{\pm}0.11%$, 용기면 $0.14{\pm}0.03%$, $0.18{\pm}0.05%$이었다. 단맛성분인 유리당(sucrose, glucose, fructose)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당의 종류별 감미도 계수(sucrose 1.0, glucose 0.7, fructose 1.1)에 따라 sucrose기준으로 환산하여 감미도를 비교한 결과는 봉지면 $19.85{\pm}5.68%$, 용기면 $18.02{\pm}7.82%$이었다. 따라서, $Na^+$, glutamic acid 및 유리당 분석법이 라면 중의 NaCl, MSG, 감미도를 알아내는 간단하고 정확한 기술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라면 시제품(試製品)의 산패(酸敗)에 미치는 소금 농도(濃度)의 영향(影響)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Rancidity Development of Sample Ramyon Products, Deep-Fried Instant Noodles)

  • 김태웅;허태련;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6
    • /
    • 1975
  •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순수(純粹)한 소금을 각각(各各) 0, 1, 2, 2. 5, 3, 4% 함유(含有)하는 라면 시제품(試製品)을 공장시설(工場施設)을 이용(利用)하여 제면(製麵)한 후 본실험실(本實驗室)에서 정제(精製)된 우지(牛脂)로 $140^{\circ}C$에서 90초간 튀김하였다. 이 라면 시제품(試製品)을 $45.0^{\circ}C{\pm}1.0^{\circ}C$의 항온기(恒溫器)에서 50일간(日間) 암소(暗所) 저장(貯藏)하면서 5일(日)간격으로 POV 와 TBA value를 측정(測定)하여 함유(含有)된 여러 농도(濃度)의 소금이 라면 시제품(試製品)의 산패(酸敗)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POV 변화(變化)는, 25일(日)까지는 모두 완만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control은 19. 1로 45일(日)째부터 1, 2, 2. 5, 3%는 각각(各各) 12. 6, 13. 2, 14. 6, 15. 3으로 30일(日) 이후(以後)부터 4%는 10. 8로 20일(日) 이후(以後)부터 급격(急激)한 POV 의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POV 증가율(增加率)은 소금 함량순(含量順)과 같았다. 2) TBA value 는, 15일(日)까지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control 은 11. 4인 40일(日)째부터, 1, 2, 2. 5, 3%의 소금 함유(含有) 라면은 각각(各各) 10. 2, 14. 3, 15. 8, 15. 3으로 30일(日)째부터, 4%는 25일(日)의 13.8 이후(以後)부터 증가(增加)가 시작(始作)되었다. Malonaldehyde 증가율(增加率)은 소금 함량(含量)의 순(順)과 같았다. 3) POV 의 TBA value 의 상관(相關) 관계(關係)는 직선적(直線的)이었으며 소금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regression curve 의 구배(句配)는 증가(增加)하였다. 4) 소금은 본(本) 실험(實驗)에 사용(使用)한 라면 시제품(試製品)의 산패(酸敗)를 촉진(促進)시켰으며 산패촉진(酸敗促進) 순서(順序)는 소금 함량(含量)과 비례(比例)하지는 않았으나 그 함량(含量) 순서(順序)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