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on vinega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유자과즙을 이용한 식초제조 (The Production of Vinegar Using Citron(Citrus junos Seib) Juice)

  • 김용택;서권일;정용진;이용수;심기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1-307
    • /
    • 1997
  • 유자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기 의하여 유자과즙을 이용하여 식초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자식초제조의 최적 발효조건은 공시균주로서 Acetobactor sp. PA97, 온도는 3$0^{\circ}C$ 초기 알코올농도는 8% 및 초발산도는 1.5%였다. 유자과즙 농도별 초산발효에서 초산의 생성량은 과즙의 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부영양원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높았다. 부영양원이 첨가되고 유자과즙이 10, 20 및 30%가 첨가된 구에서 총산은 5.42, 5.36 및 5.04%이었고, 순수 초산생성율은 각각 52.69, 45.25 및 35.10%이었다. 잔류알코올은 부영양원 무첨가구가 첨가구보다 많았다. 관능검사 결과 유자원액의 희석비는 30%가 종합적인 점수에서 가장 높아 유자식초 제조시 가장 적당한 희석배수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자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의 분리 및 배양조건 (Isola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Acetobacter sp. for the Production of Citron (Citrus junos) Vinegar)

  • 강성구;장미정;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7-362
    • /
    • 2006
  • 유자즙액을 이용한 식초생산을 위하여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재래초로부터 분리, 동정하고 유자식초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재래초로부터 분리한 25균주 중 초산 생산균 분리용 배지에서 초산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로 최종 선정된 균주는 Acetobacter sp. V-16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의 유자식초 생산용 액체 배지에서 배양조건을 살펴본 결과, 최적온도는 $30^{\circ}\C$이었으며, 초산생성에 적합한 배지의 조성은 초기산도2%, 알코올 농도 5% 및 유자즙액 30%가 함유된 배지였다. 유자식초 생산 최적조건은 5% 알코올과 유자즙액 30%가 첨가된 배지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진탕배양 시 10일 만에 최고 산도인 6.8%에 도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자색고구마 가공식품의 색소 안정성 (Color Stability according to Storage Period of Purple Sweetpotato Products)

  • 이준설;정병춘;안영섭;정미남;김학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04-208
    • /
    • 2006
  • 안토시아닌 색소가 다량 함유된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음료,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과 음료, 와인, 분말, 식초, 색소의 저장기간별 색소 안정성을 구명코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색고구마 음료는 총고형분 15.6%, 당도 $11.8\;Brix^{\circ}%$, pH 4.1이었고, 와인은 알코올 12.6%, 당도 $7.8\;Brix^{\circ}%$, pH 4.9이었다. 음료와 와인의 색소 안정성은 4개월 저장 후에도 제조 시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2. 자색고구마 90% + 유자 5% + 벌꿀 5%로 조제한 음료가 자색고구마 100%나 자색고구마 80% + 유자 10% + 벌꿀 10%에 비하여 기호도가 높았고, 숙성온도는 $30^{\circ}C$에 비하여 $45^{\circ}C$가 더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3. 자색고구마의 분말과 식초, 색소는 4개월 저장 후에도 색도의 변화가 없어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 II)에 의해 사상체질이 분류된 대학생의 식품 기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Food Preference)

  • 최선미;지상은;홍정미;안규석;고병희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05-114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rrelation with food preference of subjects in three constitution groups on the view point of constitutional medicine. The constitutions of 124 college students(male 80, female 44) was classified by QSCC II method. Food preference of the subjects was surveyed in accordance with suggested foods for each constitution and was analyzed using Hedonic scale. The distribution of the constitutional revealed that Soeum individuals accounts 53%, followed by ; Soyang 19%, Taeum 28%. For men, sorghum, potatoes, beef, scombroid, oyster, saury, octopus, codfish, walleye pollack, shrimp, croaker, pineapple, eggplant, leek, pumpkin, toenjang, draft beer, diluted liquor, coffee, cocoa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food preference score by sasang constitution(p<0.05). For woman, chicken, pollack roe, a walleye pollack, persimmon, jujube, melon, citron, celery, burdock, vinegar, bean-paste soup, draft beer, ginseng, hone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food preference score by sasang constitution(p<0.05). Association of sasang constitutions and food thought to be harmful or healthy to each constitution was analyzed. But Food preference score of food thought to be harmful or healthy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score among sasang constitutions. This results suggested that food intake patterns of subjects were associated with sasang constitutional food in par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