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math educatio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수학 수업에서의 유아 수학교육 -교양수학 과목 개발을 위한- (Infant Math Education at College Math Classes -for developing general mathematics subject-)

  • 김병무;박재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337-352
    • /
    • 2003
  •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ways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in infant math education. Firstly, we explain to the students the relation between the infant math skills and the college math contents. Next, the students practiced the subject about the infant education and the infant math education in real environment. Finally, the results of the practice are analyzed. From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the students got good experiences in infant math education activities and had the chance to change their mind in affirmative way for the infant math education and mathematics itself through performing given projects and investigations.

  • PDF

대학수학 학습에 필요한 요인 분석과 학습지도 (The Analysis on the Necessary Factors for College Mathematics Learning and Its Implication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15-230
    • /
    • 2006
  • 대학수학 학습에 필요한 성공요인, 실패요인에 대한 조사와 수학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검사를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다음 외국학생들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해보고 학습지도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학기초나 수업을 시작할 때 수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체적으로 학교 수준에 맞는 성공, 실패 항목을 지적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며 컴퓨터의 도움이 수학학습에 필요하므로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실습실을 만들어 주고 소프트웨어도 지원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 당국에 협조를 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 PDF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An Analytic Study of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 강옥기;한신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81-393
    • /
    • 2007
  • 본 연구는 수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전후 학생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변화 또는 차이를 살펴보고, 수학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수학교육과 1, 4학년 학생들을 각각 수학이란 학문에 대한 인식, 학습방법, 교과지도방법, 교사의 역할과 자격의 네 가지 신념 영역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1학년 집단보다는 4학년 집단이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한 신념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학이란 학문에 대한 영역보다 수학교육적 측면에서의 두 집단 간 신념의 차이가 두드러져,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의 '수학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신념의 변화가 얼마나 중대한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두 집단간 차이의 원인은 문제해결학습, 현실에 근거한 교육, 교재연구 및 실습, 수학원리 체득 등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4년간 수행한 결과에 기인된 것으로 간주된다.

  • PDF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of Mathematics

  • Trance, Naci John C.;Marapo, Roger B.;Pornel, Jonny B.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18-1332
    • /
    • 2012
  • This paper takes another approach in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Instead of asking for verbal description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we asked the respondents who were all college students to draw their perception of mathematics. This relatively new approach enabled students to take a second look of how they perceived math and, at the same time, explored students' creativity and provided a less austere appearance to mathematics which was taken usually in a more formal and severe manner. This approach of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generated new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normally gleaned from other approaches like Likert Scale. Some drawings of mathematics of the respondents reinforced their math affect towards mathematics. For those who hated math, their drawings revealed so the same is true with those who loved mathematics. Examini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mathematics and looking for commonalities, the researcher found a number of interesting themes that may shed some light to educato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 affect.

대학수학클리닉의 필요성과 운영 방안예 대한 연구 (I) (The Necessity and Operation Method of College Mathematics Clinic (I))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87-19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plain the necessity and operation method of college mathematics clinic, investigating the reason why college students like and dislike mathematics. It is difficult for each professor alone to operate college mathematics clinic without students\` helping. They need to work together. For mathematics clinic operation, the following will be practiced: 1) make use of math-class, 2) help of math-club, 3) make internet homepage, 4) use of university institution and laboratory.

  • PDF

전통(傳統) 도량형(度量衡)을 활용한 수학교육(數學敎育)이 노인(勞人)학습자의 정의적(情意的) 영역(領域)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th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Weights and Measures on Affective Domain of Elderly Learner)

  • 김재효;고호경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1
  • As the value of living a complete life has spread, the importance of elderly education as a part of continuing education is ever increasing. As much as the bodily health, the activity to prevent dementia or healthy brain is being emphasized, the math utilizing traditional material was suggested to devise the curriculum appropriate for the emotional/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This could induce interests of the elderly, and ultimately improved the concept of self-consciousness and self-esteem. Also, a plan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uch 'silver math' should be prepared, and the execution of a fusion study for a medical approach of its effects is proposed.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공대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The Analysis of the Attitudes of Engineering Students to Mathematics and Its Implication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67-482
    • /
    • 2007
  •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충청지역 6개 대학교(A대 36명, B대 40명, C대 37명, D대 96명, E대 36명, F대 41명)의 공학 계열 학생들에 대해 18개 항목과 미분적분학 지도를 위한 선행학습 조사, 수학내용의 영역별 난이도 조사를 하고 결과에 대해 표를 만들어 간단히 언급하고 외국의 연구사례를 이용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다음을 적용해 본다. 1) 수학 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배려해야 하고, 2) 공대생을 위한 수준에 맞는 교수 방법이 요구되고, 3) 그들의 수학적 배경에 기초하여 실질적인 교수 전략이 연구되어야 하며, 4) 수학 개념의 이해를 얻게 하려고 더 많은 자료를 개발해야 되며, 5) 공대생의 전공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 공학개념과 수학개념 사이의 관계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된다. 위의 제안 이외에도 학생들의 수학적 배경과 태도가 대학수학 학습에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 PDF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 대상 'Math & 코딩'을 활용한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ege Calculus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ith Coding)

  • 이재화;이상구;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11-62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가 고심하는 '수학울렁증(Mathematics Anxiety, 수학불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2022년 1학기 S대학에서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재직자 신입생 20명을 대상으로 'Math & 코딩(Coding)'을 적용하여 운영한 대학 미분적분학 강좌 사례를 소개한다. 본 강좌에서는 'Math & 코딩'으로 쉽고 빠르게 중·고등학교 수학을 복습할 수 있는 콘텐츠와 대학 미분적분학 콘텐츠 및 교재를 새로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스스로 '수학울렁증'이 있다고 여기던 학생들은 코드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면서 복잡한 계산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되었고, 대신 확보한 시간을 수학 개념에 대해 동료 및 교수자와 토론하면서 미분적분학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본 강좌를 수강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분적분학 교재에 있는 거의 모든 문제를 지필로 또는 코드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이야기 하였고, 미분적분학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에 대해서도 자신의 언어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의 수학강좌 교수학습과정에서 'Math & 코딩' 방식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수학적 배경이 약한 학생들과 이전에 수학을 포기했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다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며, 중등수학교육에서도 'Math & 코딩' 접근방식을 충분히 적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비심리적 처치프로그램에 의한 고등학생 수학불안집단 간의 뇌파 연구 (A Brain-based Study with Two Groups of High Math Anxiety and Low Math Anxiety through the Non-psychological Remedy Program of Functional Tasks)

  • 고상숙;이창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3호
    • /
    • pp.383-39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highschool students' brain waves on functional tasks such as a transition(F task) from equation to graph and the other transition(G task) vice versa. A total of 3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attended a high school located in Gyunggi province. Thes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MA and LMA by MASS test revised by Ko, & Yi (2012). The functional tasks for the stroop task to measure EEG were provided from a previous study, Seok(2015). The results indicated two groups on G tasks showed deeper and wider brain waves which demonstrated G tasks were more difficult than F tasks. However, HMA group had an effect of the non-psychological program which had given more chances on G tasks rather than F tasks within Student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lso, HMA group's brain waves had more ranges in amplitude and width of wav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rain waves with math anxiety are consistent to the previous studies.

학사관리지도 및 전공영역활용 지도가 이공계 기초대학수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 (Notes on Effective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by Counseling Freshman and by Promotion of Application in Engineering Mathematics)

  • 김영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93-803
    • /
    • 2005
  •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by counseling freshman. And we discuss the effectiveness that the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promoted throughout counseling freshman and by teaching examples in engineering mathematics in courses of calculus and differential equation and linear algeb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