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ntary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4초

조립토 하천제방의 수위파형결정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Hydrograph Determination for Cohesive Soil Levee)

  • 김진만;김지성;오은호;조원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81-92
    • /
    • 2014
  • 하천제방 건전도 평가는 하천설계기준 해설(2009),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해설(2009) 등 관련 기준을 토대로 한계동수경사법, 한계유속법 등에 의한 파이핑 안전성과 제내지 및 제외지의 활동안전성 평가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때 수위파형은 건전도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설계입력자료이나 관련 국가기준에서 그 결정방법을 제시하지 못함으로서 부정확한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문산제를 대상으로 평수위 상승, 홍수위 지속, 수위하강, 홍수빈도 등 개별 수위파형을 변화시켜가면서 제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합리적인 수위파형특성을 제안하였다. 평가결과, 문산제 조립토 제방의 설계수위파형은 최대 57시간 이상의 평수위상승시간 및 53시간 이상의 홍수위지속시간 등을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남병길의 <구장술해九章術解>의 교육적 활용 방안 (Pedagogical Approach of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and Nam Byung Gil's GuJangSulHae)

  • 정해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03-116
    • /
    • 2011
  • 동아시아 수학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문헌은 <구장산술九章算術>이다. 이 책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주석가들에 의해 보완되고 재해석되며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쳤다. 우리나라 역시 이 영향권 안에서 삼국시대 이래로 <구장산술>을 기본 산학서로 취급해 왔고 19세기 조선 수학자 남병길은 이 책에 대한 주석서 <구장술해九章術解>를 출판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책의 구성과 내용을 확인하고 그것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모색해본다.

집단지성 기반 오답노트 시스템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Wrong Answer Note System)

  • 하진석;김창석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57-463
    • /
    • 2015
  • 본 논문은 적시학습을 위한 집단지성 기반 오답노트 시스템의 필요성과 개념을 제시하고 활용도 및 만족도를 보인다. 기존 오답노트 시스템은 평가문항에 대한 정답 여부를 체크하여 응답 결과가 오답인 문항에 대하여 일괄적인 정답 해설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습자가 평가문항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운 좋게 맞은 문항과 개별 학습자들의 오답 선택 과정에 대한 오류를 적절하게 피드백 받지 못하기 때문에 오답분석과 피드백 측면에서 많은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수의 오류'를 개선하여 학습자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방법인 SERO(Stability Emergency Risk Opportunity) 오답노트를 제안한다. SERO 오답노트는 자신이 풀어낸 평가문항들을 4가지 유형(S유형, E유형, R유형, O유형)으로 분류하고, 정답 해설 뿐만 아니라 집단지성을 이용한 다양한 오답노트 해설들을 제시하여 학습의 만족도를 높인다.

AN ACCOUNT OF INDIAN ASTRONOMICAL HERITAGE FROM THE 5th CE to 12th CE

  • CHATTERJEE, SOMENATH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705-707
    • /
    • 2015
  • Astronomical observation is the beginning of scientific attitudes in the history of mankind. According to Indian tradition, there existed 18 early astronomical texts (siddhantas) composed by Surya, Pitamaha and many others. Varahamihira compiled five astronomical texts in a book named panchasiddhantika, which is now the link between early and later siddhantas. Indian scholars had no practice of writing their own names in their works, so,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m. Aryabhata is the first name noticed, in the book Aryabhatiya. After this point most astronomers and astro-writers wrote their names in their works.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analyze the works of astronomers like Aryabhata, Varahamihira, Brahmagupta, Bhaskara I, Vateswara, Sripati and Bhaskaracharya in a modern context and to obtain an account of Indian astronomical knowledge. Aryabhata is the first Indian astronomer who stated that the rising and setting of the Sun, the Moon and other heavenly bodies was due to the relative motion of the Earth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Earth about its own axis. He also estabished the 'yuga' theory (one Mahayuga = 432000 years). Varahamihira compiled panchasiddhantika and wrote Brihatsamhita. Brahmagupta is the most distinguished astronomer known to us. His two major works are i) Brahmasphutasiddhanta and ii) Khandkhadaka. Bhaskara I was the follower of Aryabhata. His three known works are Mahabhaskariya, Laghubhaskariya and Aryabhatiyabhasya. Vateswara follows Aryapaksha and Saurapaksha. His master work is Vateswarasiddhanta. Sripati, in his siddhantasekhara, gives the rules for determining the Moon's second inequality. Bhaskara II wrote the most comprehensive astronomical work in Indian astronomy. The result of these works is the account of the Indian astronomical heritage. These works are written in the Sanskrit language. A very few of these manuscripts have been translated in English but many are yet to be done. So,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these astronomical texts into English with proper commentary for modern scholars. This paper will be helpful in this work.

정조(正祖)의 「책문(策問) : 춘추(春秋)」를 통해 본 조선조 춘추학(春秋學)의 문제의식 (Critical Mind on Chunchu Study in Joseon through Chaekmun: Chunchu of King Jeongjo)

  • 김동민
    • 동양고전연구
    • /
    • 제56호
    • /
    • pp.171-207
    • /
    • 2014
  • 본 논문은 "홍재전서(弘齋全書)"에 수록된 정조(正祖)의 "책문(策文):춘추(春秋)" 20여 조목의 분석을 통해, 정조의 "춘추"에 대한 시각과 조선조 춘추학의 문제의식을 밝힌 것이다. "책문"에서는 크게 "춘추"의 구성이나 내용과 관련된 문제, "춘추" 및 삼전(三傳)의 평가와 관련된 문제 등 춘추학 전반에 관한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정조는 이 "책문"을 통해 '경세(經世)의 대전(大典)'으로서 "춘추" 경전이 지닌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춘추"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이해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 자료는 "경사강의(經史講義)"에 수록된 1793년과 1796년의 "춘추(春秋)" 조문(條問)과 함께, 정조의 "춘추"에 대한 관점과 학문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춘추학의 현황과 주요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상사적 가치를 지닌다.

한국어 및 영어 이미지 캡션이 가능한 범용적 모델 및 목적에 맞는 텍스트를 생성해주는 기법 (A general-purpose model capable of image captioning in Korean and Englishand a method to generate text suitable for the purpose)

  • 조수현;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111-1120
    • /
    • 2022
  • Image Captioning은 이미지를 보고 이미지를 언어로 설명하는 문제이다. 해당 문제는 이미지 처리와 자연어 처리 두 가지의 분야를 하나로 묵고 이해하고 하나로 묶어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텍스트로 설명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을 위해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 후 음성으로 변환하여 주변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미지 검색, 미술치료, 스포츠 경기 해설, 실시간 교통 정보 해설 등 많은 곳에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지금까지의 이미지 캡션 구 방식은 이미지를 인식하고 텍스트화시키는 데에만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사용을 하기 위해 현실의 다양한 환경이 고려되어야 하며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이미지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한국어 및 영어 이미지 캡션 모델과 이미지 캡션 목적에 맞는 텍스트 생성 기법을 제한한다.

What is a Cancer Cell? Why does it Metastasize?

  • Hegde, Mahabaleshwar Vishnu;Mali, Aniket Vijay;Chandorkar, Shubha Sandeep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987-3989
    • /
    • 2013
  • This is a commentary on what a cancer cell is and why cancer cells metastasize. Normal cell get transformed to a cancer cell, with excessiv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that mutate the DNA of a normal cell. The immortality and malignant stage of transformed cell is maintained by higher GSH levels. With the faster rate of proliferation, when the cancer cell finds the place of origin is not conducive to its further growth, cancer cell chooses to take the metastatic course. We argue that if we can stop the exit of cancer cell from place of origin, cancer spread can be stopped or even cured.

Developing connection design rules in China

  • Shi, Yongjiu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5권2_3호
    • /
    • pp.141-158
    • /
    • 2005
  • The new version of Code for Design of Steel Structures (GB50017-2003) and other design standards in China were released over the last two years. Comparing with the previous version (GBJ17-88), many clauses covering the connection design have been revised. A number of additional provisions are supplemented to specify the design requirements for beam-column moment connections, as well as gusset plates for truss joints. In this paper, a summary on the design rules on connections specified in the current Chinese code is presented, and relevant commentary and background information is provided whenever appropriate. The design criteria governing weld and bolt resistance is examined and reviewed. Moreover, several issues such as detailing requirements for stiffeners and end-plate connections are discussed.

Nature에 게재된 최근 식품관련 문헌 분석

  • 장대자;양혜정
    • 식품기술
    • /
    • 제16권2호
    • /
    • pp.78-179
    • /
    • 2003
  • Nature 본지는 1896년에 창간된 이래 130년 이상 과학출판에 있어 지대한 영향력을 끼쳐온 과학잡지로 최근 Nature 본지 이외에도 자매지인 Nature Biotechnology(1983년 창간), Nature Cell Biology(1999), Nature Genetics(1992), Nature Meterials(2002), Nature Immunology(1999), Nature Medicine(1995), Nature Neuroscience(1998), Nature Structural Biology(1994)의 8개의 Nature Reserch Journal이 있으며 6개의 Nature Reviews(Nature Reviews Cancer,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Nature Reviews Genetics, Nature Reviews Immunology,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Nature Reviews Neuroscience)가 있다. Nature 본지는 Editorials, News, News Feature, Correspondence, Commentary, Books and Arts, Concepts, News and Views, Brief Communications, Review Article, Articles, Letter to Nature, Naturejob 등으로 구성된 주간지로 과학전반에 걸친 중요한 성과를 즉각적으로 출판할 기회 뿐 아니라 과학에 관한 뉴스나 이슈 등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도 한다. Nature 본지의 2002년 ISI impact factor는 30.432로 SCI에 등재된 저널중에서 매우 높은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Nature 본지에 게재된 식품 및 유관 분야에 대한 조사 분석 결과를 게재하오니 향후 투고 방향 설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식품기술에서는 계속적으로 update할 예정입니다.

  • PDF

신문에 나타난 간호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The Image of Nursing projected in Newspapers)

  • 정면숙;강영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28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 age of nursing, that is, to see how nursing is viewed in newspapers. Articles about nursing from two Korean daily newspapers from Jan. 1, 1987 to Dec.31, 1991 were examined for subject, type, attitude and author-ship.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0.89(by The Holsti metho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were 110. 2. As for the subjests matter, articles related to professional nursing activities appeared most frequently(29.6%) , there about labor issues and activity to promote nurses's job climate 19.4%, and about official activities of nursing 11.2%. 3. Commentary articles appeared most frequently(41.2%) , Other article forms were straight news(27. 1%), contribution(17.6%) and inter-views (10.6%). 4. Feature stories acounted for 62.4% and news articles for 37.6%. Most of the articles were of national interests(96.5%), the rest(3.5%) of news from abroad. 5. Articles favorable toward nursing accounted for 54.1%, neutral 28.2%, negative 17.6%. 6. Many articles were written by the reporters (66.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