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m starch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열처리 온도가 옥수수 전분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om Starch)

  • 김성곤;서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53-358
    • /
    • 1995
  • 옥수수 전분(초기 수분함량 11.4%)을 $130{\sim}220^{\circ}C$에서 건열처리하여 DSC로 열분석한 결과 $190^{\circ}C$이상에서 호화엔탈피는 감소하였고 알칼리호화시 열처리온도가 상승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였다. $170^{\circ}C$이상에서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원료전분에 비하여 최고점도를 포함한 아밀로그램상의 모든 값들, 전분호화액의 전단응력과 겉보기점도, 점조도지수 및 항복응력은 감소하였다. $90^{\circ}C$에서 호화진행에 따라 모든 시료들의 겉보기 점도와 항복응력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190^{\circ}C$시료는 특히 초기에 급증하였으나, 점조도지수는 약간 증가한 반면에, 유동거동지수값들은 큰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그러나 $220^{\circ}C$의 경우 모든 값들이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 PDF

메밀복합분을 이용한 제면 특성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Composite Flours)

  • 김복란;최용순;김종대;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83-389
    • /
    • 1999
  •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for buckwheat noodle making, we prepared noodle from com posite flours of buckwheat, wheat and corn starch, and thos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 tion were investigated. The weights of cooked noodle became lower with increasing buckwheat content level indicating that elution of its components to soup was high. Wheat flour in the composite flours probably caused to drop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maximum viscosity compared to buck wheat flours. Corn starch in the composite flours increase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maximum viscosity compared to buckwheat flours. From the result of farinogram, buckwheat flour lower water absorption ability, and increased dough development time compared to composite flours. Adhesiveness of the cooked noodle with wheat flour was decreased. Cohesiveness of the cooked noodle was decrea sed with increasing buckwheat flour level. In sensory evaluation, chewing and softness of noodle with 100% buckwheat flour was evaluated the best. In taste, BW1 and BSW1 noodles showed slightly higher preferenc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 PDF

Extrusion Puffing of Pork Meat-Defatted Soy Flour-Corn Starch Blends to Produce Snack-like Products

  • Jennifer J. Jamora;Rhee, Ki-Soon;Rhee, Khee-Ch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63-169
    • /
    • 2001
  • To produce expanded, minimally hard extrudates from blends of raw pork meat (20%), defatted soy flour (25%), and corn starch using a single-screw extruder, various combinations of feed moisture, process temperature, and screw speed were evaluated. First series of extrusion run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a central composite rotatable design/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Upon assessing the full model for each response, insignificant terms were eliminated to determine final response surface models. Screw speed within the range evaluated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expansion ratio (ER) or shear force (SF) of extrudates. Since examinations of the response surfaces and their generated grids of predicted values indicated that maximum ER and minimum SF were likely to be attained with a moisture-temperature combination outside the RSM experimental range, the second series of extrusion runs were conducted with several selected combinations of moisture and temperature to determine a practical optimum extrusion condition. The combination of 22.78% feed moisture, 16$0^{\circ}C$ process temperature, and 170 rpm screw speed was chosen as such a condition, and used in the final extrusion. The final product required less force to break than did commercial pretzel sticks.

  • PDF

국산밀 품종의 밀가루 특성과 가공적성 II. 가공 적성평가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II. End-use Properties)

  • 강천식;박철수;박종철;김학신;정영근;김경호;김기종;박기훈;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6
    • /
    • 2010
  • 국산밀 주요 26개 품종의 가공적성평가를 통하여 국내산 밀의 품질향상과 향후 소비자 요구에 맞는 용도별 고품질 밀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용도별 수입원맥 6종과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밀가루 5종을 비교 평가하였다. 제면적성평가에서 제면용으로 수입되는 ASW와 시중밀가루의 가수량과 유사한 품종은 안백밀, 은파밀, 고분밀, 한백밀, 적중밀, 조농밀, 남해밀과 수강밀이었다. 면대두께에서 국산밀 품종은 그 범위가 적었으며, 수입밀에서는 제과용 밀가루가 가장 적고 제빵용 밀가루가 가장 두꺼웠으며 제면용 밀가루가 그 사이의 값을 나타냈다. 면대밝기에서 국산밀 품종 밀가루는 시중밀가루와 비교하여 비교적 어두웠으며 밀성밀이 가장 밝았다. 국수면대 밝기는 밀가루 입자크기, 회분, 손상전분, 단백질함량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삶은 국수의 식미검정 결과 단백질함량은 삶은 국수의 경도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삶은 국수의 경도에서 생면용과 비슷한 국산밀 품종은 알찬밀, 다홍밀, 적중밀과 수강밀 등이었으며, 자장면용과 비슷한 국산밀 품종은 고분밀, 조경밀, 조농밀, 금강밀과 남해밀 등이었다. 제빵적성 결과에서 빵용 밀가루와 비슷한 빵 부피를 보인 품종은 알찬밀, 조경밀, 금강밀과 남해밀이었으나, 빵 속질의 경도는 모두 DNS와 시중 빵용 밀가루 보다 높았다. 또한 침전가가 높고, 믹소그래프의 반죽시간이 길고, 빵 반죽시 발효되어 증가되는 반죽의 높이가 높을수록 빵 부피는 컸으며, 빵 속질 경도가 부드러울수록 빵 부피가 컸다. 과자직경은 밀가루 입자 크기가 작고, 손상전분 함량이 적고, 단백질함량이 적을수록 컸으며, 과자직경이 클수록 균열등급은 높았다. 국산밀 품종 중 다홍밀, 그루밀, 올그루밀, 탑동밀과 우리밀은 시중 제과용 밀가루보다 과자직경이 컸지만, 균열정도는 제과용 밀가루보다 작았다.

옥수수 전분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Corn Starch)

  • 김미정;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27-14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전분의 첨가량을 0, 10, 20, 30, $40\%$로 달리 하였을 때의 반죽의 특성과 스폰지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스폰지 케이크 제조시 옥수수전분의 첨가량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수수 전분 첨가량을 달리 하여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 반죽의 비중은 전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반죽의 점도는 전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였다. 스폰지 케 이크의 부피는 전분을 $30\%$ 첨가할 때까지는 부피가 증가하다. 그 이상 첨가할 경우 부피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옥수수 전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값을 보였고, 전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황금 갈색을 나타내었다. $30\%$ 처리구가 저장기간 동안 색의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텍스쳐 실험 결과는 경도와 씹힘성은 옥수수 전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저장 기간동안 전분을 $30\%$ 첨가한 처리구의 경도 증가율이 다른 케이크에 비하여 가장 낮았다. 부착성의 경우 옥수수 전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30\%$ 처리구의 경우 부착성이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응집성 은 옥수수 전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다소 감소하였다. $20\%$$30\%$ 처리구는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장 3일에도 크게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결과 모든 항목에서 전분을 첨가하지 않은 $0\%$ 처리구보다 전분을 첨가한 $10\%,\;20\%$$30\%$ 처리구의 점수가 높았다. 반면 $40\%$ 처리구는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아 전분을 많이 첨가한 케이크는 오히려 좋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20\%$$30\%$의 처리구의 점수가 높아 스폰지 케이크에 옥수수 전분은 $20{\~}30\%$ 정도 첨가한 것을 가장 좋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스폰지 케이크를 만들 때 물리적 특성에서는 옥수수 전분을 $30\%$ 첨가할 경우 부피를 증가시키고 저장하는 동안 색과 텍스쳐를 잘 유지하여 좋은 상태의 케이크로 보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전분을 $20{\~}30\%$ 첨가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스폰지 케이크 제조 시 옥수수 전분을 $30\%$ 정도 첨가할 경우 바람직한 결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Sugars, Soluble Solids, and Flavor of Sweet, Super Sweet, and Waxy Corns during Grain Filling

  • Lee, Suk-Soon;Yun, Sang-Hee;Kim, Jae-Hy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7-272
    • /
    • 1999
  •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time of vegetable corns, the changes in sugars, soluble solids, and flavor of kernels of sweet (cv. ‘Golden Cross Bantam 70’), super sweet (cv. ‘Cocktail E-51’), and waxy corns (cv. ‘Chalok 2’) were observed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Sucrose was a major sugar in the sweet and super sweet corns and the content increased from 15 to 21 and 27 days after silking (DAS), respectively and then decreased. Glucose and fructose contents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tended to decrease with kernel maturity. Total sugar content of the sweet corn analyzed by the anthrone method increased rapidly from 15 to 21 DAS, while that of the super sweet and the waxy corns increased slowly up to 24 and 26 DAS, respectively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in sweet cor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uper sweet corn. Starch content of the sweet corn increased slowly from 15 to 33 DAS, while that of the super sweet corn increased a little rapidly from 15 to 21 DAS and then leveled off to 33 DAS. Starch content of the waxy corn increased continuously from 21 to 38 DA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m of individual sugars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nd soluble solids in both sweet and super sweet corns, while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was not related to the sum of individual sugars or total sugars. The flavor rate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maintained high between 21 and 27 DAS and that of waxy corn decreased from 24 to 33 DAS.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weet, super sweet, and waxy corns was thought to be 21 to 24 DAS considering sugar and starch contents, flavor, and marketing.

  • PDF

전분가수분해물의 어육단백질 동결변성 방지효과 및 작용기구 2. 옥수수전분가수분해물의 어육단백질에 대한 동결변성 방지 기구 (Cryoprotective Effect and Mechanism of Corn Starch Enzyme Hydrolysates on Fish Protein 2. Cryoprotective Mechanism of Corn Starch Enzyme Hydrolysates on Fish Protein)

  • 이강호;정병천;홍병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29-834
    • /
    • 1998
  • 옥수수 전분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D.E. 값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10 이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T_g^{'}$ 값은 D.E. 값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Alkaline phosphatase의 동결계에서 거동은 glass cynamic mechanism, 즉 효소의 가수분해 속도는 첨가된 물질의 $T_g^{'}$ 이하의 온도에서 지연되거나 억제되었다. 옥수수전분 가수분해물은 동결계에서 유리전이온도를 높임으로서 동결계가 유리상태로 되고 따라서 점도는 높아지고 단백질은 분자간 접촉의 기회가 줄어들어 단백질이 보호된다는 cryostabilization mechanism으로 설명 가능하였다.

  • PDF

냉동 백조기의 알칼리 수리미 겔 제조를 위한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최적화 (Optimum Formulation of Starch and Non-muscle Protein for Alkali Surimi Gel from Frozen White Croaker)

  • 박주동;김진수;조영제;최종덕;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26-1031
    • /
    • 2003
  • 냉동 백조기로 제조한 알칼리 수리미의 가열 겔 강도 증강을 위한 최적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선정과 이들 성분의 최적 첨가량을 설정하기 위해 2수준 fractional factorial과 mixture design을 실시하였으며, 반응 값은 punch test에 의한 물성과 색차계로 색을 측정하였다. 전분은 종류에 관계없이 파괴강도와 변형 값을 감소시켰다. 파괴강도 값은 전분의 농도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고, 변형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근육 단백질 중 소혈청 단백질이 겔의 파괴강도와 변형 값을 가장 크게 증가시켰으며,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괴 강도와 변형 값은 증가하였다. 백색도는 전분과 근육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괴강도 100g 이상, 변형 값 4.6mm이상, 백색도 25.5 이상을 보이는 수리미, 감자전분, 소혈청의 최적 혼합 비율은 각각 89.4∼90.0%, 4.5∼5.2%, 5.3∼5.8%의 범위였다. 전분과 비근육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가열 겔이 단백질의 균일한 분포와 치밀한 망상 구조 형태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 같은 구조가 높은 물성 값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호알칼리성 Bacillus firmus가 생산하는 $\beta$-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정제 및 효소반응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Excreted by Bacillus firmus var. aikalophilus.)

  • 신현동;김찬;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3-330
    • /
    • 1998
  • 호알카리성 Bacillus firmus var. alkalophilus가 생산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CGTase)를 호화시킨 팽윤감자전분을 이용한 흡착 및 탈착, 한외여과, DEAE-cellulose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Sephacryl HR-100을 이용한 gel filtration 등의 분리정제 과정을 통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CGTase의 분자량은 약 77,000 Da이었으며, 등전점은 6.2~6.3이었다. 최적 효소반응 온도 및 pH는 각각 5$0^{\circ}C$ 와 6.0 였고, 열 및 pH 안정성은 5$0^{\circ}C$까지와 pH 6.0~9.5 사이였다, 정제된 CGTase는 $Ca^{2+}$ 에 의하여 열 안정성이 크게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최적 효소반응 온도와 열 안정성도 55~6$0^{\circ}C$와 6$0^{\circ}C$로 증가하였다. CGTase의 기질 특이성을 검토한 결과 여러 종류의 전분들로부터 $\beta$-CD를 주로 생성하였으며, ${\gamma}$-CD도 소량 생성하였으나 $\alpha$-CD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Sweet potato starch, corn starch, 그리고 amylopectin을 기질로 할 때 높은 CD전환율을 보였으며 $\beta$-CD와 ${\gamma}$-CB의 생성비가 5.8~8.4:1로서 $\beta$-CD를 고 수율로 생산하는 전형적인 $\beta$-type의 CGTase였다. 또한 본 효소의 최적 CD 생산조건은 기질농도 5.0%(w/v) corn starch, 효소첨가량 25 unit/g of starch로서 반응 8시간 후의 전체 CD량도 약 25 g/l로서 전환율은 50%였고, 이 때 $\beta$-CD농도는 21 g/l로서 전체 CD 중 84% 였다.

  • PDF

Bifidus Fermentation Increases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Red Ginseng

  • Trinh, Hien-Trung;Han, Sang-Jun;Kim, Sang-Wook;Lee, Young-Chul;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7호
    • /
    • pp.1127-1133
    • /
    • 2007
  • Antihyperlipidemic and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Red Ginseng (RG, steamed and dried root of Panax ginseng C.A.Meyer, family Araliaceae), major component of which is ginsenoside Rg3, and Bifidodoterium-fermented RG (FRG), major component of which is ginsenoside Rh2, were investigated. Orally administered RG and FRG potently reduced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com-oil-induced hypertriglycemidemic mice as well a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riton WR-1339-induced hyperlipidemic mice. Of the saponin and polysaccharide fractions of RG and FRG, the polysaccharide fraction inhibited postprandial blood glucose elevation of maltose- or starch-loaded mice and reduced the blood triglyceride levels in com-oil-induced hypertriglycemidemic mice. The saponin fraction and its ginsenosides Rg3 and Rh2 reduced bloo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Triton WR1339-induced hyperlipidemic mice. The inhibitory effect of FRG and its main constituents against hyperlipidemia and hyperglycemia in mice were more potent than those of R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RG can be enforced by Bifidus fermentation and FRG may improve hyperlipidemia and hyperglyc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