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erol-lowering effect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1초

Atorvastatin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MKN45-derived gastric cancer stem cells in a mevalonate pathway-independent manner

  • Choi, Ye Seul;Cho, Hee Jeong;Jung, Hye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5호
    • /
    • pp.367-375
    • /
    • 2022
  • Gastric cancer stem cells (GCSCs) are a major cause of radioresistance and chemoresistance in gastric cancer (GC). Therefore, targeting GCSCs is regarded as a powerful strategy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GC. Atorvastatin is a widely prescribed cholesterol-lowering drug that inhibits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a rate-limiting enzyme in the mevalonate pathway. The anticancer activity of atorvastatin, a repurposed drug, is being investigated; however, its therapeutic effect and molecular mechanism of action against GCSCs remain unknow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atorvastatin on MKN45-derived GCSCs. Atorvastat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ve and tumorsphere-forming abilities of MKN45 GCSCs in a mevalonate pathway-independent manner. Atorvastatin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the G0/G1 phase and promoted apoptosis by activating the caspase cascade. Furthermore, atorvastatin exerted an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MKN45 GCSC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cancer stemness markers, such as CD133, CD44, integrin α6, aldehyde dehydrogenase 1A1, Oct4, Sox2, and Nanog,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β-catenin,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and protein kinase B activities. Additionally, the combined treatment of atorvastatin and sorafenib, a multi-kinase targeted anticancer drug, synergistically suppressed not only the proliferation and tumorsphere formation of MKN45 GCSCs but also the in vivo tumor growth in a 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 model implanted with MKN45 GCSC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torvastatin can therapeutically eliminate GCSCs.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당뇨병성 죽상경화 마우스 모델에서 밀몽화의 효능 연구 (Effect of Buddleja officinalis in Diabetic Atherosclerotic Mouse Model Using High Fat Diet)

  • 황선미;이윤정;김은주;김혜윰;리향;최용준;조남근;이호섭;강대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5-62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rom Buddleja officinalis Maxim (ABO) on vascular dysfunction in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deficient (LDLr KO) mice. Methods : Present study showed that LDLr KO mice were fed a high fat diet consisting of 60 kcal% fat, with or without 200 mg/day/kg ABO of diet, for 14 weeks. Results : High fat diet-LDLr KO mice were treated with ABO were completely normalized by lowering glucose. ABO reduced intima/media thickness in a high fat diet-LDLr KO mice without affecting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ABO caus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 the acetylcholine-precontracted aorta of high fat diet-LDLr KO mice. ABO increased eNOS expression, while decreased cell adhesion molecules expression in high fat diet-LDLr KO mice. Conclusions : In conclusion, chronic treatment with ABO improved hyperglycemia and endothelium-dependent vascular relaxation as well as exhibited anti-inflammatory effect in diabetic atherosclerotic mouse model, independent of effects on plasma lipids.

땅두릅뿌리를 이용한 혼합음료가 당뇨 및 고혈압 환자의 혈압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 최미숙;도대홍;최도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5-172
    • /
    • 2002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에 거주하고 있는 24명의 독거 노인(남자 10명, 여자 14명)으로 당뇨병 환자이고 경계성 고혈압 이상에 해당하며, 60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혈압과 혈청학적인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축기 혈압은 3주에 1주보다 A군에서는 4.9%상승하였고 B군은 0.3%가 증가되었으며 C군에서는 5.9%가 감소되었다. 각 군의 3주 평균은 A군 158.3$\pm$24.3, B군 149.1$\pm$19.2, C군 143.9$\pm$5.1로 C군, B, A군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완기 혈압은 1주에 비해 3주에 A군에서는 3.7% 증가하였고 B군은 0.3% 감소하였으며 C군에서는 1.5% 증가하였다. 각 군의 3주 평균은 A군 93.8$\pm$11.3, B군 93.2$\pm$11.2, C군 86.9$\pm$6.2로 C군, B군, A군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두릅음료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조절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2. 혈당은 3주에 1주보다 A군에서는 0.5%가 증가하였고 B와 C군에서는 각각 13.9%와 17.5%가 감소 되어 두릅음료가 혈당저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중성지방은 1주에 비해 3주에 A군에서 11.6%증가되었고 B군에서는 5.0% 감소하였으며 C군에서는 3.8%가 증가되었다. 총콜레스테롤은 1주보다 3주에 A군에서는 2.3% 증가되었고 B와 C군에서는 각각 8.7%와 14.5%가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A와 B군에서는 각각 4.8%와 13.2%가 낮아졌고 C군에서는 19.6%가 증가되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1주보다 3주에 A군에서 1.9% 상승하였으나 B와 C군에서는 각각 8.3%와 21.1%가 저하되었다.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두릅음료가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저하와 HDI-콜레스테롤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중성지방의 조절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 GOT는 3주에 1주에 비해서 A군은 16.4%감소하였고 B군은 14.9%증가하였으며 C군은 14.7%가 저하되었다. GPT는 3주에 1주보다 A군 1.0%, B군 43.0%, C군 43.0%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총 빌리루빈은 3주에 1주에 비해 A군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B군에서는 25% 감소를 보였으며 C군은 50%가 증가되어 GOT, GPT및 총 빌리루빈의 농도는 두릅음료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 및 율무 함유 생식이 영양불균형이 유도된 흰쥐의 체내 지질농도, 항산화체계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w Broun Rice and Job식s Tear Supplemented Diet on Serum and Hepatic Lipid Concentrations, Antioxidative System, and Immune Function of Rats)

  • 박진영;양미자;전혜승;이진희;배희경;박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7-206
    • /
    • 2003
  • 본 연구에서 는 sub-optimal 수준의 비타민과 무기질을 섭취하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알코올 섭취를 병행하여 영양 불균형이 유도된 흰쥐를 대상으로 현미와 율무로 구성된 생식 또는 열처리생식을 식이에 첨가하여 5주간 사육시킨 후 체내 지질농도, 항산화체계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영양불균형대조군의 식이효율은 일반대조군에 비해 더 낮았고, 현미 및 율무 함유생식 또는 열처리생식을 첨가한 결과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식이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일반생식군 또는 열처리생식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 해 각각 24% 또는 1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LUL+VLDL-콜레스테롤 농도 역시 일반생식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2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atherogenic index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일반생식군의 간조직 콜레스테롤 농도는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1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일반생식군 또는 열처리 생식 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각각 38%또는 5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한편, 영양불균형대조식이에 일반생식 또는 열처리생식을 첨가한 결과 간조직의 항산화효소계 활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장간막임파절의 CD4$^{+}$T-세포 분포 및 CD4$^{+}$/CD8$^{+}$비율은 일반생식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P<0.05), 열처리생식군과 영양불균형대조군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열처리를 하지 않은 현미 및 율무 함유 생식은 열처리생식에 비해 영양불균형 흰쥐의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효과 및 장간막임파절의 면역활성도 증가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냈다.

Antioxidant action of soy isoflavones 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exercised rats

  • Yoon, Gun-Ae;Park, Sunm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618-624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Isoflavones are widely believed to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in relation to their antioxidant potentials. Exercise can cause an imbalance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ioxid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isoflavones in amelioration of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xercise. MATERIALS/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isoflavone-free with no exercise (CON-sd), isoflavone-free with exercise (CON-ex), isoflavone-supplemented with no exercise (ISF-sd), and isoflavone-supplemented with exercise (ISF-ex). Animals exercised on the treadmill for 30 minutes per day, five days per week. TBARS as a marker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cluding SOD, GSH-px, and catalase were determined in liver tissue. Serum lipid profile was also examined. RESULTS: A significant effect of isoflavone alone was observed on abdominal fat pad mass. ISF-ex had significantly less abdominal fat pad than CON-ex. Both exercise and isoflavone trea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wering plasma triglyceride (TG), thus, the ISF-ex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TG level than the CON-sd group, by 30.9%.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lasma cholesterol, HDL-C, and cholesterol/HDL-C ratio. Exercise, isoflavone, and exercise-isoflavone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P = 0.001, 0.002, and 0.005, respectively). The CON-ex group showed a higher TBARS level than the other three groups. By contrast, in the ISF-ex group, TBARS was restored to the level of the ISF-sd or CON-sd group. Isoflavon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oxide dismutase (SOD) (P = 0.022) and catalase activities (P = 0.049). Significantly higher SOD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observed in ISF-ex than CON-ex. SOD and catalase activities showed an inverse pattern of TBARS. Taken together, isoflavones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alase with concomitant decreases in TBARS, indicative of decreased oxidative stress. CONCLUSIONS: Isoflavone supplementation enhances antioxidant action with attenuation of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as measured by decreases in TBARS, and inhibits body fat accumulation and plasma TG increase. Antioxidative effects ascribed to isoflavones may be partially exerted via enhancement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오수유와 마황이 저열량식이요법을 병행한 비만여성환자의 체구성성분 및 휴식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vodia Rutaecarpa and Ephedra Sinica on the Resting Metabolic Rate and Body Composition of Obese Women on a Low-Calorie Diet: A Doub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 박정미;김호준;김진아;김수진;고병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9-262
    • /
    • 2005
  • Backgrounds : As obesity prevails as an epidemic. diet programs including low-calorie diets are developed continuously.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a low-calorie diet is commonly followed by resting metabolic rate decrease and ultimate weight regain. Ephedra and Evodia are known to have sympathomimetic and anti-obesity effe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double-blinded, randomized m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effects of Ephedra sinica and Evodia rutaecarpa on resting metabolic rate (RMR), weight, body composition, and short-term safety in obese women on low-calorie diet. Methods : 125 otherwise healthy obese women (body mass Index ${\geq}\;25kg/m^2$)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Ephedra group (n=41), Evodia group (n =45), and placebo group (n=39). Subjects were administered Ephedra extract in capsules (pseudo-ephedrine 31.52mg) or Evodia extract in capsules (evodiamine 6.75mg, rutaecarpine 0.66mg) or placebo capsules as well as participating in a low-calorie diet for 8 weeks, Resting metabolic rate and body composition were measured at baseline,4 and 8 weeks. Basic serum exam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hort-term safety of the herbs and changes of lipid variables. Results : All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BMI decreases probably due to low-calorie diet. Among them, the Ephedra group manifested most prominent BMI-reducing effect and towere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significantly. The RMR was not changed during the 8-week diet in all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was found in RMR, either. Stbject with higher RMR than the mean at the baseline showed a tendency to keep their RMR more stable during the diet program. Conclusions : Ephedra with a low-calorie diet was effective in reducing BMI. RMR change was not compensated by herbal medicines. RMR change seemed to be affected rather by constitution and body composition than medicine. Ephedra and Evodia were proven to be safe for sort-term use in herbal form. Especially, Ephedra was effective in lowering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during the 8 weeks.

  • PDF

아마씨앗 첨가 한우사료가 등심 지방의 n-6/n-3 변화 및 이를 섭취한 사람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nwoo Diets Containing Linseed on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Humans to Beef Consumption and Change in n-6/n-3 Fatty Acid of Loin Fat)

  • 박상오;박병성;여인서;황보종;방한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5-2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사료 내 아마씨앗의 급여가 등심 내 오메가 6와 3 지방산 비율(n-6/n-3) 감소효과 및 n-6/n-3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사람의 혈액 중 LDL-C 감소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단계별로 거세한우 20마리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아마씨앗을 함유하는 n-3 처리구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n-3 사료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액 및 등심 내 n-6/n-3가 4:1이하로 감소하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써 올레인산은 52.79%까지 증가하였다. 임상실험자의 70% 이상에서 나타난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C은 각각 25.35, 5.22, 17.59% 감소하였고 수입 쇠고기는 9.05, 8.21, 21.70% 증가하였으나 일반한우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HDL-C는 6.07% 증가하였으나 수입 쇠고기와 일반한우는 각각 14.46, 11.46% 감소하였다. 혈당은 균형 한우고기와 일반 한우고기가 각각 6.42, 11.82% 감소하였으나 수입 쇠고기는 15.19% 증가하였다.

오디즙 및 오디박 분말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강하와 적혈구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on Blood Glucose and Lipid Lowering and Erythrocy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권은혜;장현서;김상운;최상원;이순재;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3호
    • /
    • pp.199-210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on blood glucose and lipid status along with intestinal disaccharidase and erythrocyte antioxidative enzyme system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pm}10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normal group, and eight STZ-induced diabetic groups: control diet group without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DM-C), three mulberry juice powder groups (0.5%: DM-0.5J, 1%: DM-1J, 2%: DM-2J) and low mulberry cake powder groups (0.25%: DM-0.25C, 0.5%: DM-0.5C, 1%: DM-1 C, 2%: DM-2C). After three-week feeding of each experimental diet, diabetes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50 mg/kg body weight of STZ in sodium citrate buffer (pH 4.3) via tail vein of eight DM groups. Rats were sacrificed at the 9th day of diabetic states. Level of blood glucose was 505 mg/dl in DM-C group but it was 28% and 39% lower in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fed groups, respectively, than the DM-C group. Activities of maltase, sucrase and lactase in proximal part of small intest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groups by $42{\sim}47%$ than those of DM-C group. Erythrocytic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STZ but increased close to normal levels along with less accumula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by STZ-DM were reduc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to the norma] levels by the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Except the levels of TBARS, the effects on the other measurements by the various dietary level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were almost same and the effect of the cake powder was most significant at the lowest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have consityerable hypoglycemic effect and strengthening antioxidant defense systems at the low levels in diabetic state and may be able to reduce diabetic complications.

Aspergillus oryzae로 생물전환한 감귤박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Citrus Peel Extrac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 전현주;유선녕;김상헌;박슬기;최현덕;김광연;이선이;전성식;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27-836
    • /
    • 2014
  •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와 편리한 생활에 따른 운동 부족,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비만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감귤류에는 carotenoid, coumarin, phenylpropanoid, limonoid 등 60여종의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감귤박에는 bioflavonoid, carotenoid, hesperidin, terpenes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감귤박은 항산화 효과, 고혈압 예방, 혈중 LDL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효과 등이 있음이 보고되어 있고 최근 들어 감귤박의 비만을 억제하는 효능이 밝혀져 항비만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으로 유도한 비만모델 ICR 생쥐에서 Aspergillus oryzae로 발효한 감귤박의 증강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쥐의 체중변화와 조직의 무게변화를 관찰하였고, 그룹별 혈청 지질 농도, 간 지질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 투여군(HFD)에 비해 감귤박 추출물 투여군(CP)과 감귤박 발효 추출물 투여군(CPA)은 체중 증가량과 증체율이 감소하였고, 혈청과 간의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TC)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한편, 유익한 cholesterol로 알려진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함량은 일반식이 투여군(NFD)과 CPA 투여군이 비슷하였다. CP 투여군과 CPA 투여군의 조직 무게에서도 HFD 투여군보다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CPA 투여군에서 특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In vitro 및 In vivo에서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 (The Beneficial Effects of Pectin on Obesity In vitro and In vivo)

  • 권진영;안인숙;박건영;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0
    • /
    • 2005
  •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 및 지질저하 효과를 3T3-Ll adipocyte cell culture system과 20%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흰쥐에서 살펴보았다 펙틴을 첨가한 3T3-Ll adipocyte cell의 글리세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leptin의 농도는 83% 유의 적으로 감소하여 (p<0.01) adipose 세포에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실험군간의 식이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20% 지방을 섭취시킨 쥐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체중이 50% 증가하였고, 고지방식이에 펙틴을 10%와 20% 첨가시킨 군에서 는 체중이 각각 12% 및 16% 감소하였다. 상대적인 내장지방의 함량(g/100 g body weight)은 ND 4.3 g, ITFD 5.6 g, HFP10은 3.1 g, HFP20은 2.3 g로 펙틴 첨가군의 상대적인 내장 지방 함량이 정상대조군보다 낮아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가 현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상승된 혈장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펙틴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여 펙틴의 첨가에 의한 지질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간 및 심장의 지질 농도 역시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펙틴의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 특히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 현상은 펙틴 첨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펙틴의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소장에서 지질의 흡수를 방해하여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을 촉진시키는 이외에도 다른 생리 활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펙틴은 고지방식이를 섭취 하는 경우 복부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체중감소 효과보다 크며 혈장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고 HDL 콜레스테롤은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구 결과, cook-chill생산 시 녹차 추출물의 첨가가 미생물적 품질유지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는 바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급식소에서 음식 생산 시 녹차 추출물 및 천연 항균성 물질 첨가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 및 관능적 품질검사를 통한 레시피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다.다리다보니 점심시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차후 학교급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급식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식당공간 확보 시 신속한 시간 내에 급식이 가능하도록 넓은 공간과 쾌적한 환경의 식당 조성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여부를 반영하는 임상증상의 빈도가 높은 청소년기 남녀 중학생의 경우 아침과 저녁의 결식빈도 및 외식과 간식의 빈도가 높았고, 아침식사의 질과 체형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건강과 식습관 및 체형만족도가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성장기 청소년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바람직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수 있었으며, 올바른 식습관 확립을 위한 영양교육의 중요성이 재확인되었다.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er 90 % of good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due to fineness of format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unit powder content and the improvement of flowability, without regard to the replacement of crushed stone fin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sage of crushed stone fines can control the strength of super flowing concrete by replacement and reduce heat of hyd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