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limate change assessment

Search Result 1,02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ssessment of Drought Index considering Dam Water Shortage (댐 갈수를 고려한 가뭄관리지수 산정연구)

  • Kwak, Jaewon;Kim, Keuksoo;Kim, Taeyoung;Ha, Sangbong;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1-311
    • /
    • 2018
  • Generally, the water resources in South Korea were supplied from river flow and dam. Among them, the dam is the most important supplier for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However, the climate change has caused a setback in water supply chain.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herefore to suggest a drought index consideing dam water shortage for efficiently dam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 standardzied balanced index(SBI), which has same concept with the standardzied precipitation index, were suggested. Also, the management index for the dam were established with SSVI and the storage percentage that compared to previous years.

  • PDF

Climate change assessment on sustainable water supply on multi-purpose dams in Nakdong River Basin (AR5 RCP 시나리오 기반 낙동강유역 다목적댐 기후변화 대응 능력 평가)

  • Kim, Jung Min;Park, Jin Hyeog;Jang, Suhyung;Kang, Hyun woong;Ryoo, K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3-203
    • /
    • 2017
  • IPCC 5차보고서의 기후변화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연강수량은 전반적으로 증가되나, 기온상승, 강우강도 증가 및 강수일수의 감소도 예상되고 있어 극한홍수 및 극한가뭄의 위험성은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즉, 연강수량 증가에 따른 미래의 용수공급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짧은 기간 내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위험성 증가의 의미가 크며, 강수일수 감소 및 기온상승은 증발산량 증가로 실제 저수지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물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가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도 미래 극한가뭄의 강도, 규모 및 지속기간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국내 용수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목적댐의 기후변화 대응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여 극한 물 부족에 대한 사전대응계획과 효율적 운영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다목적댐 저수지 운영은 홍수기(6.20. ~ 9.30.) 유입량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실제 과거에는 용수공급에 필요한 유입량의 대부분은 홍수기에 유입되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소양강댐과 보령댐 지역의 계절별, 지역별 강수패턴 변화와 같이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강수의 시 공간적 변동성 가속화는 다목적댐의 용수공급 불확실성이 갈수록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R5기반의 52개 기후변화 시나리오(26개 GCM, 2개의 RCP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낙동강 다목적댐 유입량을 산정한 후,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의 기후변화 대응 용수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관측자료 기반의 다목적댐 가뭄대응 저수지 운영기준은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용수공급 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가뭄대응 운영기준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9-469
    • /
    • 2015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도시유출모형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도시유역에 미치는 유출영향을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한 극치수문사상의 적용 및 유출분석을 통한 하천제방의 취약성 평가와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하천의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The Variation of Surface Runoff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표유출량 변화)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56-356
    • /
    • 2018
  • 기후변화는 자연적 요인보다는 인간의 활동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상승하고 있으며, 강수량 또한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미래 기온의 상승과 강수량의 변화는 나아가 수문 순환에 영향을 미치며, 수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순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 수문 프로그램의 대상 유역 중 하나로 장기간의 강우-유출 자료가 구축되어있는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 유출량 변화를 살펴본다. 기후변화를 전망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 가스 농도를 정의하는 시나리오인 대표농도경로(Reper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를 적용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여러 RCP 시나리오 중 기후변화가 현재의 추세를 쫓아 상승 형태를 나타내는 RCP 8.5 시나리오와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어 형태가 안정된 RCP 4.5 시나리오 두 개를 선정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근본적으로 불확실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정 기후변화를 가정하기 보다는 특성이 대비되는 두 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기후변화의 발달 정도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장기간의 수문 순환 특성을 모의하기 위하여 준 분포형 장기유출 모형인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을 이용하며, SWAT에서 요구되는 방대한 양의 매개변수들은 매개변수의 최적값 산정 프로그램인 SWAT Calibration and Uncerntianty Programs (SWAT-CUP)을 통해 얻는다. 과거의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구축된 SWAT 모형에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표유출량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구축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를 한 결과, 두 개 시나리오 모두에서 청미천 유역의 지표유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 4.5 시나리오보다 RCP 8.5 시나리오에서 더 많은 유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출량의 증가와 함께 총 부유사량 또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RCP 8.5 시나리오에서 더 많은 유출이 계산된다. 이러한 유출량의 증가는 강수량, 기온, 일사량, 풍속, 습도와 같은 기후 특성의 변화가 고려된 결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총 유사량의 증가는 범용토양 유실공식에서 강우 에너지의 증가로 인해 유출량과 동일한 양상을 띠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of Fisheries Sensitivity to Ocean Environments in Korea Waters (해양환경 기반 한국 연근해 어장 민감도 평가 기술 개발)

  • Joo, HuiTae;Yoo, ManHo;Yun, Sang Chol;Kim, Chang Sin;Lee, Min Uk;Kim, Sangil;Park, Kyoung Woo;Hwang, Jae-Dong;Oh, Hyun Ju;Yun, Seok-Hy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54 no.4
    • /
    • pp.508-516
    • /
    • 2021
  • Although scientist have been reporting recently that changes in ocean environment influence the species composition, movements, and growth of fish in Korea waters. Previous studies on fish vulnerability owing to climate changes are insufficient to explain the effect of fluctuating ocean environments on fisheries ground.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fisheries sensitivity to various factors in ocean environments in Korean waters. To evaluate the fisheries sensitivity, catch data (Chub mackerel, Hairtail, Common squid, small yellow croaker) from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in Korea (1991-2017) and oceanographic data from Korea Ocean Data Center (KODC; 1960-2017) were normalized using the z-score method. Thereafter, the fisheries sensitivity was calculat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tch data and the oceanographic data. Finally, the fisheries sensi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evaluation grade ratings. Result revealed that in the south sea, variability in catch data was obviously higher than environmental fluctuation (evaluation grade 1), indicating that catch variability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 is most sensitive in the south sea among Korean waters in 2017.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fishery management and policy for sustainable yield in Korean waters.

Attention Gated FC-DenseNet for Extracting Crop Cultivation Area by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다중분광밴드 위성영상의 작물재배지역 추출을 위한 Attention Gated FC-DenseNet)

  • Seong, Seon-kyeong;Mo, Jun-sang;Na, Sang-il;Choi, Jae-w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1
    • /
    • pp.1061-1070
    • /
    • 2021
  • In this manuscript, we tr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C-DenseNet by applying an attention gate for the classification of cropping areas. The attention gate module could facilitate the learning of a deep learning model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by injecting of spatial/spectral weights to each feature map. Crop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in the onion and garlic regions using a proposed deep learning model in which an attention gate was added to the skip connection part of FC-DenseNet. Training data was produced using various PlanetScope satellite imagery, and preprocessing was applied to minimize the problem of imbalanced training dataset. As a result of the crop classific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proposed deep learning model can more effectively classify the onion and garlic regions than existing FC-DenseNet algorithm.

Safety Evaluation of Net-type Debris Flow Protection System Using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을 이용한 네트형 토석류 방호시스템의 안전성 평가)

  • Lee, Eung-Beom;Lim, Hyun-Taek;Whang, Dae-Won;Lim, Chang-Su;Kim, Yo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7 no.4
    • /
    • pp.157-168
    • /
    • 2018
  • Recently, the occurrence of typhoons and heavy rainfall is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This causes increase in possibility of landslide damages in rural areas. However, in reality, the precise engineering stability assessment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landslide damages and effectively manage mountainous areas, the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is need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hock absorbing effect of the buffer-spring during application of dynamic impact load in the debris flow protection system, nume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for each free field of the buffer-spring and the load sharing ratio of the buffer-spring is also examined. In addition, the field applicability is verified by comparison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ventional buffer-spring and the wedge type buffer-spring on various magnitudes of dynamic impact loa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found that the net-type debris protection system is effective to mitigate loss of properties and human lifes during landslide.

Efficiency and Longevity of In-situ Stabilization Methods in Heavy Metal Contaminated Arable Soils (농경지 중금속 안정화 방법의 효율성 및 지속성 평가)

  • Kim, Seo Jun;Oh, Se jin;Kim, Sung-Chul;Lee, Sang S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7 no.3
    • /
    • pp.179-188
    • /
    • 2018
  • BACKGROUND: Reclamation of heavy metal-contaminated agricultural fields has intensively been done to ensure the soil quality and food security.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and longevity of current physical and chemical approaches for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METHODS AND RESULTS: Concentrations of 0.1 N HCl-leachable trace metals of Cd, Pb, and As from the stabilizing agents-treated soils decreased by 50%, 70%, and 40%,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Among the stabilizing agents, the $CaCO_3$ was the best for stabilization. For physical stabilization, the soil dressing reduced the concentrations of Cd, Pb, and As by 88%, 94%,and 8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the dilution of the contaminated soils decreased the metals by an average of 25.3%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longevity of each stabilization method was determined by using the availability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soils. Results showed that the leaching methods using HCl and $NH_4NO_3$ had 120 and 32 weeks longevity, respectively. Interestingly, any stabilization efficacy was not found over the time for Cd and Pb (i.e., cation metals), whereas the stabilization efficacy of As was sharply decreased under 50% after 32 weeks. However, the change of metal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with the physical stabilization compared to the chemical stabilization. CONCLUSION: The stabilization methods should carefully be selected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under climate conditions.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uncertainty and sensitivity of paddy water requirement in South Korea using multi-GCMs (Multi-GCMs을 활용한 논벼 필요수량의 불확성 및 민감도 기후영향평가)

  • Yoo, Seung-Hwan;Lee, Sang-Hyun;Choi, Jin-Yong;Yoon, Kwangsik;Choi,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6-516
    • /
    • 2016
  • 기후변화는 농업생산량 감소와 식량 안보 문제와 같이 농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농업수리 및 관개배수 시설 운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농업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벼 지역의 설계용수량의 확률론적 분석을 통한 논벼 필요수량 및 설계용수량에 대한 기후변화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3개 GCM의 36개 산출물을 활용하여 Multi-model ensemble 구축하였다. 먼저 GCM별 증발산량과 유효우량을 산정한 결과 중부지역에서는 IPSL-CM5A 모델의 기후변화자료를 활용할 경우 증발산량과 유효우량이 타 GCM 모델들과 비하여 크게 산정되었다. 남부지역에서는 CanESM2 모델을 적용할 경우 가장 많은 증발산량과 유효우량이 모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GCM별로 다양한 결과가 모의되기 때문에 농업시설 설계에 적용되는 설계용수량의 경우 안전성을 위하여 Multi-GCM models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Multi-model ensemble의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모든 경우에서 1995s(1981-2014)에 비해 설계용수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증가율은 RCP 4.5에서 중부지역이 9.4%, 남부지역이 6.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RCP 8.5에서는 중부지역이 11.1%, 남부지역이 8.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러 GCM 산출물간의 불확실성은 RCP 4.5보다는 RCP 8.5 시나리오가, 중부 지역보다는 남부 지역이, 논벼 증발산량 보다는 유효우량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미래 가뭄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농업 수자원관리 전략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에 있어서 적합한 GCM 자료를 선택하는데 있어, 불확실성을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Mooring Safety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itt Against Gust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에 따른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 연구)

  • Kim, Seu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7
    • /
    • pp.767-776
    • /
    • 2020
  • Due to the recent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weather changes in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past have occurred, and the increase in seawater temperature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size and intensity of typhoons.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bitts that can be used to secure mooring safety of the ship when a sudden gust occurs. Based on 12 scenarios of a mooring safety evaluation program, this study analyzed the criteria for arranging bollard and bitt, and analyzed the sensitivity of mooring safety when using storm bitt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mooring factor value decreased compared to the general mooring line arrangement when the fore and stern breastline were added to the bitts for gu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posing storm bitts arrangements for gus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erth ships and 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ship operators, storm bitts at the pier will be an effective method for securing the ship's mooring safety in case of a gust of 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