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ve behavior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4초

현대 패션 밈(meme)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temporary fashion meme)

  • 김고운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3호
    • /
    • pp.330-343
    • /
    • 2020
  •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the fashion meme,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fashion trend, influential fashion keyword. After analyz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mes from prior studies, examples of fashion memes were collected from online community and social network services, while a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analysis were conducted in parallel drawing on related articles and journals. Modern fashion memes refer to fashion-related symbols and fashion images that are spread online by word-of-mouth, together with fashion styles and items that spread as a result of being worn. Fashion memes in cyberspace are mainly spread through social network or message services, and sometimes combine text, images, videos, hashtags, and emoticons. Fashion memes are a type of collective action of the people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s in the world, and often involve humorous antics, satire, shock, and eccentricity. Shared fashion memes reflect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expression and fun, and at the same time are used as an expression of designer and brand creativity and are integral to marketing. Fashion mem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wo central axes as follows: non-commercial/commercial and anti-fashion/fashion-friendly. Unlike traditional memes, Internet-based fashion memes emphasize elements of transformation through creativity as well as imitation, which has become a persisting contemporary trend beyond temporary phenomena.

현대 청소년 특성이 반영된 청소년 패션에 관한 연구 -2001-2006년 (Adolescents' Fashion Reflecting the Features of Modern Adolescents -Focused on 「SPORT&STREET」 from 2001 to 2006-)

  • 전재훈;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5-70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forecast the pattern of adolescents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an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the fashion styles that meet their tastes. This study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tures and the fashion of modem adolescents through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it was focused on a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Specifically, for the fashion style of modem adolescents,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styles shown in pictures selected around key words out of a total of 21 volumes of ${\ulcorner}$SPORT&STREET${\lrcorner}$ from 2001 to 2006. The fashion style of modem adolescents is developing into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past, and by theme this can be classified into sports style, jeans style, romantic style, vintage style, hip-hop style, future style, humor style and ethnic style. The features of modem adolescents, including collective conformity, personal expression, and receptiveness to new concepts, were expressed by unique fashion styl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fashion style that modem adolescents, who have diverse tastes and dispositions and are living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can enjoy it b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ir features, such as collective conformity, personal expression, and reception to new concepts.

SVM을 이용한 군집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 (Behavior Learning and Evolution of Swarm Robot System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 서상욱;양현창;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12-717
    • /
    • 2008
  • 군집 로봇시스템에서 개개의 로봇은 스스로 주위의 환경과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로봇과 협조를 통하여 어떤 주어진 일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개의 로봇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학습과 진화능력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 위험 최소화를 기반으로 한 SVM을 이용 한 강화학습과 분산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자율이동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개개의 로봇이 통신을 통하여 염색체를 교환하는 분산유전알고리즘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학습한 우수한 염색체로부터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진화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VM을 기반으로 한 강화학습의 특성을 이용한 선택 교배 방법을 채택하였다.

Q-learning과 Cascade SVM을 이용한 군집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 (Behavior Learning and Evolution of Swarm Robot System using Q-learning and Cascade SVM)

  • 서상욱;양현창;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9-284
    • /
    • 2009
  • 군집 로봇시스템에서 개개의 로봇은 스스로 주위의 환경과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로봇과 협조를 통하여 어떤 주어진 일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개의 로봇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학습과 진화능력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SVM을 여러 개 이용한 강화학습과 분산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자율이동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학습을 제안한다. 또한 개개의 로봇이 통신을 통하여 염색체를 교환하는 분산유전알고리즘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학습한 우수한 염색체로부터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진화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ascade SVM을 기반으로 한 강화학습의 특성을 이용한 선택 교배방법을 채택하였다.

볼군의 다수 접촉점이 접촉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tiple Contact Spots Simulated by Array of Balls on Contact Resistance)

  • 김청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11호
    • /
    • pp.2967-2972
    • /
    • 1994
  • The multiple character of the contact interaction and the collective behavior of elementary microcontac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all the processes occurring in the surface layers, including the failure due to friction and wear. The array of metal spheres compressed between flat plates has been used for simulation of the contact behavior of multiple contact of solids under normal loading. An experimental design has been made providing regular array of the spheres at the same size with different spatial order. Measurement of electrial contact resistance has been made using the equipment providing the adequate accuracy in the range of micro Ohms. The data on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have been compared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using the multiple contact model of constriction resistance. The effect of single spots number and array on conductivity of contact has been evaluated.

R프로그래밍을 활용한 공유경제의 한국인 집단지성: 텍스트 마이닝 및 시계열 분석 (Korean Collective Intelligence in Sharing Economy Using R Programming: A Text Mining and Time Series Analysis Approach)

  • 김재원;윤유동;정유진;김기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51-16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창조경제 또는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라는 키워드에 관해 현대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대중적인 문화 및 사회적 인식, 즉 집단지성의 변화 추세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관점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최근 5년 간 사회 문화적 집단지성의 객관적이고 가시적인 연간 변화 및 패턴들을 발견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월드 와이드 웹에서 크롤링(crawling) 기법과 구글링(googling)을 통해 분석에 필요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축적된 상당한 양의 공유경제를 주제로 한 기존 문헌들의 시계열 웹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과적으로, 많은 양의 가공되지 않은 공유경제 키워드 관련 원 자료들은 R프로그래밍 분석을 통해 보다 의미 있는 가치 있는 '워드 클라우딩' 형태의 그래프나 그림으로 분석처리 되었다. 아직까지 시기적으로 공유경제에 관해 축적된 자료나 집단지성이 양적으로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지식처리 관점에서 시계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선행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학 분야에서 공유경제 관련 시장분석과 소비자 행동학 관련 후속 연구들을 위해 1차 자료로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경찰관들이 경험하는 컴페션(Compassion)과 미덕(Virtue)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와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and Virtue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and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 조승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경찰관들이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긍정적 감정이 종속변수인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 미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넷째, 긍정적 감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추출은 전국 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서에 근무하는 남 녀 경찰관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가설검증에 이들 표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찰관이 경험한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고, 긍정적 감정이 조직 동일시 현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컴페션과 미덕, 조직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이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과 조직동일시와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엄격한 위계관계가 유지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찰 조직에 컴페션과 미덕적 행위를 확산시켜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조성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자율이동로봇군의 협조행동을 위한 지역적 통신 방식에 있어서 정보전파 해석 및 카오스 현상 분석 (An Analysis of Information Propagation and Chaotic Phenomena in Local Communication Method for Cooperative Behavior of Collective Autonomous Mobile Robots)

  • 이동욱;심귀보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6호
    • /
    • pp.67-75
    • /
    • 1999
  • 자율분산로봇시스템에서 협조행동을 위한 로봇의 센싱과 통신 기능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대역적 통신시스템에서 로봇의 대수가 증가하면 통신자원의 제한과 정보의 범람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 지역적 통신방법이 유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 통신에 의한 정보의 전파를 해석하고 최적의 통신반경을 찾기 위한 3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로봇이 정보를 획득하고 소실할 경우 발생하는 군의 카오스 행동을 피하기 위한 조건을 찾는다.

  • PDF

Health Information Behavior of Indonesia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ensemaking Perspective

  • Rusdan Kamil;Laksmi Laksmi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49-63
    • /
    • 2024
  • Information behavior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minimizing the risks of the COVID-19 pandemic. When faced with such a situation, an individual needs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action relating to their health.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formation behavior during each phase of the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which is known for its close-knit collective culture. A sensemaking approach is used, which emphasizes the process individuals go through to understand their situation and give meaning to the information they are getting from their environme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to obtain a description of their information behaviors during the pandemic.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We propose a sensemaking-based information behavior strategy framework for mitigating risk and reducing ongoing health crises. Changes in information behavior strategies, including search, prevention, and restriction of information exposure, were random at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but became more regular in later phases. This was influenced by the "knowledge gap fulfillment" and "use of local knowledge" among the participants throughout the pandemic.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developed a sensemaking process including an understanding of the pandemic situation and the risks that they faced. They used a number of information behavior strategies to prevent transmission, and their perception of the risks changed across the course of the pandemic, up til the situation began to be considered back to normal again in Indonesia.

군집 로봇의 협조 행동을 위한 로봇 개체의 행동학습과 진화 (Behavior Learning and Evolution of Individual Robot for Cooperative Behavior of Swarm Robot System)

  • 심귀보;이동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31-137
    • /
    • 2006
  • 군집 로봇시스템에서 개개의 로봇은 스스로 주위의 환경과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로봇과 협조를 통하여 어떤 주어진 일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개의 로봇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학습과 진화능력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지연된 보상능력이 있는 강화학습과 분산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자율이동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방법을 제안한다. 지연 보상능력이 있는 강화학습은 로봇이 취한 행동에 대하여 즉각적인 보상을 가할 수 없는 경우에도 학습이 가능한 방법이다. 또한 개개의 로봇이 통신을 통하여 염색체를 교환하는 분산유전알고리즘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학습한 우수한 염색체로부터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진화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화학습의 특성을 이용한 선택 교배방법을 채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협조탐색 문제에 적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