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thing purchase

검색결과 1,183건 처리시간 0.023초

The Effect of Fashion Marketing that can Lead Luxury Brand: Qualitative Analysis

  • YANG, Suk-Kyo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1호
    • /
    • pp.49-56
    • /
    • 2023
  •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fashion marketing on the sales of luxury brand items and to identify the strategies that can be used to market luxury fashion items successfully, addressing the research gap of how fashion marketing can lead to increased sales, customer loyalty, and satisfaction for luxury brand ite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he method of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which is a reporting guideline for methodical assessments and meta-analyses. It offers a consistent approach for conducting and reporting these types of studies, which can help to improve their quality and transparenc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ashion marketing can positively impact luxury brand sales. I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number of luxury brand purchases. the presence of the quality label increased the participants' purchase inten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brand, suggesting that the quality label can creat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brand and increase the likelihood of purchasing. Conclusion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fashion marketing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ed customer recognition of the brand. Thus, companies should focus on developing campaigns that capture the attention of potential consumers, creating an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m.

소비자 특성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혁신속성과 혁신수용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and Acceptance of Chatbots as Determined by Consumer Characteristics)

  • 정재환;변상운;김미숙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7호
    • /
    • pp.39-48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chatbots' innovation attribute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for consumers who have used chatbots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at account for a large share of transactions in mobile shopp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consumers aged 20 to 49 who had experience using chatbots when purchasing fashion-related products via mobile circumstances. After a pilot survey of 31 customers, pre-questionnaire was revised for the final test,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500 subjects. Out of these, 244 were retrieved. After excluding 48 inappropriate responses, 196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23.0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es. Results - First, four factors of chatbots' attributes were extracte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complexity, sensibility, and diversity. Second, two factors were extracted for fashion leadership: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fashion innovativeness. Two groups based on the fashion leadership were identified: active innovation adopters and passive innovation adopters. Thir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divers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in order.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in groups by marital status and age. The married in their 30s and 40s perceived sensibility as a more important attribute of chatbots than the unmarried in their twenties. Among the groups of different income level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divers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acceptance of Innovation among th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Active innovation adopter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and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provides chatbots'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items need to be modifi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shion leadership. Particularly, fashion leadership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ception of innovation attribute as well as innovation acceptance.

국내 프로축구 팬들의 유니폼 소비 분석: 손흥민의 토트넘 홋스퍼 FC 이적 전후 비교 (Analysis of Football Fans' Uniform Consumption: Before and After Son Heung-Min's Transfer to Tottenham Hotspur FC)

  • 최영현;이규혜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3호
    • /
    • pp.91-108
    • /
    • 2020
  • 박지성 선수의 2005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입단 이후로, 국내에서 프로축구 유니폼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국내 선수들의 해외 리그에서 활약이 계속되면서 국내에서도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 프로축구 팬들의 유니폼 소비에 전반적인 소비자 인식을 알아보고, 선수의 영입에 따른 소비자 인식 변화를 비교하고자 했다. EPL의 토트넘에서 활동하고 있는 손흥민 선수의 영입 전후를 중심으로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프로축구 팬들의 소비자 인식과 구매 요인을 알아보았다. 'EPL 유니폼'을 키워드로, 국내 포털사이트와 소셜 미디어의 게시글을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SNA,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선수의 소속 팀, 실적, 포지션과 구단의 실적, 순위, 리그의 우승 여부가 프로축구 유니폼의 구매와 탐색에 있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가격, 디자인, 사이즈, 로고 등과 같은 항목보다 유니폼의 형태, 마킹, 정품 여부, 스폰서와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구조적 등위성 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국내 프로축구 팬들 사이에서 유니폼과 관련되어 언급되고 있는 주요 주제를 알아본 결과, EPL에 소속된 구단과 유명 선수들이 가장 핵심적인 주제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축구 유니폼에 대한 시기별 주제는 월드컵과 EPL 리그에 대한 관심에서 EPL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국내외 선수들에 대한 관심으로, 2015년 이후에는 유니폼 자체에 대한 것으로 주제가 변화했다. 이를 통해, 선수들의 이적에 따라 선수가 소속된 해당 구단의 유니폼이 관심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남녀 소비자 모두 손흥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서 토트넘이 소속된 리그인 EPL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손흥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축구 유니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의 경우 손흥민 선수에 대한 관심과 축구 유니폼에 대한 관심 사이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각 구단은 선수와 구단의 성적과 이미지 관리, 스폰서 브랜드 관리에 집중하고, 선수의 이적이 결정되면 선수의 자국에 해당 물량의 공급을 늘리며, 인기를 끌고 있는 선수의 등번호가 부착된 유니폼의 경우에는 여성을 위한 다양한 사이즈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왕홍의 판매 생방송 시청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중국 의류 판매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ang-Hong Characteristics on Impulse Buying During Live Sale: Based on Women's Clothing Sales in China)

  • 유현아;박지연;이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12-229
    • /
    • 2020
  • 최근 중국에서는 생방송을 이용한 마케팅 활동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생방송+판매' 형식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왕홍은 생방송을 통해 시청자에게 제품을 설명하고 온라인 쇼핑을 촉진하며 충동구매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왕홍이 진행하는 판매 생방송 과정에서 왕홍 특성 중 어떤 요인이 시청자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판매 생방송에 대한 플로우 경험과 시청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나아가, 판매 생방송이 진행되는 판매 환경에 따라 플로우 경험, 시청만족도, 충동 구매 행위가 조절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를 위해 판매 생방송 시청 경험이 있는 중국 여성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왕홍의 신뢰성과 매력성이 시청자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즐거움, 주의 집중, 시간 왜곡 플로우 경험, 그리고 시청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해외 현장에서 진행하는 방송과 중국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방송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판매 생방송에 따른 충동적인 구매행위를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마케팅 전략인 판매 생방송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환경의식 함양을 위한 NIE탐구공동체 활동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to NIE Community Activity of Inquiry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Awareness)

  • 문지영;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29
    • /
    • 2010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의복 마련과 관리' 단원에서 환경교육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NIE 탐구 공동체 교수 학습 과정안 및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환경의식함양을 위한 수업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의 의생활 단원을 분석하여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의복의 소재', '의복 구입과 사용 및 보관', '의복의 세탁', '의복의 재활용과 폐기'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총 8차시 분량의 NIE 탐구공동체 활동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부산광역시 소재의 E중학교 2학년 3개 학급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수업한 후 환경의식과 NIE 탐구공동체 수업에 대한 흥미도, 태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중학생들은 다양한 신문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여 비판적, 창의적, 배려적 사고를 강조하는 토론 위주의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일반적 환경인식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 학습주제 '의복의 소재', '의복의 구입 과 사용 및 보관' '의복의 세탁', '의복의 재활용과 폐기'와 관련된 환경의식도 유의미하게 높았다. NIE 탐구공동체 활동(신문토론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도 매우 높게 향상되었다. NIE 탐구공동체 활동에 대한 학생의 평가는 그동안 접해보지 않는 새로운 내용구성과 NIE 탐구공동체 활동 학습방법이 교과서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 더 재미있어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환경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NIE 탐구공동체 활동 교수 학습 과정안은 학습의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의생활 환경의식 함양에도 매우 효과가 있으므로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과 학습 자료는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Consumer Demand of Leports Wear and Its Implication for Apparel Development by the Types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Marine Leisure Sports

  • Yu, Cheon;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39-249
    • /
    • 2022
  • 본 연구는 레저스포츠 참여동기를 유형화하고 그 유형에 따라 레저스포츠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선호 소재의 기능성은 움직임, 쾌적성, 체온유지 등으로 구성되었고, 구매 시 고려요인은 기본 중시, 과시성 중시, 실용성 중시 등 3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개선 요구사항은 기본 기능 개선과 다양한 기능 추가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구매 만족 요인은 브랜드와 실용성, 디자인, 기능성 등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해양 레저스포츠 참여동기는 매니아, 여가, 건강 유형으로 그룹화되었다. 선호 소재의 기능성은 매니아 유형과 여가 유형이 건강 유형보다 움직임, 쾌적성, 체온유지 기능성을 선호하였다. 구매 시 고려요인은 매니아 유형과 여가 유형이 건강 유형보다 기본 중시, 과시성 중시, 실용성 중시 요인에 대한 고려가 더 높았다. 개선 요구사항에서는 기본기능 개선과 다양한 기능 추가 모두 매니아 유형이 가장 높고 건강 유형이 가장 낮았다. 구매 만족 요인에서는 실용성과 브랜드는 여가 유형이 높았고, 기능성 요인은 매니아 유형과 건강 유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니아층을 위해서는 기능성과 추가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건강 유형은 디자인이나 활용도 등을 중심으로 제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에 따른 청바지 착용자의 의복행동 차이 (A Difference of Clothing Behavior of Jean's Wearer According to the Gender)

  • 이정숙;성수광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36-340
    • /
    • 2004
  • This i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jeans, colors, images, opinions when it was purchased, shap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persons in jeans. According to the gender, male students had 1.64 jeans(46.3%) and female students had 2.09 jeans(53.7%) on the average. Male students selected colors of jeans which they don't have, but want to wear once in the order of blue(3.7%), red(21.0%), white(24.1%), black(25.6%), and others(25.6%). Female students selected colors in the order of blue(3.2%), black(15.6%), red(24.8%), white(27.7%) and others(25.6%). In case of the general image about jeans, male students thought the jeans as masculine(1.2%), sexy(3.1%), unisexual(3.2%), active(23.6%), young(29.8%), and comfortable(36.5%) and female students thought it as masculine(0.3%), sexy(3.5%), unisexual(10.4%), young(21.9%), comfortable(28.1%) and active(35.8%). Male students considered torn or holed jeans ill-mannered(10.7%), delinquent, (20.7%)trendy(21.0%), comfortable(22.9%), and dandy(24.7%). Female students think it ill-mannered(3.4%), delinquent7.1%, trendy(17.4%), comfortable(21.1%), and dandy(50.9%). When they purchase jeans, male students choose according to trends(17.9%), don't consider design(19.5%) and look for their own styles(62.6%), female students didn't consider design(5.2%), choose according to trends(22.0%), and look for their own styles(72.5%). The designs of jeans which they usually wear were bell bottom(1.5%), wide-shaped(7.4%), baggy(17.5%), straight-shaped(73.6%) in case of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female students, baggy(10.2%), wide-shaped(11.0%), bell bottom(17.0%), and straight-shaped(61.8%). The designs of jeans which they didn't have but want to wear once are wide-shaped(10.1%), bell bottom(13.2%), baggy(20.9%), and straight-shaped(55.2%) in case of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females students want to wear baggy(11.6%), wide-shaped(15.0%), straight-shaped(27.6%), and bell bottom(45.8%).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garded blue as the original color of jeans, but they wanted to wear jeans in colors other than blue. In the past, jeans were considered masculine and unisex, but they viewed jeans as an apparel that was comfortable to wear and made it easier to move.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tendency to be fashionable than male students, and their preference for jeans was consequently different. Jeans manufacturers should take those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to produce products in different colors and form.

뷰티샵 온라인 예약 동기와 예약시스템 편의성이 고객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예약과 카카오예약을 중심으로- (Effects of Beauty Shop Online Reservation Motivations and the Convenience of Reservation System on Customers' Word-of-mouth Behaviors : Focused on Naver and Kakao Reservation System)

  • 김파라;황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84-19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예약 동기가 예약 시스템의 편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예약시스템 편의성이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만족도가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요인분석 결과, 온라인 예약 동기는 기분 전환형, 서비스 중요형, 충동 예약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온라인 예약의 편의성에는 의사결정 편의성, 거래 편의성, 사후보상편의성, 편익편의성, 사후보상서비스 편의성의 5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예약 편의성의 요인에서 거래 편의성, 의사결정 편의성, 사후보상편의성, 편익편의성은 예약동기의 기분 전환 동기와 서비스 중요 동기가 높을수록 편의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온라인 예약 편의성의 요인에서 접근 편의성의 경우 온라인 예약동기의 기분 전환 동기와 서비스 주요동기가 높을수록, 충동예약 동기가 낮을수록 접근 편의성 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후 만족도에 있어서는 뷰티샵 온라인 예약 편리성의 의사결정 편의성과 사후보상서비스 편의성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천, 공유와 같은 구전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운대체 아웃도어 재킷의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a Down-alternative Outdoor Jacket design)

  • 이달아;문선정;정삼호
    • 복식
    • /
    • 제63권8호
    • /
    • pp.143-155
    • /
    • 2013
  • The outdoor apparel market has been growing very fast recently, and consumers are spending more time doing outdoor activities for their leisure. As the outdoor apparel market is growing, it has started to combine functionality with style to provide more diverse designs and colors for all ages. The increase of interest in heathy life-styles, outdoor activities, and leisure has lead to a rise in demand for outdoor apparel. Now outdoor apparel have become a part of people's daily casual wear in addition to being worn for outdoor activities. This study is focused on a outdoor jacket design which is used as down-alternative materia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outdoor jackets using a down-alternative fabrics that improve the thermal and lightweight effects for clothing comfort,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wearing down-alterative outdoor jacket. The research of this paper was done by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The survey was used to examine the male customers' outdoor activities, purchase behaviors, place, expense and design preferences. Then, down-like fabric was used to make the prototype down jacket and its design, function, and satisfaction with wearing compared with other brands down jacket products were analyzed. Although duck down fabrics are representative of outdoor jackets, they have many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such as feathers falling out or its vulnerability to moisture. They have competitive prices compared to down jackets so down-alternative jackets are able to gain more proportion of its market share.

홍대지역의 장소성과 패션 이미지 연구 (A Study of Fashion Images related to the Placeness of Hong-Dae Area)

  • 김소영;한수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7-233
    • /
    • 2012
  • Placeness forms the traits unique to certain areas inducing people to visit there and purchase goods related to the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fashion images linked with placeness, by examining on-line and off-line fashion goods which claim the placeness. Hong-dae area in Seoul i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nd the fashion goods claiming Hong-dae style or Hong-dae fashion a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fashion images. Hong-dae area, which was known for its art scenes and small restaurants in the 1980s, has been flourished its postmodern style cafes formed as yuppies-style consumer space in the 1990s. Foreign influenced subcultures were adopted, mimicked and mixed. Afterwards, dance clubs and live clubs gathered around this area. Recently, various local events to enhance the place identity such as "freemarket" and festivals are hosted by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historical and regional background, the placeness of Hong-dae area is characterized with its artistry, counter-culturalism, and commercialism. The fashion images related of Hong-dae area fashion can be characterized as avant-garde image, art & craft image, kitsch image, vintage image, sexy casual image, and pop art image. The avant-garde image and the art & craft image are related with altistry and counter-culturalism. Kitsch image is related with the artistry, counter-culturalism, and the commercialism. Vintage image is related with artistry, counter-culturalism and commercialism. Sexy casual image is known to have commercialism of Hong-dae area, while Pop art image has its artistry and commercial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