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gen supplement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콜라겐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피부 광노화 예방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 hydrolysate containing collagen tripeptides on ultraviolet B-induced skin photoaging)

  • 김애향;하민우;김준일;박철;신용철;신대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66-472
    • /
    • 2019
  • 본 연구는 식용 어류로부터 획득한 콜라겐 중 Gly-Pro-Hyp를 주요 지표로 하는 고함량 콜라겐 트리펩타이드에 대한 피부의 광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HaCaT 세포와 SKH-1 hairless 마우스를 활용한 전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HaCaT 세포는 UVB 조사 이후 Collagen 1A와 MMP-1 그리고 -13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마우스 실험은 총 50마리의 마우스를 5군으로 구분한 다음 NOR을 제외한 모든 마우스에 UVB를 조사하고 양성대조군인 retinoic acid 혹은 실험물질인 CTP (17, 34 mg/kg)를 섭취시키며 실험하였다. CTP는 HaCaT 세포의 Collagen 1A 증가 및 MMP-1와 -13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UVB 조사를 통해 증가된 실험동물의 피부 주름 수와 깊이 그리고 넓이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CTP의 섭취는 UVB 조사에 따라 파괴된 피부조직 내 콜라겐의 양과 밀도를 정상적으로 회복시켰을 뿐만 아니라 Collagen 1A의 발현 증가 및 MMP1과 -13의 발현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UVB 조사에 의한 주름 생성을 감소시킨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실험은 CTP 섭취가 콜라겐 붕괴에 관여하는 MMPs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이와는 반대로 Collagen 1A의 발현은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외관의 주름 수와 넓이 혹은 깊이를 개선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돌나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dum sarmentosum Bunge on Colla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 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14-1119
    • /
    • 2003
  • 폐경을 앞둔 여성에게는 폐경을 전후하여 지속되는 골 손실 가속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난소 절제 쥐에서의 골 손실의 유무를 결합조직 중의 collagen함량 변화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 절제 후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에 비해 낮았으나 돌나물 추출물 투여에 의해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난소 절제시 나타나는 결합조직 중 collagen 함량 저하에 대하여 돌나물 추출물의 작용 가능성이 밝혀졌으므로, 돌나물을 분획하여 그 효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생화학적 골 대사 지표인 혈 중 ALP 활성은 난소 절제로 (OVX-control)로 인하여 증가하는 반면,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 투여 (OVX-EE, OVX-EA)로 혈 중 ALP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골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물 투여에 의해 폐 조직과 골$.$연골 조직에서 collage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중 연골 조직에서는 collagen 함량의 저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피부 조직에서도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물 투여군 모두에서 collagen 합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나물 추출물과 분획물이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Collagen 합성저하를 회복시킨 본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돌나물 중의 phytoestrogen이 에스트로겐 유사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외인성 에스트로겐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폐경기 여성에게 돌나물의 섭취는 폐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에스트로겐의 장기간 복용에 의한 부작용을 돌나물 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 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그 부작용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의 구조 및 기전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오디가 난소를 절제한 흰쥐 결함조직 중의 collagen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Fruits on Colla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 최경하;박미화;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22-1027
    • /
    • 2005
  • 폐경을 앞둔 여성에게는 폐경을 전후하여 지속되는 골 손실 가속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난소 절제 쥐에서의 골 손실의 유무를 결합조직 중의 collagen함량 변화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생화학적 골 대사 지표인 혈 중 ALP활성은 난소 절제로(OVX-control)로 인하여 증가하는 반면,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OVX-EE, OVX-EA)로 혈 중 ALP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골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에 의해 폐 조직과 골 $\cdot$ 연골 조직에서 collage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중 연골 조직에서는 collagen 함량의 저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피부 조직에서도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collagen 합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오디 추출물이 estrogen감소로 인한 collagen 합성저하를 회복시킨 본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오디 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유사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국내산 오디뿐만 아니라 중국산 오디에서도 갱년기 유도에 의한 collagen 함량 저하를 회복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외인성 estrogen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폐경기 여성에게 오디의 섭취는 폐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estrogen의 장기간 복용에 의한 부작용을 오디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그 부작용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의 구조 및 기전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매생이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 결합조직의 collage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psosiphon fulvecense Extract on Colla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 박미화;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19-1224
    • /
    • 2006
  • 여성의 폐경에 의한 estrogen의 감소는 골다공증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새로운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매생이 추출물을 인위적 갱년기 장애를 유발시킨 흰쥐에 투여하여 혈 중 ALP활성 변화와 골 중의 collagen의 함량 및 collagen 가교물질 pyridinoline과 deoxypyridinoline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매생이 추출물을 갱년기를 유도한 흰쥐에 투여하여 혈 중 ALP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난소절제에 의하여 ALP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매생이 추출물 투여한 군에서 ALP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난소절제에 의해 연골의 collagen 함량이 감소되었는데, 이는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정상적인 수치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매생이 추출물이 골 대사와 관련된 골 대사질환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collagen 가교물질로써 골대사의 biomaker인 pyridinoline 및 deoxypyridinoline의 연골 중의 함량은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하였고, 매생이 추출물 투여에 의해 증가하여 estrogen부족으로 인한 골 손실에 매생이 추출물이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매생이 중에 함유되어 있는 phytoestrogen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어 앞으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타민 C가 in vitro 계에서 콜라겐 미숙가교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scorbic Acid on the Formation of Immature Crosslink in Bone Collagen in vitro)

  • 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332-1338
    • /
    • 1999
  • Intermolecular collagen cross links stabilize collagen fibrils and are necessary for normal tensile strength in collagen fibrils. Once the fibrils are aligned, hydroxyllysine, hydroxylysine derived aldehyde modified enzymatically, reacts with hydroxylysine to form the dehydrodihydroxylysinonorleucine (DHLNL), an immature crosslink. Pyridinoline, one of matured cross links is presumably formed nonenzymatically through condensation of DHLNL and hydroxylysine residue. It is widely distributed in hard connective tissues such as cartilage, bone and tendon. L ascorbic acid(AsA) is well known to be required for the enzymatic hydroxylation of proline and lysine in collagen fibr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ole of AsA on the biosynthesis of DHLNL in vitro. We examined the effect of AsA on the formation of hydroxylysine and DHLNL in collagen. Pyridinoline and DHLNL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ime. The contents of DHLNL was increased, reached maximum within 2 hr and was held until 24 hr, then it decreased slowly. On the contrary, pyridinoline increased gradually after 24 hr and continued to increase for 2 weeks. Moreover, the contents of DHLNL remarkably decreased at 60 min after incubation, the contents of DHLNL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AsA or dehydroascorbic acid(D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pplementation of AsA causes decrease in DHLNL formation and pyridinoline formed by nonenzymatic reaction of DHLNL.

  • PDF

The Suppressive Effect of Pueraria lobata Root Extract and Its Biotransformed Preparation against Skin Wrinkle Formation

  • Koo, Hyun Jung;Lee, SungRyul;Kang, Se Chan;Kwon, Jung Eun;Lee, Da Eun;Choung, Eui-Su;Lee, Jong-Sub;Lee, Jin Woo;Park, Yuna;Sim, Dong Soo;Sohn, Eun-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2-279
    • /
    • 2017
  • EP was obtained through 20% ethanol extraction of Pueraria lobata root, and the fermented form of EP, FEP, was prepared from the EP after incubating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There was no significant toxicity by EP and FEP up to $1000{\mu}g/ml$ in NIH-3T3, HaCaT, and B16F10 cells. In addition to antioxidant potentials of EP and FEP determined by DPPH and ABST assays, we confirmed increase of procollagen type I and elastin synthesis by supplementation of the EP and FEP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using ELISA kits.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matrix metalloprotease (MMP)-1, -3, and -9, those are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collagen or other skin matrix proteins, were remarkably suppressed while their inhibitory protein metallopeptidase inhibitor 1 (TIMP-1) was greatly up-regulated by supplementation of the EP and FEP at a concentration of $50{\mu}g/ml$. Taken together, both EP and FEP supplementation could be involved in the suppression of the skin wrinkle formation through inhibiting degradation of collagen and stimulat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elast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wrinkle potential of the EP and FEP will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developing cosmeceutical compounds or products.

숭어(Mugil cephalus) 비늘 유래 가용성 콜라겐 펩타이드가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luble Collagen Peptides Extract Derived from Mugil cephalus Scale on the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 김한수;윤호동;성종환;이영근;;김수하;최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94-1801
    • /
    • 2009
  •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한 가용성 펩타이드 추출물이 streptozotocin (STZ 55 mg/kg BW, IP injection)으로 유도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있어서, 혈당 및 혈청 지질개선효과와 당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변동을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인 CG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군(SW군), 당뇨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SFW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당뇨 유발군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급여함으로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 농도,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 등은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SFW군)에서 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 등은 콜라겐펩타이드 섭취(SFW군)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중 alkaline phosphatase (ALP) 및 aminotransferase(AST, ALT)의 활성은 STZ으로 당뇨를 유도 시킨 후 콜라겐펩타이드를 섭취시킴으로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등에서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성 흰쥐의 혈당조절 기능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당뇨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타민 E 보강식이가 당뇨 KK마우스에서 당화단백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Glycosylation Products in Diabetic KK Mice)

  • 안현숙;임은영;김해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914-919
    • /
    • 1997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the protein glycosylation in vivo. Weaned KK-mice were fed high fat diet containing 20% corn oil(wt/wt), and sacrificed at 4, 6, and 0 months of age. High vitamin E diet was the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an excess amount of 이-$\alpha$-tocopheryl acetate(2080IU/kg diet). We measured $HbA_{1C}$ as a glycosylation early product, and collagen-linked fluorescence (CLF) of skin as a glycosylation and product. We found that diabetic group had increased levels of $HbA_{1C}$ within 2 months after onset of diabetes and during the experiments. The skin CLF increased dramatically 5 months after onset of diabetics. Treatment with vitamin E did not modify the level of blood glucose. However, we observed a significant lowering in CLF and $HbA_{1C}$ in diabetic mice.

  • PDF

난소절제 쥐에서 칼슘섭취수준에 따른 망간의 보충이 골격상태 및 칼슘평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nganese Supplementation on Bone Status and Calcium Balance in Ovariectomized Rats according to the Calcium Intake Levels)

  • 배윤정;손은화;김병철;서동완;김미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3호
    • /
    • pp.206-21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ganese (Mn) supplementation on bone status and calcium balance in ovariectomized rats according to the calcium intake levels. Total of 50 Sprague Dawley female rats (6 week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bred for 12 weeks: sham operated control group (SACa), OVX Ca deficiency group (OLCa) with Ca deficiency diet (0.1% Ca modified AIN-93N diet), OVX Ca deficiency & Mn supplement group (OLCaMn), OVX adequate Ca group (OACa; 0.5% Ca AIN-93N diet) and OVX adequate Ca & Mn supplement group (OACaMn). BM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femur was increased by Mn supplementation in OVX adequate Ca group. However, BMDs of spine, femur and tibia were lowered in OLCa compared to the OLCaMn group. Bone strength of tibia in OLCaM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LCa group. Serum ALP (alkaline phosphatase) and CTx (C-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variectomized rats than those in the sham group, but they were not changed by Mn supplementation. Ca retention rate and Ca absorption rate did not differ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Urinary Ca excretion was increased by Mn supplementation in Ca deficiency rats. In summary, Mn supplementation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ovariectomized rats with which intake adequate Ca. However, Mn supplementation on Ca deficiency ovariectomized rats resulted in decrement of BMO and bone strength by increasing Ca excretion. Therefore, it is encouraged to consider calcium intake levels in supplementation of manganese in order to prevent postmenopausal osteoporosis and to keep bone healthy. (KoreanJNutr2008; 41(3): 206~215)

Effece of Chlorella Dietary Supplementation on Bone Biochemical Markers of Turnover in Postmenopausal Women

  • Kim, Yong-Ho;Hwang, Yoo-Kyeong;Hwang, Jung-Min;Seoung, Hee-Kyung;Kim, Dong-U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3
    • /
    • 2003
  • Currently bone biochemical markers are considered to be the best indicators of present and the future state of bone turnover. A recent study has reported that chlorella increases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n postmenopausal women, but presently there are no studies on bone biochemical markers treated with chlorella dietary sup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bone biochemical markers for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treatment groups, and non-treatment group as a control. Twenty two postmenopausal woman were treated for four months and eighteen for one year with 4 gm of chlorella dietary supplementation per day, and then assessed bone biochemical markers from serum and urine samples. Bone turnover rates calculated with Osteocalcin (OC),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P) as a bone formation markers and deoxypyridinoline (DP), cross-linked N-telopeptides of type I collagen (NTx) as a bone resorption markers, showed 1131$\pm$87% for control group, 61$\pm$11% for short term treated group and 190$\pm$101% for long term treated group. We conclude that chlorella dietary supplementation enhances the bone formation, and NTx as a single markers, OC/Dp as a single markers of bone turnover rate were very useful tools for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chlorella dietary supplementation (or the postmenopausal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