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pping yield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4초

폐타이어 칩이 한국들잔디의 내답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mb Rubber on the Wear Tolerance of Korean Lawngrass)

  • Lee, Chung-Hwan;Kim, Ki-Sun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33
    • /
    • 2003
  • 본 실험은 답압에 의한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폐타이어 칩을 한국잔디 식재 토양내 혼합 및 표면 배토시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잔디는 답압이 진행됨에 따라 잔디 마모와 토양 물리성이 나빠져서 생육은 감소하지만 폐타이어 칩을 토양내에 처리함으로써 토양경도, 표면 경도 등 토양 물리성을 향상시키므로 생육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토양 혼합처리는 가는 입자 20% 처리구에서 좋은 토양 물리성을 보였다. 배토처리시에는 무처리구와 비교시 표면의 높은 온도와 더불어, 피복효과와 마모를 가장 많이 받는 줄기 밑부분을 보호해 줌으로써 잔디 생육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굵은 입자 10cm 처리구에서 표면온도가 높았다. 무기질인 폐타이어 칩을 소량으로 토양 혼합 및 배토처리함으로써 장기적인 효과가 예상되므로 향후 잔디면 조성 및 관리시에 이용할 만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변화 (Growth and Quality Changes of Creeping Bentgrass by Application of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 조기웅;김영선;함선규;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60-267
    • /
    • 2016
  • 아미노산은 식물에서 질소 동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물질이며, 단백질을 발효하여 얻어진 부산물은 아미노산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에 따른 잔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잔디 줄기 밀도, 잔디 예지물, 잔디 중 양분 함량 및 양분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추천량처리구(CKF)와 배량처리구(2CKF) 및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단독 처리구(KF)로 구분되었다.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처리에 후 처리구별 토양화학성, 잔디의 엽색지수 및 엽록소지수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잔디 줄기 밀도와 잔디 예지물은 케라틴 아미노산비료를 시비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단독처리구나 복합비료와 함께 처리한 처리구에서 각각 25~35%와 11% 정도씩 증가하였다. 잔디중 양분 함량은 처리구별로 비슷하였으나 잔디의 양분 흡수량은 질소와 칼륨이 CKF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는 잔디의 질소와 칼륨의 흡수를 촉진함으로써 잔디 줄기 밀도와 생육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생장조정제 처리 후 생육 시기별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억제 효과 (Seasonal Growth Inhibition of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after Applying Two Plant Growth Regulators)

  • 임승재;김태웅;김영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2-248
    • /
    • 2023
  • 본 연구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에서 생장조정제 trienexapacethyl과 prohexadione-calcium을 처리하였을 때 생육 시기별 잔디 품질과 생육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ontrol), TE 처리구(0.01 a.i. g·m-2·100mL-1) 및 PC 처리구(0.01 a.i. g·m-2·100mL-1)으로 설정하였다. 생장조정제 처리 후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엽색 지수 및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E와 PC처리구에서 잔디의 초장은 각각 8.9-12.4%와 6.7-13.6%씩 감소하였고, 잔디 예지물량은 44.4-45.8%와 40.6-40.9%씩 감소하였다. 생장조정제 처리 후 경과 일수와 초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약효 지속 기간을 조사하였을 때, TE와PC처리구는 1차 조사(7월 29일-8월 26일)에서 각각 43.6일과 37.9일, 2차 조사(9월 30일-10월 28일)에서는 38.3일과 39.5일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TE와 PC의 처리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초장 및 생육을 억제하였고, 약효 지속 기간은 약 40 ±3일 정도를 나타냈다. 또한 생장조정제 처리시 계절별 잔디 생육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약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Optimum Application Amount, Timing, and Frequency of Slurry Composted and Biofiltered Liquid Fertilizer for Zoysia japonica 'Millock'

  • Park, Suejin;Lee, Seung Youn;Ryu, Ju Hyun;Jung, Hyun Hwan;Kim, Ki 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635-641
    • /
    • 2012
  • In Korea, slurry composted and biofiltered (SCB) liquid fertilizer is produced through the composting and biofiltering of animal waste. An appropriate guidelines involving proper treatment of SCB liquid fertilizer on turfgrass should be considere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application amount, timing, and frequency of SCB liquid fertilizer for Zoysia japonica 'Millock'. The SCB liquid fertilizer was applied in low, medium, and high amount (N at 15, 25, and 40 $g{\cdot}m^{-2}$ per year in 2010, and 10, 20, and 40 $g{\cdot}m^{-2}$ per year in 2011, respectively) and trea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r dormancy period. During the growing season, SCB liquid fertilizer was applied twice or four times. The greatest improvement in turf quality for both years was in SCB plots applied four times with N at 40 $g{\cdot}m^{-2}$ per year during the growing season (SH4). This treatment exhibited turf color retention in the fall, and enhanced clipping yield during the growing and fall seasons. SCB plots with four times during the growing season (SL4, SM4, and SH4) exhibited higher shoot density relative to the same amount of other SCB treatments. Plots treated during the dormancy period also showed a high turf color index during the next growing season in 2011. The results indicate that SCB with high amount up to N at 40 $g{\cdot}m^{-2}$ per year applied four times during the growing season and dormant application produced high turf quality and growth, and could be recommended as an optimum application guide.

질소 시비 수준별 금잔디의 생육과 질소 시비량 설정 (Establishment of a Standard Nitrogen Application Rate for Zoysia matrella Using Growth Responses to Various Fertilization Level)

  • 김영선;최문진;윤정호;이긍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7-176
    • /
    • 2022
  • BACKGROUND: Nitrogen (N)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urfgrass (Zoysia matrella) growth; however, standard N application rate for turfgrass is not established y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N application rates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urfgrass for establishment of standard N application rate. METHODS AND RESULTS: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trol (0 N g/m2/month), 1N (1 N g/m2/month), 2N(2 N g/m2/month), 3N (3 N g/m2/month), 4N (4 N g/m2/month), and 5N (5 N g/m2/month). N application improved visual turfgrass qua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clipping yield of all N treatments increased by 90~194%. The grass shoot weight of 3N, 4N, and 5N treatments increased by 52%, 43%, and 111%, respectively, and the stolon weight of 4N and 5N treatments increased by 412% and 201%,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The N uptake amount and N recovery rate were estimated to be 4.10~6.28 g/m2 and 14~5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sidering visual quality, clipping yield, N uptake amount, and N recovery, the application rate of 2~3 N g/m2/month was suggested to be suitable for Z. matrella production.

모래지반에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과 조성에 미치는 질소의 유형별 효과 (Evaluation of Various Slow-release Nitrogen Sources for Growth and Establishment of Poa pratensis on Sand-based Systems)

  • 이상국;데이브 미너;닉크리스챤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5-148
    • /
    • 2010
  • 질소는 색감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잔디의 성장에 필요한 17가지 필수 영양성분중에 하나이다. 완효성 비료는 일정한 양의 질소 영양성분을 오랜기간 동안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고 모래지반에서 특히 더 잘 용 탈되는 질소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이 된다. 이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완효성 비료가 다른 비율로 시비 되었을때 잔디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 6가지 질소비료가 실험되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파종과 뗏장을 위해 사용이 되었다. 뗏장으로 조성된 실험구가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 보다 182에서 518 g 예지물을 더 생산하였다.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중에서는 밀오거나이트가 가장 많은 뿌리의 건중량을 생산하였다. 파종과 뗏장은 잔디의 성장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예지물의 양과 뿌리의 건중량에서 차이가 난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밀오거나이트가 다른 5가지의 질소비료 보다 예지물의 생산이 적었으며 지하부의 성장이다 좋았으므로 켄터키블루그래스가 처음 조성이 될때는 밀오거나이트가 권장이 된다.

부식산 액상비료 시비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지하부 생육증가와 품질향상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Humate Improving Rhizosphere Activation and Favoring Turfgrass Quality)

  • 김영선;이태순;조성현;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2-71
    • /
    • 2018
  • 본 연구는 부식산 함유 액비(LFH)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의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T/R ratio, 양분 함량 및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F), LFH 1,000배 처리구(HF-1), LFH 500배 처리구(HF-2) 및 LFH 250배 처리구(HF-3)로 구분되었다. LFH 처리 전후에 토양화학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FH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 때, 가시적 품질과 뿌리 생육량은 LFH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질소 흡수량은 HF-2처리구와 HF-3처리구에서 각각 11.2-11.8%, 15.3-30.8%, 22-42%씩 증가하였다. LFH처리량에 따라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및 양분 흡수량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부식산 함유 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잎 조직 중 잔디지하부의 생육이 증가하여 양분 흡수를 개선함으로써 잔디품질과 생육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미생물 함유 복합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by Application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ing Microbes)

  • 김영선;이창은;함선규;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42-50
    • /
    • 2016
  • 골프장의 잔디 관리자들은 잔디의 생육을 향상시키고, 코스의 병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미생물 비료를 사용해 왔다. 본 연구는 미생물 함유 복합비료를 크리핑 벤트그래스에 시비할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비료의 종류에 따라 무처리구(non-fertilizer; NF), 대조구(control ferilizer; 21-17-17, CF) 및 미생물 함유 복합비료 처리구(microbial compound fertilizer; 14-6-17, MF)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 지수(TCI), 엽록소 지수(ChI), 잔디 뿌리 길이, 잔디 예지물(건물중), 잔디 중 양분 함량 및 흡수량을 기준으로 잔디 생육과 품질을 평가하였다. 포트시험 결과, MF 처리구의 엽색 및 엽록소 지수는 대조구(CF)와 비슷하였고, 잔디 예지물은 CF처리구보다 39.1% 증가하였다. 포장시험 결과, 토양 pH와 전기전도도 및 치환성 칼슘 함량은 MF 처리가 CF처리구보다 감소하였다. 포장시험 후 잔디 생육 및 품질 조사에서 MF 처리구의 엽색 지수, 엽록소 지수, 잔디 뿌리 길이, 잔디 중양분 함량 및 양분 흡수량은 CF처리구와 비슷하였고, 잔디밀도는 CF처리구보다 8.0~15.8%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미생물 함유 복합비료의 시비는 무처리구나 대조구에 비해 잔디의 밀도와 생육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총체맥류 주요품종의 봄 파종에 따른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Yield and Feed Quality at Spring Sowing among Five Winter Cereals for Whole-crop Silage Use)

  • 주정일;이동희;성열규;한옥규;송태화;이광원;김창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5-216
    • /
    • 2010
  • 본 시험은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 총체맥류 주요 품종에 대하여 봄 파종시 출수 여부,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적기 파종과 비교하고자 2008/2009년에 충남농업기술원(예산) 밭 사료포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초종 및 품종은 청보리(영양, 파성 I), 밀(금강, 파성 II), 호밀(곡우, 파성 III 추정), 트리티케일(신영, 파성 III 추정), 귀리(삼한, 파성 II 추정)이었고, 파종기는 가을 적기파종(10월 18일)과 봄 파종(2월 23일, 3월 10일)을 두었다. 출수기는 봄 파종시 가을 적기 파종에 비하여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등은 약 16~20 일, 귀리는 약 9일 늦었다. 봄 파종시 수확시기는 영양 보리(황숙기) 6월 8일, 곡우 호밀(출수 후 10일) 5월 25일, 금강 밀(황숙기), 신영 트리티케일(유숙기) 및 삼한 귀리(유숙기)는 6월 17일경 이었다. 봄 파종은 가을 파종에 비하여 출현기부터 출수기까지의 적산온도의 감소가 컸고, 파종기~출현기, 출수기부터 성숙기까지의 적산온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경수에서 출수된 이삭수의 비율은 영양 보리, 금강 밀, 신영 트리티케일, 삼한 귀리 등은 62.0~73.1% 로서 정상적으로 출수되었고, 곡우호밀은 56.0%로서 출수되지 않는 분얼이 많았다. 봄 파종시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 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많았고, 가을파종에 비하여 영양 보리 71.7%, 금강 밀 60.6%, 곡우 호밀 46.2%, 신영 트리티케일 70.2%, 삼한 귀리 110.9% 수준이었다. 총체맥류를 봄에 파종하면 가을 파종에 비하여 ADF 함량, NDF 함량 및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소화건물함량과 상대사료가치는 낮아졌다. 봄 파종시 평균 가소화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높았고, 가을에 파종한 것에 비하여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신영 트리티케일은 모두 감수되었고, 삼한 귀리는 증수되었다. 따라서 예취시기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봄 파종은 귀리가 가장 알맞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순이었으며, 곡우 호밀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총체 맥류의 봄 파종 및 재배는 파성을 소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2월 말(경칩 전) 얼음이 풀리는 대로 가능하면 빨리 파종하여 낮은 지온으로 종자 상태에서 춘화처리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