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ultivation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29초

Allylisothiocyanate첨가가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배양중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lylisothiocyanate on the Enzyme Activities During the Culture of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 김성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1
    • /
    • 1997
  • Effect of allylisothiocyanate on the enzyme activites including malate degydrogenase, isocitrate dehydrogenase, NADPH and acetyl CoA which were related to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ticus R-716 were invetigated. The activities of malate dehydrogenase (EC.1.1.1.37), isocitrate dehydrogenase (E.C.1.1.1.42) and NADPH oxidase (E.C.1.6.99.1) indicated relatively high in the 50 ppm allylisothiocyanate-added-culture. In contrast, the activity of acetyl CoA in the 50 ppm allylisothiocyanate-added-culture showed rather lower level through the cultivation.

  • PDF

THP-1 Cell과 HUVEC을 이용한 Co-Culture Model System에서 최종당화산물에 의한 Cytokines와 RAGE 발현 (Co-Culture Model Using THP-1 Cell and HUVEC on AGEs-Induced Expression of Cytokines and RAGE)

  • 이광원;이현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85-392
    • /
    • 2011
  • Glyceraldehyde를 이용하여 제조된 AGEs 화합물(glycer-AGEs)을 단구세포인 THP-1, 혈관내피세포인 HUVEC 및 이 두 세포가 동시에 배양된 system에서 100 ${\mu}g/mL$로 처리 후 24시간까지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배양시간 동안 각 세포와 배양액을 회수하여 TNF-$\alpha$와 IL-1$\beta$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THP-1의 경우 배양 2시간에서 TNF-$\alpha$나 IL-1$\beta$의 mRNA 발현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혈관내피세포인 HUVEC의 경우에는 24시간 배양하는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세포를 동시에 배양한 system에서 혈관내피세포인 HUVEC의 경우에는 배양 4시간에서 대조구보다 TNF-$\alpha$의 발현은 4.4배, IL-1$\beta$의 경우 5.5배 정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NF-$\alpha$와 IL-1$\beta$의 배지 내에서의 농도를 측정해 본 결과, THP-1만 배양한 경우 대조구의 배지 내 TNF-$\alpha$ 함량이 배양 6시간에 98.2 pg/mL로 대조구 53.8 pg/mL보다 증가하였으며 HUVEC의 경우 배양 8시간에 93.3 pg/mL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co-culture의 경우 배양 4시간부터 증가하여 배양 8시간에 199.2 pg/mL로 증가하였다. RAGE는 TNF-$\alpha$와 IL-1$\beta$의 발현 pattern과 다르게 단독 및 co-culture에서 배양 16시간에 대조구에 비해 각각 1.6배, 24시간에 1.9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최종당화산물에 의해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상실의 연구에 있어 co-culture조건이 유용하며, 특히 mRNA 수준에서는 4시간에, protein 수준에서는 8시간에 효능을 측정하면 유효성 있는 연구 성과를 얻을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흰깔대기버섯의 배양적 특성 및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 Clitocybe maxima)

  • 김민경;김동욱;강희완;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35-47
    • /
    • 2018
  • 흰깔대기버섯(Clitocybe maxima) 총 6균주를 한국, 중국, 대만에서 수집 확보하였으며, 중국과 대만에서 각각 수집한 C. maxima와 L. giganteus는 중국명이 동일하고 배양적 특성 결과 동일종으로 판단되었다. 수집된 흰깔대기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은 한천배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액체배양에서는 YPMG에서 가장 좋았다. 또한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 자실체 유도 최적온도는 30℃로 밝혀졌으며 균사생장 최적 pH는 6.0-8.0으로 밝혀졌다. 흰깔대기버섯을 인공재배하기 위하여 농산부산물 및 임업부산물을 이용하여 배양적 특성 및 인공재배를 실시하였으며, 볏짚, 미루나무톱밥, 콘코브, 미송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여 이를 재배용 배지 재료로 선발하였다. 공시균주를 접종한 7 종류의 배지에서 균사생장 속도는 폐면, 혼합배지2, 미루나무톱밥 순으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흰깔대기버섯을 인공재배하기에 가장 적합한 배지는 혼합배지2(배합비 : 활엽수톱밥 55%, 면실피펠렛 5%, 면실박 10%, 비트펄프 15%, 팽연왕겨 15%)이며, 배양에서부터 수확까지 30여일 소요되어 느타리버섯보다 빠른 수확이 가능하였다. CMA-003 균주는 공시된 모든 배지에서 자실체 유도처리 8~10일 후 자실체 원기 형성되었고, CMA-003 균주는 다발성 발이를, 그 외의 균주들은 개체발이를 보이며, 원기 발생 후 7~17일 생육으로 자실체 수확 할 수 있었다. 다발성인 CMA-003 균주의 대길이, 갓직경과 개체중량은 개체 발이하는 다른 균주들보다 작았지만, 수확률이 높아 농가 재배용 균주를 선발하였다. 흰깔대기버섯 자실체 유도 및 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5~30℃, 백색형광등 8시간/1일 조사, 상대습도 : 90~95%, 재배실 CO2 농도 1,500 ppm 이하로 유지하여, 국내의 여름철 고온기에 냉방시설이 없는 간이재배사, 영세 느타리버섯 재배 농가에서 재배 가능하였다.

골프장 putting green 근권(根圈)에서의 이산화탄소 $(CO_2)$ 함유량 ([ $CO_2$ ] Content in Golf Green Rhizosphere)

  • ;;;옥창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7-104
    • /
    • 2004
  • Putting green의 높은 이산화탄소 함량은 많은 골프장 관리자들에게 있어서 green 관리시 항상 난제로 여겨져 왔다. 무기성 토양은 green 근권(根圈:토양 중에서 뿌리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자유산소를 제한하며 그로 인하여 뿌리발달을 방해하며 잔디성장을 위한 영양분이 용도를 제지시킨다. 이 실험은 현 운영되는 골프장 (South illinois, Carbondale, U,S,A) 에서 선택 되어진 아홉 개의 green 에서 근권의 $CO_2$ 함유량과 잔디품질 (Turf qualify Index) 사이의 관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행되어졌다. 아홉개의 putting green에서 각 green 의 다섯 곳의 소구획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1998년 8월 부터 1999년 8월 까지 일곱번의 반복으로 잔디품질, $CO_2$ 함유량, 수분함량과 수분 침투율 (Infiltration rate) 을 측정하였다. $CO_2$ 함유량은 이른 봄 보다 늦은 여름에 높았으며 $CO_2$ 함유량이 높아짐에 따라 잔디품질은 급격히 낮아졌다.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CO_2$ 함유량이 높았으며 반대로 수분 침투율은 낮아짐을 보였다. 높은 수분 침투율은 $CO_2$ 함유량을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알맞은 토양의 물리적 조건(수분 함량과 침투율)이 $CO_2$ 함유량과 잔디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잔디품질의 향상을 위해 putting green root zone의 알맞은 배수와 함께 근권의 공기 조건이 매우 중요함이 이 실험을 통해 조사되었다.

Effects of Tillage and Cultivation Methods on Carbon Accumulation and Formation of Water-stable Aggregates at Different Soil Layer in Rice Paddy

  • Kim, Sukjin;Choi, Jong-Seo;Kang, Shingu;Park, Jeong-Hwa;Hong, Sunha;Kim, Tae-su;Yang, Woo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34-643
    • /
    • 2017
  • No-tillage is an effective practice to save labor input and reduce methane emission from the paddy. Effects of tillage and cultivation methods on carbon accumulation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s of tillage-transplanting (T-T), tillage-wet hill seeding (T-WS), minimum tillage-dry seeding (MT-S) and no-tillage dry seeding (NT-S) of rice. Soil carbon was higher in NT-S and MT-S, compared to T-T and T-WS. In NT-S and MT-S, soil carbon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top soil (5 cm depth) and decreased with soil depth. In T-T and T-WS, however soil carbon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up to soil depth of 15 cm from the top. Carbon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soil particle size under $106{\mu}m$ and decreased as the soil particle size increased. Contents of water-stable aggregates in NT-S and M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T and T-WS. In NT-S and MT-S, contents of water-stable aggregates were the highest in the top soil a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oil depth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up to the soil depth of 15 cm in T-T and T-WS. Available $SiO_2$ contents in the top soil were the highest in NT-S and MT-S while the lowest in T-T and T-WS. It is concluded that minimum or no disturbance of soil in rice cultivation can increase carbon accumulation in the soil, especially in the top layer, and subsequentl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water-stable soil aggregates.

미세조류에 의한 $CO_2$ 고정화 연구 (Carbon dioxide fixation by microalgae photosynthesis)

  • 성기돈;이진석;이준표;김미선;박순철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82-87
    • /
    • 1995
  • Carbon dioxide fixation by microalgae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no requirements for the pretreatment over phycal and/or chemical $CO_2$ fixation processes. Chlorella sp. HA-1, fresh algae. and Chlorococcum littorale. marine algae, were used to do $CO_2$ fixation work. The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light intensity and $CO_2$ concentration. Chlorella sp. HA-1 has the maximum growth rate at 8 Klux and 10% $CO_2$ concentration. Chlorococcum littorale showed the maximum growth at similar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e feasibility of the Chlorella HA-1 and Chlorococcum littorale for mass cultivation using flue gas.

  • PDF

재배 시 brushing 처리에 따른 어린잎 채소 다채의 생육과 수확 후 선도 차이 (Growth and Postharvest Freshness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f Vegetable as Affected by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 이정수;도경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5
    • /
    • 2012
  • 새싹이나 어린잎과 같이 싹을 길러 이용할 수 있는 채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조직이 연해 수확 후 급격히 품질이 저하되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확 전 재배에서부터 개선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다채의 어린잎 채소를 재배 중에 brushing처리를 주어 생육 및 재배 후 포장하여, 중량감소, 선도와 SPAD 등의 수확 전 요인에 따른 수확 후 변화 요인을 조사하였다. 수확 시 다채의 생육은 무처리구에 비해 물리적 brushing처리구에서 초장이나 생체중은 적었으나, 조직이 치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중 brushing처리한 어린 다채 잎은 저장 중 생체중량 변화, $O_2$ 소모나 $CO_2$ 축적 정도, 색차 변화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SPAD값이나 선도에서는 처리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린 다채 잎은 재배 중 물리적 brushing처리로 식물 조직이 치밀해지고, 생육은 적어졌으나, 포장 후 저장 특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선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잎 채소 다채는 재배 중 brushing처리에 의한 물리적 처리가 수확 후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아, 다른 방법으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Quantitative analysis of Spirulina platensis growth with CO2 mixed aeration

  • Kim, Yong Sang;Lee, Sang-H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216-222
    • /
    • 2018
  •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pirulina platensis were investigated using four photo-bioreactors with $CO_2$-mixed air flows. Each reactor was operated under a specific condition: 3% $CO_2$ at 50 mL/min, 3% $CO_2$ at 150 mL/min, 6% $CO_2$ at 50 mL/min, and 6% CO2 at 150 mL/min. The 3% $CO_2$ at 150 mL/min condition produced the highest algal growth rate, while the 6% $CO_2$ at 150 mL/min conditioned produced the lowest. The algal growth performance was suitably assessed by the linear growth curve rather than the exponential growth. The medium pH decreased from 9.5 to 8.7-8.8 (3% $CO_2$) and 8.4-8.5 (6% $CO_2$), of which trends were predicted only by the pH-carbonate equilibrium and the reaction kinetics between dissolved $CO_2$ and $HCO_3{^-}$. Based on the stoichiometry between the nutrient amounts and cell elements, it was predicted that depleted nitrogen (N) at the early stage of the cultivation would reduce the algal growth rates due to nutrient starvation. In this study, use of the photobioreactors capable of good light energy distribution, proper ranges of $CO_2$ in bubbles and medium pH facilitated production of high amounts of algal biomass despite N limitation.

스마트팜 운영시 빗물 재활용을 통한 농촌지역 지하수 사용량 대체 효과 실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ainwater Recycling to Replace Groundwater in a Smart Farming Greenhouse)

  • 유정현;김은정;윤철구;손봉호;이규회;한영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5호
    • /
    • pp.51-58
    • /
    • 2023
  • In this study, an empir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replacing groundwater with rainwater in melon cultivation using a smart rainwater harvesting system. The rainwater harvesting efficiency was calculated under three different melon cultivation scenarios. After cultivation, the quality of the fruits grown with rainwater and groundwater was compared by examining the weight, degree of sweetness, and flesh hardness of the produ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smart rainwater harvesting device was suitable for melon cultivation to provide better hardness and chloride levels than groundwater. It was also estimated that about 40% of the total water demand for full growth of the melon could be supplied by rainwater. The fruit weight and sweetness were equivalent or slightly better for the melons cultivated with rainwater than those cultivated with groundwater. In particular, the flesh hardness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rainwater cultivation.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 that rainwater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groundwater to preserve groundwater resources without compromizing the produced fruit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