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alpha}$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4초

동해 SeaWiFS 클로로필-α 농도의 스펙클 오차 특성 (Characteristics of Speckle Errors of SeaWiFS Chlorophyll-α Concentration in the East Sea)

  • 채화정;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4-246
    • /
    • 2009
  • 1997년 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동해의 SeaWiFS 자료를 이용하여 SeaWiFS 클로로필-${\alpha}$ 농도가 가지는 스펙클 오차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였다. 비정상적으로 큰 농도를 가진 스펙클들은 산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주변 화소들과 비교하였을 때 $10mg/m^3$ 이상의 현저하게 큰 편차를 보였다. 이 스펙클들은 겨울철에 자주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구름 분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10년 평균된 겨울철 운량은 동해 북서쪽보다 스펙클이 자주 출현하는 남동쪽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 결과는 운량이 증가할수록 스펙클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스펙클 화소의 정규화 된 수출광량은 단파장 영역(443, 490, 510nm)에서 상당히 낮았으나 555nm 파장대는 정상적이었다. 이러한 낮은 관측치들은 클로로필-${\alpha}$ 산출 식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농도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는 동해의 SeaWiFS 클로로필-${\alpha}$ 농도자료가 지니는 스펙클 오차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였으며, 적절한 해색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한 좀 더 신뢰도 있는 클로로필-${\alpha}$ 자료를 해양 응용 연구에 사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Alternative Alert System for Cyanobacterial Bloom, Using Phycocyanin as a Level Determinant

  • Ahn, Chi-Yong;Joung, Seung-Hyun;Yoon, Sook-Kyoung;Oh, Hee-Moc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98-104
    • /
    • 2007
  •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 and cyanobacterial cell density are regularly employed as dual criteria for determinations of the alert level for cyanobacterial bloom. However, chlorophyll ${\alpha}$ is not confined only to the cyanobacteria, but is found universally in eukaryotic algae. Furthermore, the determination of cyanobacterial cell counts is notoriously difficult, and is unduly dependent on individual variation and trained skill. A cyanobacteria-specific parameter other than the cell count or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 is, accordingly,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present cyanobacterial bloom alert system. Phycocyanin has been shown to exhibit a strong correlation with a variety of bloom-related factors. This may allow for the current alert system criteria to be replaced by a three-stage alert system based on phycocyanin concentrations of 0.1, 30, and $700\;{\mu}g/L$. This would also be advantageous in that it would become far more simple to conduct measurements without the need for expensive equipment, thereby enabling the monitoring of entire lakes more precisely and frequently. Thus, an alert system with superior predictive ability based on highthroughput phycocyanin measurements appears feasible.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입자성 유기물질의 분포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 권기영;문창호;강창근;김영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6-96
    • /
    • 2002
  • 1999년 3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섬진강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부유입자물질 (SPM), 엽록소 $\alpha$, 입자유기 탄소 (POC)와 질소 (PON) 그리고 입자유기규소 (PBSi)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정점은 지리적 위치보다는 각 조사시마다 표층염분을 현장에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섬진강으로부터 다량의 육수가 유입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조사시기에서 SPM의 농도는 20mg/L 이하로 낮아 섬진강을 통해 유입되는 육상기원의 SPM 공급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1999년 11월의 5$\~$15psu (난초도로부터 10$\~$20km), 2000년 4월의 15$\~$25psu (10$\~$20km), 그리고 2000년 10월의 약1$\~$15psu (15$\~$20km) 염분구간에서는 엽록소 a농도가 약 8$\~$58$\mu$g/L로 매우 높았으며 POC, PON 및 PBSi의 농도도 매우 높았다. POM의 농도가 매우 높았던 염분역을 포함한 중간염분역에서의 POC와 엽록소 $\alpha$ 비가 비교적 낮아 POC의 대부분이 식물플랑크톤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초저염분역과 하구 입구에서는 POC와 엽록소 $\alpha$ 비가 상대적으로 높아 담수 및 저층으로부터의 detrital POC 공급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섬진강 하구수역에서의 비교적 낮은 SPM 농도와 중간염분역에서의 높은 엽록소 $\alpha$ 농도 및 낮은 POC와 엽록소 $\alpha$ 비는 식물플랑크톤 생산이 염분에 따른 POM의 분포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해 준다.

Nutrients And Chlorophyll $\alpha$ Variations At A Fixed Station During The Red Tides In The Jinhae Bay

  • Yang, Dong-Beom;Hong, Gi-Hoo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6
    • /
    • 1982
  • 12 or 25 hours continuous observations were made for the variations of nutrients and chlorophyll ${\alpha}$ with tidal cycle at a fixed station located at a mid-channel of the Masan Bay. High nitrate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t the time of low tides whereas high phosphate concentrations at the time of high tides. It is suggested that anoxic bottom waters could also be the possible source of high phosphates in the outer bay.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were related to the nitrates in April and to the phosphates in June and August. The possible role of growth stimulators in causing the extensive blooms of red tide organisms is suggested.

  • PD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Genus Acartia (Copepoda: Calanoida)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 Soh, Ho-Young;Jeong, Hyeon-Gyeong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422-427
    • /
    • 2003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four coexisting acartiid species in two subgenera Acartiura (Acartia hongi and A. omorii) and Odontacartia (A. erythraea and A. pacifica) was examined at seven station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between January to December 1998. A. hongi occurred dominantly in the northern regions from winter to spring while A. omorii predominated in the southern regions in spring and early summer when the more saline (> 33.0 psu) and high chlorophyll-$\alpha$ concentration water mass appeared.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 $20^{\circ}C$), however, both species disappeared and then replaced with A. erythraea and A. pacifica. A. erythraea (rare species), appeared in the middle regions where the high chlorophyll-$\alpha$ concentration ($3{\mu}g\; I^{-1}$) in the summer, while A. pacifica was abundant in all regions through summer and fall. It is suggested that the seasonal succession of the genus Acartia was subgenus-specifically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and chlorophyll-$\alpha$ concentration.

Origin of Chlorophyll ${\alpha}$ Biosynthetic Heterogeneity in Higher Plants

  • Kim, Jin-Seog;Rebeiz, Constantin A.
    • BMB Reports
    • /
    • 제29권4호
    • /
    • pp.327-334
    • /
    • 1996
  • In this study, the origin of the monovinyl chlorophyll a carboxylic biosynthetic route was investigated in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com (Zea mays L.). Protoporphyrin IX accumulated in vivo or in vitro was found to be all of the divinyl form. Furthermore, the conversion of divinyl protoporphyrin IX to monovinyl protoporphyrin IX in vitro was not observed. In contrast, the biosynthesis and accumulation of monovinyl Mg-protoporphyrin IX and its methyl ester occurred in etiolated leaves and divinyl Mg-protoporphyrin IX was convertible to monovinyl Mg-protoporphyrin IX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novinyl chlorophyll ${\alpha}$ carboxylic biosynthetic route in plants may originate from the divinyl Mg-protoporphyrin IX pool.

  • PDF

알칼리도와 경도가 클로로필-α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nity and Hardness on the Chlorophyll-α Concentration)

  • 김성옥;김학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0
    • /
    • 2014
  • This study is done to prove the premise that both alkalinity and hardness affect on the dissolved phosphorus concentration so that the growth of algae is also affected in water bodies like rivers and lak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data of 13 reservoirs collected for the last decade shows the relations between alkalinity and chlorophyll-${\alpha}$ and between hardness and chlorophyll-${\alpha}$ are not linear but follow second order equation. This relation seems to be due to two antagonistic effects accompanying a simultaneous increase in alkalinity and hardness. The increase stimulates the growth of algae by supplying carbonates and $Ca^{2+}$ to algae and at same time it causes a decrease in soluble phosphorus which retards algae to grow. These opposing tendencies are confirmed by theoretical calculations with the MINTEQ model. There seems to be ranges of alkalinity and hardness that are in favor of algae growth; the ranges are less than 44 mg/L as $CaCO_3$ in alkalinity and also less than 63 mg/L as $CaCO_3$ in hardness. This finding will provide a solid base to develop an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water bodies.

동해 표층수 중 영양염과 Chlorophyll α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Nutrients and Chlorophyll α in the Surface Water of the East Sea)

  • 윤상철;윤이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98
    • /
    • 2016
  •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의 정점(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의 전 수역)에서 채수하여 영양염 및 엽록소-${\alpha}$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냉수역보다 난수역에서 1.4배 높은 질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난수역보다 냉수역에서 높게 나타났다($NH_4$, $PO_4$ 각 1.8배, $Si(OH)_4$ 1.2배, 엽록소-${\alpha}$ 1.9배). 암모니아와 인산염, 엽록소-${\alpha}$의 수평분포는 매우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한류와 저층수의 용승 영향권에 있는 러시아 근해에서 최대치를 보이고, 울릉분지에서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반면, 질산염은 대마난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울릉분지에서 최대치를 보이며, 점차 북상할수록 감소한다. N/P 비는 한류수계보다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대마난류수는 동해로 유입되는 질산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수역에서 인산염의 평균 농도는 $0.2{\mu}M$ 이하로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 냉수역에서의 높은 농도는 엽록소-${\alpha}$와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I은 수온에 의해 동해의 해양환경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주성분 II는 영양염과 엽록소-${\alpha}$ 가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해양환경은 수온에 지배되며, 그에 따라 냉수역과 온수역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CE-QUAL-W2를 이용한 진양호 취수량 변화에 따른 수질영향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act for Water Intake in Jinyang Reservoir Using CE-QUAL-W2)

  • 탁용훈;김영도;정선아;정세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0호
    • /
    • pp.857-868
    • /
    • 2015
  • 저수지의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수리 및 수질모형이 필요하며, 이러한 모형의 성능은 다양한 수문사상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다. CE-QUAL-W2 모형은 횡방향 평균 2차원 수리 및 수질 모형으로써 진양호와 같이 수체의 수심과 길이에 비해 폭이 좁은 저수지에 적합한 모형으로 앞선 연구자들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용수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남강댐 유역에 대하여 풍수년인 2011년과 평수년인 2009년의 수문사상에 대하여 검보정을 실시하였고, 보정년도인 2011년의 수문사상과 수질 조건을 이용하여 취수량 증가에 대한 영향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취수량을 변화시킴에 따라 T-N, T-P 및 Chlorophyll-${\alpha}$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갈수기에 각각 최대 62.53%, 39.07%, 232.1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lorophyll-${\alpha}$ 농도의 변화는 T-P의 변화특성과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갓김치의 발효과정 중 Chlorophylls 및 Carotenoids의 변화와 동획분의 항산화성 (Changes in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of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n the Lipid Oxidation)

  • 송은승;전영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63-568
    • /
    • 1997
  • 갓김치의 발효과정 중 chlorophylls, chlorophyll de-rivatives 및 carotenoids의 함량 변화와 갓김치에서 얻어진 이의 조획분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다. 갓김치 발효기간에 따른 chlorophylls 및 carotenoids의 함량은 발효 7일 동안 chlorophylls가 pheophytins로 급격히 전환되었으며 chlorophylls와 함께 chlorophyllides는 높은 농도는 아니지 만 15일 까지는 존재하다가 그 이후 모두 pheophytins와 pheophorbides로 변했다. 갓김치 발효기간 동안 total chlorophylls에는 큰 변화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 되었으나 carotenoids는 발효 말기인 25일째에 초기 함량의 43.7%로 감소되었다. 갓김치에서 얻어진 chlorophylls와 carotenoids 조분획이 지방질의 자동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을 때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기간에 따른 갓김치의 항산화성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차 이는 없었다. 갓김치의 chlorophylls와 carotenoids 분획이 지방산의 산화에 대한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동안 chlorophylls와 caratenoids의 감소율을 비교했을 때 총 chlorophylls가 총 caratenoids 보다 안정성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