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genase inhibition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초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오이풀 뿌리(Sanguisorba officinalis L. roots)의 다양한 생리 활성 및 항염증 효과 (Various Physiologic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Roots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박승미;오민정;염현지;심미옥;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6-41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0 ㎍/ml의 농도에서 93.8%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을 통해 알아본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50 ㎍/ml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99% 이상을 나타내었다. 미백활성 검증을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을 시행하였으며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37.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율이 증가하였으며 각각 1,000 ㎍/ml의 농도에서 84.9%, 90.3%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MTT assay에 따른 Raw 264.7 cell의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ml 농도 이하에서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이하의 세포 관련 실험에서는 100 ㎍/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실험을 시행하였다.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NO assay를 측정한 결과 500 ㎍/ml의 농도에서 50.8%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오이풀 뿌리 추출물이 염증발현 억제에 뛰어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w 264.7 cell에 오이풀 뿌리 추출물을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저해를 확인한 결과 모든 인자에서 단백질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이풀 뿌리가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의 생리활성과 항염 활성이 있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Disulfiram Suppresses Invasive Ability of Osteosarcoma Cells Via the Inhibition of MMP-2 and MMP-9 Expression

  • Cho, Hyun-Ji;Lee, Tae-Sung;Park, Jae-Bok;Park, Kwan-Kyu;Choe, Jung-Yoon;Sin, Doo-Il;Park, Yoon-Yub;Moon, Yong-Suk;Lee, Kwang-Gill;Yeo, Joo-Hong;Han, Sang-Mi;Cho, Young-Su;Choi, Myeong-Rak;Park, Nam-Gyu;Lee, Yun-Sik;Chang, Young-Chae
    • BMB Reports
    • /
    • 제40권6호
    • /
    • pp.1069-1076
    • /
    • 2007
  • Cancer cells, characterized by local invasion and distant metastasis, are very much dependant on the extracellular matrix.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has been implicated in the invasion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reported the effects of disulfiram, a clinically used anti-alcoholism drug, on tumor invasion suppression, as well as its effects on the activity of MMP-2 and MMP-9 in human osteosarcoma cells (U2OS). Disulfiram has been used for alcohol aversion therapy. However, recent reports have shown that disulfiram may have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human cancers. Herewith, we showed that the anti-tumor effects of disulfiram, in an invasion assay using U2OS cells and that disulfiram has a type IV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that inhibits expression of genes and proteins responsible for both cell and non-cell mediated invasion on pathways. In conclusion, disulfiram inhibited expression of MMP-2 and MMP-9 and it regulated the invasion of human osteosarcoma cells. These observations raise the possibility of disulfiram being used clinical for the inhibition of cancer invasion.

L-카르니틴의 사람피부에 대한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s of L-Carnitine on Human Skin)

  • 이범천;최태부;심관섭;이근수;박성민;이천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3-397
    • /
    • 2004
  • L-Carnitine $({\beta}-hydroxy-\gamma-trimethyl-ammoniumbutyric{\;}acid)$은 분자량이 적은 수용성 분자로서 세포 내 지방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방산의 운반 분자인 아실-코에이(acyl-CoA)가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방산은 CoA로부터 카르니틴으로 운반되어 미토콘드리아에서 작용한다. 노화와 연관된 L-carnitine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MMP inhibition assay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MMP inhibition assay는 콜라겐을 이용한 형광분석법을 실시하였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 발현양은 ELISA로 정량하였으며 그 활성은 젤라틴 기질 zymography로 확인하였고 MMP mRNA 발현양은 RT-PCR ELISA로 확인하였다. 또한, 사람을 이용한 임상 실험을 통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L-carnitine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 저해 활성을 나타났으며 $IC_{50}$값은 2.45 mM이었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된 MMP 활성을 강하게 저해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MMP에 대해 단백질의 양적인 변화는 $40\%$ 정도 감소되었으며 L-carnitine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MMP mRNA의 발현양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하여 L-carnitine은 MMP 효소의 저해능 뿐만 아니라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MMP 단백질 발현과 mRNA 유전자 수준에서의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사람을 이용한 임상 실험에서는 $1\%$ 카르니틴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약 3개월간 사용 후에는 유의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L-Carnitine은 광노화에 관여하는 MMP 활성과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통하여 광손상에 대응하는 항노화 소재로서의 화장품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의 주름, 미백 효과에 대한 연구 (Studies on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of Liposomes Containing Acerola Extract Mixture)

  • 김수진;오원준;권성필;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1-352
    • /
    • 2021
  • 아세로라는 천연 비타민 C 함량이 높아 우수한 원료이지만 안정화하기가 어려워 화장품 소재로서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세로라 추출물을 안정화 시키는 혼합 리포좀 제형을 제조하여, 안전성 시험으로 BCOP assay 및 HET-CAM assay를 통한 안점막자극시험, 인체피부 일차자극시험을 통한 피부자극시험을 평가하였다. Tyrosinase 활성저해, melanin 생성저해를 통한 미백 효과 및 procollagen type-I C-peptide 생성을 통한 주름 효과를 평가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이 함유된 크림을 제조하여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피부주름, 피부미백에 대한 인체효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의 BCOP assay, HET-CAM assay 및 인체피부 일차자극 시험결과에서 모두 자극을 보이지 않아 피부 및 안자극에서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활성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은 1,000 ㎍/mL 농도에서 75.8%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확인하였으며, melanin 생성 저해시험에서 B16F10 세포주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 1,000 ㎍/mL 농도에서 46.2%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Procollagen type-I C-peptide에서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은 HS68 세포주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1,000 ㎍/mL 농도에서 152.1%의 collagen 합성능을 확인하였으나, MMP-1 활성억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이 함유된 크림에 대한 피부주름 및 피부멜라닌 인체효력평가에서 피부주름 지표와 피부멜라닌 지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세로라 추출물 혼합 리포좀이 안자극과 피부자극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천연 소재임을 확인하였으며,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CCD-986sk 세포 내 주박 분획물의 항주름 효능 (Anti-wrinkl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Jubak on CCD-986sk)

  • 장영아;이혜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08-51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주박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분획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평가와 인간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서의 주름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 1,000 ㎍/ml 농도에서 75.5%로 나타나 분획 용매 중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Elastase, Collage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두 실험 결과 모두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이 1,000 ㎍/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UVB로 유도된 CCD-986sk 세포 내 pro-collagen type I의 합성율을 측정한 결과 주박은 동일농도에서 20 ㎍/ml에서 Ethyl Acetate, Water, Acetonitrile, Hexan 분획물 순으로 높은 효능을 보였다.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의 저해률을 측정한 결과 4가지 용매 분획몰은 20 ㎍/ml에서 모두 70% 이상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Real time PCR 실험에서 pro-collagen type I, MMP-1 및 MMP-3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UVB 단독군 대비 Jubak 추출물을 함께 처리했을 때 pro-collagen type I의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되었고, MMP-1과 MMP-3의 mRNA 발현량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EGCG) 다음으로 Ethyl Acetate 추출물이 주름 개선에 가장 효능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주박의 용매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은 UVB 자극에 의한 광노화에 대한 항주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화장품의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과자금(瓜子金) 추출물과 Cyclosporin A가 OVA로 천식이 유발된 생쥐의 염증성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 of Herba Polygalae Japonica on Inflammation Cells of Lung in Asthma-induced Mice by OVA Exposure)

  • 조은환;서영배;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97
    • /
    • 2008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 Polygalae Japonica on the proliferation and activation of eosinophils which were prepared from lung cells of asthma-induced mice by ovalbumin (OVA) treatment. Methods : C57BL/6 mouse was exposed to OVA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mouse lung tissues were dissected out, chopped and dessiciated with collagenase (1 ${\mu}g$/ml). Eosinophils were activated by rIL-3/rmIL-5 co-treatments. The lung cells were treated with extract of Herba Polygalae Japonica (EPJ), incubated for 48 hr at $37^{\circ}C$, and analyzed by flow cytometer, ELISA, RT-PCR and immunocytochemistry stain. Results : A significant cytotoxicity by drug treatment was not observed. The cell number ratio of granulocyte, CD3e-/CCR3+, CD3e+CD69+, CD4+, CD23+/B220+ cells was increased in rmIL-5/rIL-3 treated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Cells numbers in the experimental animal group treated with EPJ was all decreased. In ELISA analysis, IL-4, IL-5, IL-13 levels and histamine release level were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animal group, the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0 ${\mu}g$/ml of EPJ treatment. In RT-PCR analysis, mRNA expressions of IL-4, IL-5, IL-13, CCR3 and eotaxin were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animal group, then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0 ${\mu}g$/ml of EPJ treatment. And eosinophil proliferation levels were 18847${\pm}$,1527 (cpm) in the control group, 4676${\pm}$972 (cpm)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7709 ${\pm}$ 549 (cpm), 16839 ${\pm}$ 1403 (cpm), 16385 ${\pm}$ 1723 (cpm)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0 ${\mu}g$/ml, 10 ${\mu}g$/ml, 1 ${\mu}g$/ml of EPJ treatment. Conclusions : The present data suggested that Herba polygalae japonica may have an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parameters associated with asthma responses in eosinpophils, and thus implicate the possibility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EPJ.

  • PDF

Cooperation of $G{\beta}$ and $G_{\alpha}q$ Protein in Contractile Response of Cat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 Sohn, Uy-Dong;Lee, Tai-S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6호
    • /
    • pp.349-355
    • /
    • 2003
  • We previously shown that LES contraction depends on $M_3$ receptors linked to PTX insensitive $G_q$ protein and activation of PLC. This results in production of $IP_3$, which mediates calcium release, and contraction through a CaM dependent pathway. In the esophagus ACh activates $M_2$ receptors linked to PTX sensitive $G_{i3}$ protein, resulting in activation of PLD, presumably, production of DAG. We investigated the role of PLC isozymes which can be activated by $G_q$ or $G{\beta}$ protein on ACh-induced contraction in LES and esophagus. Immunoblot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3 types of PLC isozymes, $PLC-{\beta}1$, $PLC-{\beta}3$, and $PLC-{\gamma}1$, but not $PLC-{\beta}2$, $PLC-{\beta}4$, $PLC-{\gamma}2$, $PLC-{\delta}1$, and $PLC-{\delta}2$ from both LES and esophageal muscle. ACh produced contra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LES and esophageal muscle cells obtained by enzymatic digestion with collagenase. $PLC-{\beta}1$ or $PLC-{\beta}3$ antibody incubation reduced contraction in response to ACh in LES but not in esophageal permeabilized cells, but $PLC-{\gamma}1$ antibody incubation did not have an inhibitory effect. The inhibition by $PLC-{\beta}1$ or $PLC-{\beta}3$ antibody on Ach-induced contraction was antibody concentration dependent. The combination with $PLC-{\beta}_1$ and $PLC-{\beta}_3$ antibody completely abolished the contraction, suggesting that $PLC-{\beta}1$ and $PLC-{\beta}3$ have a synergism to inhibit the contraction in LES. $PLC-{\beta}1$, -${\beta}3$ or -${\gamma}1$ antibody did not reduce the contraction of LES cells in response to DAG ($10^{-6}$ M), suggesting that this isozyme of PLC may not activate PKC. When $G_{q/11}$ antibody was incub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cubation of PLC ${\beta}3$, but not of PLC ${\beta}_1$ was additive (Fig. 6). In contrast, when $G_{\beta}$ antibody was incub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cubation of PLC ${\beta}_1$, but not of PLC ${\beta}_3$ was additive. This data suggest that $G_{q/11}$/11 or $G{\beta}$ may activate cooperatively different PLC isozyme, $PLC{\beta}_1$ or $PLC{\beta}_3$ respectively.

스테로이드 합성을 교란하는 내분비계장애물질 검색을 위한 라이디히 세포 분리 및 배양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Purification and Incubation Conditions of Leydig Cells for Screen Endocrine Disruptors Altering Steroidogenesis)

  • 강일현;강태석;강호일;문현주;김태성;기호연;류혜원;신재호;동미숙;한순영;김승희;홍진환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3-58
    • /
    • 2006
  • Normally, environmental toxicants are classified as endocrine disruptors if they interfere with regulation of cellular function by endogeneous steroids through inhibition of receptor binding and/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So,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bout agonist/antagonist of hormone receptor to study mechanisms of endocrine disruptors. If toxicants affect steroid biosynthesis and/or degradation and alter hormone homeostasis, these also are classified as endocrine disruptor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the mechanisms of endocrine disruptors on the basis of alteration of steroid biosynthesis and/or degradation. Isolation and culture of Leydig cells from testis is one of methods for the steroidogenesis screening assays to evaluate a substance for altering steroidogenesis. Leydig cells were harvest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by Klinefelter with modifications. Leydig cells were purified by perfusion of testis and incubation ($34^{\circ}C$, 80cycles/minute, 20 minutes) with collagenase (0.25 mg/kg), centrifugal elutriation, percoll gradient centrifugation and BSA multi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To confirm if this method is one of appropriate tools to evaluate a substance for altering steroidogenesis, ketoconazole, positive control was administered to purified Leydig cells. Ketoconazole ($10^{-8}M$ and above) significantly reduced testosterone production in purified Leydig cells. From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this method for steroidogenesis screening assay appears to be a appropriate tool to detect suspected compounds for altering steroidogenesis.

  • PDF

새로운 주름개선 소재: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의 개발과 화장품 응용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 a Novel Anti-wrinkle Agent for Cosmeceuticals)

  • 이범천;이정재;박성민;김철배;심관섭;김진화;이근수;이천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3
    • /
    • 2004
  • 3,9-Dihydro-6-oxopterocarpen과 ferulic acid의 에스테르 반응을 통해 페룰산 유도체인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_{(R)}$ )를 합성하여 이를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품을 개발하였다. Tensolin-$F_{(R)}$ 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0.8 mM에서 78%, 0.053 mM에서 92.9%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도 0.16 mM에서 74%를 저해하였다. HDF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 저해 효과는 Tensolin-$F_{(R)}$ 0.8 uM에서 85.5%로 단백질 수준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Tensolin-$F_{(R)}$ 를 함유한 제품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 평가 결과, Tensolin-$F_{(R)}$ 를 함유한 화장품을 약 8주 간 도포한 경우 유의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Tensolin-$F_{(R)}$ 는 항산화 효과와 MMP-1활성 저해 효과 및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새로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이초(地耳草) 추출물이 OVA로 천식이 유발된 생쥐의 폐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 of Hyperici Japonici Herba on Lung Cells in Asthma-indused Mice by OVA Exposure)

  • 이영용;서영배;이영철;서부일;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5-83
    • /
    • 2008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perici Japonici Herba on the proliferation and activation of eosinophils which were prepared from lung cells of asthma-induced mice by ovalbumin(OVA) treatment. Methods : C57BL/6 mouse was exposed to OVA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mouse lung tissues were dissected out, chopped and dessiciated with collagenase(1${\mu}g$/ml). Eosinophils were activated by rIL-3/rmIL-5 co-treatments. The lung cells were treated with extract of Hyperici Japonici Herba(EHH), incubated for 48 hr at $37^{\circ}C$, and analyzed by flow cytometer. ELBA, RT-PCR, immunocytochemistry stain. Results : The cell number ratio of granulocyte, $CD3e^-$/$CCR3^+$, $CD3e^+$/$CD69^+$, $CD4^+$, $CD23^+$/$B220^+$ cells was increased in rmIL-5/rIL-3 treated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Cells numbers in the experimental animal group treated with EHH was all decreased. In ELISA analysis, IL-4, IL-5, IL-13 protein levels and histamine release level were greatly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animal group, the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0 ${\mu}g$/ml of EHH treatment. In RT-PCR analysis, the HT value of IL-4, IL-5, IL-13, CCR3, Eotaxin were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animal group, then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0 ${\mu}g$/ml of EHH treatment. And eosinophil proliferation levels were 18847${\pm}$1527(cpm) in the control group, 4676${\pm}$972(cpm)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8675${\pm}$159(cpm), 11352${\pm}$1005(cpm), 14325${\pm}$677(cpm)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0 ${\mu}g$/ml, 10 ${\mu}g$/ml, 1 ${\mu}g$/ml of EHH treatment. Conclusions : The present data suggested that Hyperici Japonici Herba may have an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parameters associated with asthma responses in eosinpophils, and thus implicate the possibility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EH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