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ver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8초

A Scanning Calorimetric Study of the Effect of Clover Saponin on Liposomal Phospholipid Membrane

  • Bae, Song-Ja;Han, Suk-Kyu;Im, Kwang-Sik;Kim, Nam-H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81-184
    • /
    • 1988
  • The effect of clover saponin on the phase transition of liposomal lipid bilayers of dimyristoyl phosphatidylcholine was investigated with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thermograms of the liposomal bilayers incorporated with the clover saponin were obtained, and the enthalpy changes and the sizes of cooperative unit of the transition were calc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corporation of the clover saponin into the liposomal bilayers effectively reduced the transition temperature at which the transition from solid state to liquid-crystalline state occurs, and broadened the thermogram peaks. It also reduced the size of cooperative unit of the trans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lover saponin migh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fluidity of biological membranes.

  • PDF

Orchardgra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붕소의 시용이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효과 1.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 및 근류 등의 특성 변화 (Effects of Boron Application on the Forage Traits in the Pure and Mixed Sward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 Changes in the growth, flowers, roots, and nodules of forage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1-90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붕소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근류 형성, 수량, 양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및 다른 미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시비량을 달리한 시비처리를 하였다. 붕소 처리수준은 1) $B_{0}$; 0.0, 2) $B_1$; 0.2, 3) $B_2$;2.0, 4) $B_3$;6.0, 5) $B_3$;6.0, 5)$ B_4$;15.0me B/pot로 하였으며, 본 I보에서는 붕소 처리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 및 근류의 형성, 수분관리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White clover에서 붕소의 과다증상($B_3$$B_4$ 처리구)은 예취 차수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서 경감되었고, 전반기 예취기에는 orchardgrass보다 더 심한 과다증상을 보였다. 그리고 단파보다도 혼파재부에서 과다증상이 더 심했다. 각 초종별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는 공히 붕소의 과다증상이 경감되었다. 2. Orchardgrass에서 붕소의 과다증상은 잎의 선단 부위에 황화현상, 좁은 엽폭, 적은 분얼 및 약한 줄기를 보였으며, white clover는 고엽부터 엽변의 황화현상과 백화현상, 적은 분얼수 및 포복경을 생성하는 얼자의 미 형성이 관측되었다. 3. 적합한 붕소시비($B_2$)는 white clover의 뿌리생육, 근류 형성, 개화 및 화아가 양호하였고, 꽃의 생성기간이 길었으며 만개시기가 빨랐다. 그러나 혼파재배에서는 orchardgrass에 의한 억압된 생육 때문에 이 효과가 경감되었다. 4. 붕소의 시비효과는 orchardgrass보다 white clover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혼파재배에서 white clover는 추비가 시비되지 않은 5차 예취시에는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이는 뿌리 및 근류의 형성이 더 양호한 특성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적합한 추비(특히 질소) 및 붕소의 시비는 양호한 식생을 갖는 grass-clover 혼파초지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stematic Variation Application of Fe, Mn, Cu, and Zn on the Dry Matter Yields of Orcharograss and White Clover)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3-200
    • /
    • 2004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에서 미량요소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및 양분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시험군-1(Fe/Cu), 시험군-2(Mn/Zn), 시험군-3(Fe+Cu/Mn+Zn)의 처리내용은 시험군별 처리양분의 총 시비량($100\%$)을 systematic variation 방법으로 각각 0/100, 25/75, 50/50, 75/25, $100/0\%$ 비율로 나누어 시비처리 하였고, 시험군-4(Fe/Mn/Cu/Zn)에서는 각 기준양분 $70\%$, 기타 양분은 각각 $10\%$(합계 $100\%$) 비율로 시비처리 하였다. 1. 일반적으로 처리별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초종간 큰 차이를 보였으며 white clover는 orchardgrass 보다 더 크게 영향을 받았다. white clover의 처리별 수량변화는 뿌리/근류의 생육 및 개화특성 등과 연관성을 보였다(I보). 2. Fe/Cu 비율시험에서 orchardgrass의 수량은 $100/0\%$ 처리에서, white clover는 75/25 처리에서 다소 높은 수량을 보였다. 또한 white clover의 양호한 생육과 수량은 Cu 비율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았고 orchardgrass는 Fe 비율에 더 영향을 받는 경향 이였다. 3. Mn/Zn 비율시험에서 두 초종 공히 높은 Mn 비율에서 양호한 수량을 보였다. 그러나 Mn-결핍조건에서는 white clover가 orchardgrass보다 상대적으로 더 수량감소를 보였다. 이에 비해서 Zn-함량의 변화와 이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경미하였다. 4. Fe+Cu/Mn+Zn 비율시험에서 orchardgrass는 처리간 수량 차이가 경미하였다. white clover는 orchardgrass에 비해서 처리별 수량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75/25 처리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100/0 처리에서는 후반기에 심한 수량감소를 나타냈다. Fe/Mn/Cu/Zn 비율시험에서 white clover는 Cu와 Zn 처리에서 다소 양호한 수량을 보였고 이는 아마도 균형된 Fe/Mn 비율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였다.

The Effect of Soil Textures on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Yield of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n Upland Soil

  • Cho, Hyeon-Suk;Seo, Myung-Chul;Park, Tea-Su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05-711
    • /
    • 2016
  • Crimson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and autumn. Its red flower blooms in May, and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 on sloping land and supplying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e land, w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imson clover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soil textures; sand,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The nitrogen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15.8g\;kg^{-1}$ and C/N ratio was 20.3. Its plant height was 42.5 cm in sandy loam and 49.5 cm in loamy, respectively, approximately 20 cm longer than the sand and clay loam. The crimson clover in sandy loam and loam bloomed about seven days earlier than those in sand and clay loam. Regarding number of flower per hill and flower length,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soil textures.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for sandy loam and loam was $2.5Mg\;ha^{-1}$ and $2.3Mg\;ha^{-1}$, respectively, $0.8{\sim}1.1Mg\;ha^{-1}$ higher than that of sand and sandy loam.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increased with delaying harvest time. Nitrogen contribution in loam and clay loam was $51.3kg\;ha^{-1}$ and $53.5kg\;ha^{-1}$, respectively. Therefore, in terms of flowering properties and dry weight, the proper soil texture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imson clover was sandy loam and loam.

The Effect of Soil Textures on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Yield of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n Upland Soil

  • Cho, Hyeoun-Suk;Seo, Myung-Chul;Park, Tea-Su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7-367
    • /
    • 2017
  • Crimson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and autumn. Its red flower blooms in May, and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 on sloping land and supplying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e land, w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imson clover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soil textures, sand,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The nitrogen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15.8 g kg-1 and C/N rate was 20.3. Its growth was good in sandy loam and loam. Its plant height was 42.5 cm in sandy loam and 49.5 cm in loamy, respectively, which are approximately 20 cm longer than the sand and clay loam. The crimson clover in sandy loam and loam bloomed about seven days earlier than those in sand and clay loam. Regarding number of flower per hill and flower length,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oil textures.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2.5 Mg ha-1, 2.3 Mg ha-1 each in sandy loam and loam. Therefore, it was approximately 0.8 ~ 1.1 Mg ha-1 higher than dry weight of sand and sandy loam.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increased late harvest time. Nitrogen contribution were higher in loam and clay loam, when it was respectively 51.3 kg ha-1, 53.5 kg ha-1. Therefore, according to flowering properties and dry we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imson clover was finest in sandy loam and loam.

  • PDF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reduced the number of weeds and increased the yield of paddy rice in a paddy field incorporated with white clover

  • Sugimoto, Hideki;Araki, Takuya;Morokuma, Masahiro;Hossain, Shaikh Tanvee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57-357
    • /
    • 2017
  • The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into the soil surface was found useful for weed control in our previous pot stud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while incorporated in the paddy field and effects of combined fertilizer on weed control and rice yield. A plot was divided into two parts i.e. white clover incorporated and not incorporated. The nitrogen content of the incorporated white clover was $12.5gm^{-2}$. Chemical fertilizer and combined fertilizer plots were compared with non-fertilizer conditions. The mixed ratio of combined fertilizer was oil cake 1.35 and rice bran 1.0. Combined fertilizer was applied to the soil surface, and chemical fertilizer was mixed in the soil. Nitrogen application rate was $8gm^{-2}$ for any fertilizer. The weed numb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white clover plot irrespective of application condition both at heading and harvest time. Also, weed control ability was improved by the use of combined fertilizer. In the not incorporated plot, the number of weeds was suppressed about 90% by applying combined fertilizer. The rice yield was markedly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with white clover under all fertilization conditions. Contribution rates of increased rice yield by white clover and combined fertilizer were about 55% and about 25%, respectively. The rice yield was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with white clover, and the number of weeds remarkably decreased as well. Also, these effects were improved due to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 PDF

논에서 적응 우수 Crimson Clover 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Crimson Clover Cultivar in Paddy Field)

  • 김원호;서성;임영철;최기준;김기용;이종경;윤봉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1-154
    • /
    • 2007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crimson clover를 나주지역에서 재배시 월동성과 수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0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된 4 품종중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말랐으며 Linkarus 품종이 5월 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 함량은 24.3%로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9%를 나타내었으며 Oregon com.이 18.3%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38.1, 48.3 그리고 58.9%이었다. Crimson clover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Linkarus 품종의 건물 수량이 6,986\;kg/ha로 가장 높았으며 Tibbee 및 Oregon com. 품종은 각각 3,639 및 1,980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용 Crimson clover 품종은 Linkarus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봄철 포장건조 콩과목초의 수량 및 품질 손실 (Losses in Yield and Quality of Forage Legumes During Field Curing in Spring)

  • 김동암;김종덕;한건준;이광녕;김종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2
    • /
    • 1999
  • 우리나라에서는 봄철에 콩과목초를 수확한 후 포장 건조시 목초의 수량 및 품질손실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콩과목초인 알팔파(Medicago sativa L.), 크림손 클로버 (Trifolium incarnatum L.) 및 레드 클로버(Trifolium pratense L.)를 봄철 포장에 건조하였을 때 콩과목초의 수량 및 품질 손실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팔파의 수확시 건물 함량은 15%로 가장 높았으며, 크림손 및 레드 클로버의 건물 함량은 각각 12.4 및 11.5%였다. 이러한 초종간의 건물 함량의 차이는 포장 건조기간 중에 계속 유지되었다. 건물 함량이 80% 이상이 되는데 알팔파는 7일이 소요되었으나, 크림손 및 레드 클로버는 8일이 소요되었다. 크림손 클로버 및 알팔파의 건물당 잎과 줄기의 비는 레드클로버보다 높았으나, 조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비교할 때 잎과 줄기 비는 레드 클로버가 크림손 클로버 및 알팔파보다 높았다. 건조기간중 탈엽에 의한 건물 손실률은 알팔파가 크림손 클로버 및 레드 클로버보다 높았으며, 조단백질의 손실률도 초종간의 차이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생초와 건초의 사료가치 비교에서 생초는 조단백질(CP), 가소화영양소총량(TDN) 및 상대사료가치(RFV)에서 높았고, 건초는 ADF 및 NDF 함량이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봄철(5월 중순)에 포장에서 건조된 건초는 건조기간 중 탈엽에 의한 조단백질의 손실이 높기 때문에 ADF 및 NDF 함량보다는 조단백질 함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중질소(重質素)를 사용(使用)한 두과사료작물(豆科飼料作物)의 질소(窒素) 고정량(固定量) 측정(測定)에 관(関)한 연구(硏究) (Studies on Nitrogen Fixation of Forage Legumes with 15N-Ammonium Sulfate)

  • 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0-55
    • /
    • 1983
  • 화본과(禾本科) 및 두과사료작물(豆科飼料作物)의 단파(単播)와 혼파(混播)에서 중질소(重窒素)를 시용(施用)하여 시비질소(施肥窒素)의 작물별(作物別) 건물수량(乾物收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에 대(対)한 질소(窒素)의 효과(効果)를 조사(調査)하였다. 1. 두과작물(豆科作物)에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alfalfa > red clover > birdsfoot trefoil의 순(順)이었으며 토양질소의존도(土壌窒素依存度)는 red clover가 가장 컸다. 2.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대(対)한 질소시용효과(窒素施用効果)는 orchardgrass에서만 높이 인정(認定)되었고 alfalfa와 birdsfoot trefoil는 혼파(混播)의 경우 초기(初期)에만 인정(認定)되었다. 3. 건물수량(乾物收量)은 단파(単播)에서는 alfalfa > red clover > orchardgrass > birdsfoot trefoil의 순(順)이고 혼파(混播)에서는 orchardgrass + alfalfa > orchardgrass + red clover > orchardgrass + birdsfoot trefoil순(順)으로 나타났다. 4.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은 전구(全区) 공(共)히 시비구(施肥区)가 무비구(無肥区)보다 증가(増加)하였고 단파시(単播時) alfalfa > red clover > orchardgrass > birdsfoot trefoil순(順)으로 작물별(作物別)로 흡수량(吸收量)의 차이를 보였다. 5. Orchardgrass의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은 3:7의 red clover 혼파(混播) 시비구(施肥区)만 제외(除外)하고 시비(施肥)에 관계없이 파구(播区)가 단파구(単播區)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