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immunomodulator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levels and molecular weights of fungal β-glucan on performances, health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 Kovitvadhi, Attawit;Chundang, Pipatpong;Tirawattanawanich, Chanin;Prathumpai, Wai;Methacanon, Pawadee;Chokpipatpol, Krit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48-1557
    • /
    • 2019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levels and molecular weights of fungal ${\beta}$-glucan on productive performances, health,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Methods: Two hundred and ten of one-day-old chicks with equal sex were assigned to seven experimental groups in $2{\times}4$ factorial arrangement. These groups were supplemented with (0, 10, 30, and 60 ppm) of molecular weight 1-3, 1-6 ${\beta}$-glucan (low or high). High molecular weight ${\beta}$-glucan (H: 943 kDa) was obtained from Ophiocordyceps dipterigena BCC 2073, whereas H with ${\gamma}$-Irradi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to achieve low molecular weight ${\beta}$-glucan (L: 8 kDa).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roductive performances, apparent digestibility and interaction between fixed factors along 42 days of experiment (p>0.05). A higher caecal amylase activity was present in the group that received L, while there was a dramatic decrease in H and the control groups, respectively (p<0.05). The increase of supplemental dose increased caecal amylase activity (p<0.05). Immunomodulatory effects from L was revealed by the marked increase of phagocytic activity, relative weight of thymus and bursa of fabricius (p<0.05). Similarly, the additive dose at 30 ppm provided the same results, wherea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upplementation at 60 ppm was an increase in phagocytic activity (p<0.05). Interestingly, villi height of broilers fed L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The treatments did not influence haematology, blood chemistry, antibody production level against vaccinati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p>0.05).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L at 30 ppm was suggested to achieve benefits of immune modulation without adverse effects on other parameters.

RAW264.7 대식세포에서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의 면역활성 증진 효과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argassum horneri extracts in RAW264.7 macrophages)

  • 김동섭;성낙윤;박상윤;김건;엄지;유진곤;서인라;한인준;조용백;김경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6호
    • /
    • pp.507-51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모자반목 모자반과 갈조류인 괭생이 모자반의 3가지 서로 다른 추출물의 면역활성 가능성을 비교연구하기 위하여 RWA264.7 대식세포에 서로 다른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여 $TNF-{\alpha}$, IL-6 및 NO 분비능과 MAPK 신호전달경로 및 $NF-{\kappa}B$ 활성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괭생이 모자반 열수추출물, 주정추출물, 그리고 초임계추출물 중 괭생이 모자반 열수추출물이 세포독성은 없는 농도 ($50{\mu}g/mL$)에서 $TNF-{\alpha}$, IL-6의 생성뿐 아니라 iNOS 활성화를 통한 NO 분비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괭생이 모자반 열수추출물의 면역증진 효과는 MAPK 신호전달경로 및 $NF-{\kappa}B$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괭생이 모자반 열수추출물의 면역활성 증진 가능성을 제시하여 향후 대식세포의 활성 유도를 통한 면역증진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소아 영양 및 유아식 응용을 위한 신바이오틱스의 잠재력: 총설 (Potentials of Synbiotics for Pediatric Nutrition and Baby Food Applications: A Review)

  • 정후길;김선진;석민정;차현아;윤슬기;이나현;강경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11-118
    • /
    • 2015
  •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등의 물질과 미생물을 조제분유에 강화하여 건강증진 기능성 유산균, 특히 비피더스균과 유산간균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장내균총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모유 수유가 장내균총에 미치는 유용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새로운 신바이오틱 조제분유가 제안되었다. 새로운 신바이오틱스는 상승 효과로 인해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조제분유 및 건조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공 기술 및 저장 조건 등이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충분한 유산균수($10^8cfu/g$)로 장내 예정된 부위에 도달하여 숙주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식품 제조공정 및 위장관 통과 시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며, 높은 생물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적절하고 비용 효율적인 마이크로캡슐화 기술이 개발되면 조제분유의 품질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는 살아 있는 생균체가 장내균총에 유익하게 영향을 미쳐 면역조절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균체가 항-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최근에, 사균체 또는 정제되지 않은 미생물 분획물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명확하게 정의할 새로운 용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결과, 충분한 양을 경구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했을 때 인간과 동물에게 이로운 작용을 하는 사균체(손상되지 않거나 또는 파손된)나 정제되지 않은 세포 추출물(즉, 복잡한 화학적 조성)을 정의하기 위해 paraprobiotics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프로바이오틱 균주 또는 프리바이오틱스를 조제분유에 강화했을 때 조제분유 수유아의 분변 미생물균총이 조정된다. 즉, 비피더스균 및 유산간균과 같은 건강 유익한 세균을 증가 시킴으로써, 프리바이오틱스는 분변 미생물균총의 조성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서 면역계의 활성을 조절한다. 따라서, 품질 향상을 위한 조제분유의 개발은 토착 장내균총의 대사 활성과 증식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비피더스균 등의 특정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눌린과 올리고당 등의 프리바이오틱스를 사용하여, 모유의 건강 유용 효과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PDF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Water Extract on Immune Response in BALB/c Mice)

  • 강인순;김랑이;김광섭;김나리;신중엽;김채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29-16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서 면역기관의 무게와 세포증식, 자연살해세포 활성,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고 대식세포 증식과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BALB/c 마우스에 저(4 mg/kg), 중(20 mg/kg), 고(100 mg/kg) 농도의 신령버섯을 21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희생하여 체중 및 면역장기 무게, 비장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령버섯은 마우스의 체중, 간, 비장, 흉선의 무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장세포의 증식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비장세포의 IL-4과 IL-1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마우스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한 in vitro 실험에서는 신령버섯 $5{\sim}100{\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비장세포의 증식과 $IFN-{\gamma}$ 생성을 증가시켰다. 신령버섯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을 $100{\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령버섯을 마우스에 3주간 투여하면 동물의 체중, 면역장기의 무게와 면역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70% 가량 증가시키며 IL-4와 IL-12의 생성을 억제한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하면 세포증식과 $IFN-{\gamma}$ 분비가 증가되고,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과 NO 생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신령버섯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죽이는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멍갈파래의 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추출방법 비교 (The Comparison of Extraction Process for Enhancement of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Ulva pertusa kjellman)

  • 한재건;하지혜;최영범;고정림;강도형;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0-385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도의 녹조현상의 원인인 구멍갈파래의 활용을 위해 고압추출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면역활성 확인 하였다. 150 MPa, $80^{\circ}C$ 조건에서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에서는 90% 로 활성도가 제일 높았으며, 면역세포 생육도면에서도 B&T cell, 각 각 $14.2{\times}10^4$ cells/mL $14.5{\times}10^4$ cells/mL 나타나 제일 높았다. 반면, NK cell과 NO 면역능 실험에서는 100MPa, $30^{\circ}C$ 조건에서 각각 $11.8{\times}10^2$ cells/mL, 30.0 ${\mu}M$을 보여 주었다. 결과를 통해 구멍갈파래는 면역활성을 가지며 고압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활성이 일반추출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조류 및 다른 유용 자원에서도 고압 공정이 기존의 추출방법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며 기능성 식품이나 기능성 소재로서 사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한약재의 수지상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 of Some Herbal Plant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 김도순;박정은;조현욱;주우홍;이성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통권83호
    • /
    • pp.427-434
    • /
    • 2007
  • 본 실험에서는 일부 한약재를 이용하여 수지상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한 여섯 가지 한약재 중 선별된 천궁과 당귀는 수지상세포의 항원 제시 능력에 영향을 미쳐, T 세포 증식 반응을 증가시켰고, IL-2와 IFN-r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T 세포의 활성은 수지상세포의 세포표면 단백질인 MHC classII와 CD86, 그리고 CD11c의 발현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실험에서 선별된 천궁과 당귀는 수지상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순도 β-1.3/1.6-Glucan이 대식세포 및 자연살해세포와 T 세포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Purity β-1.3/1.6-Glucan on Macrophages, Natural Killer Cells, and T Cell-Mediated Factors)

  • 권한올;이민희;박수정;이다솜;김혜숙;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64-15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순도 ${\beta}$-1.3/1.6-glucan이 선천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와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와 적응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 세포 면역계에 대한 면역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대식세포의 활성능,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능, 그리고 T 세포 면역계에 조절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 CD4+/CD8+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마우스 복강에서 불리한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고순도 ${\beta}$-1.3/1.6-glucan $10{\sim}200{\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고순도 ${\beta}$-1.3/1.6-glucan은 대식세포의 활성능,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능에 도움을 주어 활성능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 침입한 미생물,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T 세포 면역계에 조절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과 CD4+/CD8+를 확인한 결과 고순도 ${\beta}$-1.3/1.6-glucan이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량 및 CD4+/CD8+를 증가시켜 T 세포 면역계에 조절뿐아니라 B 세포 면역계의 조절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순도 ${\beta}$-1.3/1.6-glucan은 선천면역뿐 아니라 적응면역에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며 면역조절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므로 추후 면역 조절제로서 기능성 식품의 상업화에 기초 자료가 되어 국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인간 폐섬유아세포에서 TGF-β 자극에 의한 VEGF 분비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promot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lease by human lung fibroblasts)

  • 박상욱;신주화;심재원;김덕수;정혜림;박문수;심정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8호
    • /
    • pp.879-885
    • /
    • 2008
  • 목 적 : 폐섬유아세포는 예전에는 기도의 구조적 세포로만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천식에서 기관지 운동의 톤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기도의 면역조절과 기도 개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VEGF는 혈관 내피세포에서 강력한 작용을 하는 다기능적 사이토카인으로서, 상피내 세포의 세포분열을 유도하고, 상피세포의 투과도를 증가시키며, 상피세포의 이동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RC는 Th2 세포의 선택적 이동을 유도하는 케모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GF와 TGF-${\beta}$로 자극시킨 인간 폐섬유아세포에서 VEGF와 TARC가 생성되는지와 dexamethasone이 폐섬유아세포에서 VEGF의 분비를 억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폐섬유아세포와 기관지 평활근 세포와 함께 배양했을 때 VEGF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단독배양 시와 비교하였다. 방 법 : 폐섬유아세포와 인간 기관지 평활근세포를 각각 혹은 함께 배양한 뒤 48시간동안 무혈청 배지에서 성장을 정지시킨 후 TGF-${\beta}$ (10 ng/mL)와 PDGF (20 ng/mL)로 자극하였다. 자극 후의 세포 증식 반응과 배양액 상층액의 VEGF, TARC 농도를 측정하여 dexamethasone ($10^{-6}M$)으로 전처치 후 자극한 것과 비교하였다. 결 과 : PDGF와 TGF-${\beta}$로 자극하였을 경우 폐섬유아세포에서 VEGF 분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특히 PDGF와 TGF-${\beta}$로 함께 자극하였을 경우 더욱 의미있는 상승을 보였다. Dexamethasone은 폐섬유아세포의 VEGF 분비를 PDGF로 자극한 경우와 PDGF, TGF-${\beta}$ 같이 자극한 경우 모두에서 억제하였다. 인간 기관지 평활근 세포와 폐섬유아세포를 혼합 배양했을 때 VEGF 분비에는 상승적인 효과가 없었다. Dexamethasone은 폐섬유아세포 증식을 억제시키지 않았다. 폐섬유아세포를 PDGF와 TGF-${\beta}$로 자극했을 때 TARC는 분비되지 않았다. 결 론 : 폐섬유아세포는 VEGF 분비를 통해 기도 개형에 관여하며, 기관지 평활근 세포와 함께 배양해도 VEGF 분비에 상승 효과는 없다. Dexamethasone은 VEGF 분비를 억제하였으나 폐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Effect of Galacto-mannan-oligosaccharides or Chitosan Supplementation on Cytoimmunity and Humoral Immunity in Early-weaned Piglets

  • Yin, Y.-L.;Tang, Z.R.;Sun, Z.H.;Liu, Z.Q.;Li, T.J.;Huang, R.L.;Ruan, Z.;Deng, Z.Y.;Gao, B.;Chen, L.X.;Wu, G.Y.;Kim, S.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723-731
    • /
    • 2008
  • Immunomodulatory feed additives might offer alternatives to antimicrobial growth promoters in pig production.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galacto-mannan-oligosaccharide (GMOS) and chitosan oligosaccharide (COS) supplementation on the immune response in early-weaned piglets. Forty 15-day-old piglet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with an average live body weight of $5.6{\pm}0.51kg$ were weaned and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 groups that were fed maize-soybean meal diets containing either basal, 110 mg/kg of lincomycin, 250 mg/kg of COS or 0.2% GMOS, respectively, over a 2-week period. Another six piglets of the same age were sacrificed on the same day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for sampling, in order to obtain baseline values. Interleukin (IL)-1${\beta}$gene expression in peripheral blood monocytes, jejunal mucosa and lymph nodes, as well as serum levels of IL-1${\beta}$ IL-2 and IL-6, IgA, IgG, and IgM, were evaluated for 5 pigs from each group at 15 and 28 days of 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weaning stress resulted in decreases in serum antibody and cytokine levels.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GMOS or COS enhanced (p<0.05) IL-1${\beta}$gene expression in jejunal mucosa and lymph nodes, as well as serum levels of IL-1${\beta}$ IL-2, IL-6, IgA, IgG and IgM compared to supplementation with lincomyci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MOS or COS may enhance th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in early-weaned piglets by modulating the production of cytokines and antibodies, which shows that GMOS or COS have different effects than the antibiotic on animal growth and health.

산양유 발효유의 면역 활성 및 체력증진 효과 (Effects of Fermented Goat Milk on Immunomodulatory Activity and Physical Strength in Mice)

  • 오광훈;김아롱;배종환;이경복;유영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4-18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산양유 발효유(F-GM)의 급여가 면역 활성과 체력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GM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세포는 림프구 유사분열 촉진인자인 ConA와 LPS에 대한 증식반응의 상승을 나타내었다. ConA를 처리한 비장세포로부터 분비되는 cytokine을 ELISA법에 의해 정량한 결과 F-GM 투여에 의해 IL-2와 IFN-${\gamma}$의 생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IL-4 및 IL-10의 생성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RT-PCR을 이용한 이들 cytokine mRNA의 정량실험에서도 F-GM 투여로 IL-2와 IFN-${\gamma}$의 mRNA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KLH(20 mg/mouse)를 정상 대조군 마우스 혹은 F-GM을 급이한 마우스에 각각 면역하고 5주째에 KLH에 대한 항체가를 측정한 결과 F-GM을 급이한 마우스에서 항체가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LH에 대한 항체의 isotype을 조사한 실험에서는 KLH에 대한 IgG1, IgG2a 그리고 IgM 특이항체의 상승이 관찰되었다. F-GM 경구 투여가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면역개시 7주째의 마우스를 이용하여 KLH에 대한 지연형 과민반응(DTH)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GM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 DTH의 유의한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수영시험을 통해 F-GM의 경구 투여가 체력증강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F-GM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매우 유의한 수영시간의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F-GM은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통한 면역력 강화는 물론 체력을 증가시키는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