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minnow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Induction of In Vitro Vitellogenin Synthesis by Bisphenol, Nonylphenol and Octylphenol in Chinese Minnow(Phoxinus oxycephalus) Hepatocytes

  • Park, Chang-Beom;Kim, Byung-Ho;Na, Oh-Soo;Choi, Young-Chan;Lee, Young-Don;Baek, Hae-Ja;Kim, Hyung-Bae;Akihiro Takemur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3호
    • /
    • pp.227-235
    • /
    • 2003
  • Bisphenol A (BPA), nonylphenol (NP), and 4-tert-octylphenol (OP) are know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with estrogenic activity in fish.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BPA, NP and OP on in vitro vitellogenin (VTG) synthesis in primary cultures of hepatocytes of the Chinese minnow Phoxinus oxycephalus. The VTG secreted into the culture medium was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hich we developed in this study using an antibody prepared from homogenates of Chinese minnow egg. VTG synthesis was induced by estradiol-17$\beta$ ($E_2$) and phenols (BPA, NP and OP) treatment. $E_2$ at concentrations of 10$^{-6}$ M or higher increased VTG levels significantly (P < 0.05). Exposure to 10^5\;M\;BPA\;or\;10^-4$M NP and OPinduced in vitro VTG synthesis (P < 0.01). However, $10^-3$ M BPA, NP or OP did not induce VTG synth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A has the highest estrogenic potential in Chinese minnow hepatocytes. Tamoxifen, an anti-estrogen, drastically blocked the production of VTG by phenols (BPA, NP and OP) suggesting that phenols (BPA, NP and OP) may act via binding to estrogen receptor (ER) in Chinese minnow hepatocytes.

경골어류 황어아과 버들치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Chinese minnow, Leuciscinae, Teleostei)

  • 김동희;장병수;정한석;등영건;김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37-243
    • /
    • 2009
  • 담수산 잉어과(Cyprinidae), 황어아과(Leuciscinae)에 속하는 버들치(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의 난자형성과정과 성숙난 난막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제1난모세포의 경우 난황포가 단지 난세포 가장자리에만 배열되어 있었고 난막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2난모세포에서는 난막이 형성되었고 제1난모세포에 비해서 난황포가 점점 핵 쪽으로 증식된 경향을 보였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호염기성 물질들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후에 난막 주위에만 국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난막의 두께와 난자의 크기는 점점 증가되었다. 배란된 성숙난 난막의 표면은 미세융모와 같은 구조물들에 의하여 덮혀 있었고 동물극 쪽에 깔떼기 형태의 난문이 발견되었다. 난막의 단면을 확인한 결과 부착성 외층과 섬유상 내층 모두 2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이 버들치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감소, 난막발달 및 두께의 증가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 패턴은 잉어과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배란된 성숙난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들은 이 종만이 가지는 종특이성으로 종을 분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버들치를 이용한 수중 동물의 방사성동위원소 전이계수 측정 (The Measurement of Radionuclides Concentration Ratio of the Aquatic Animal using the Chinese Minnow(Rhynchocypris Oxycephalus))

  • 전인;임광묵;최용호;금동권;박두원;한문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15-220
    • /
    • 2010
  • 수중 지표동물인 어류의 $^{137}Cs$$^{85}Sr$ 전이계수 측정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어종은 우리나라 고유 담수종인 버들치(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였다. 버들치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45cm, 85cm, 50cm의 아크릴 수족관 내에서 사육되었다. 수족관 물은 바닥과 벽면에 설치된 여과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화되었다. 먹이로는 과립 형태의 어류 분말을 1일 2회 투여하였다. 수중 $^{137}Cs$$^{85}Sr$의 초기 농도가 각각 약 $0.02{\mu}Ci/l$$0.1{\mu}Ci/l$가 되도록 방사성 용액을 가한 다음 1개월 간 총 10회에 걸쳐 어류와 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전이계수는 $^{137}Cs$$(0.085\sim3.988)lkg^{-1}$, $^{85}Sr$$(0.348\sim13.906)lkg^{-1}$로 측정되었다.

산지계류에 설치된 계상구조물이 어류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버들치를 중심으로 (Influence on the Movement of Fish by the Installation of Structures in Mountain Streams: Focused on Chinese Minnow)

  • 마호섭;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2호
    • /
    • pp.224-232
    • /
    • 2019
  • 산지계류에서 다양한 계상공작물의 설치에 따른 어류의 상부 및 하부로의 이동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박스공과 같은 개방형 구조물의 경우 강우의 영향으로 유량이 늘어나는 시기에는 낙차의 높이가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하여 버들치와 같은 유영성 어류들은 상부에서 하류로의 이동과 하부에서 상부로 소상하는데 비교적 양호하였다. 또한, 1 m 미만의 돌낙차공, 돌바닥막이 등 횡단 계상구조물은 상부에서 방사한 버들치의 개체가 하부에서 재 포획되어 구조물 상부에서 하부로의 이동은 가능하였으나, 유량이 많은 장마 직후에도 하부에서 상부로의 소상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 m 이상의 사방댐 등 횡단 사방공작물도 댐의 하단부에 물빼기 구멍의 수가 적거나 어류를 위한 소통 공간이 없는 경우는 유량이 많아도 버들치의 이동에 제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들치는 활발하게 행동은 하지만 계상구조물의 유형 및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이동에 제한을 받고 있다. 산지 계류에서 구조물을 설치할 때에는 구조물의 종류, 높이 및 어류서식 상태와 평소 계류에 물이 있는 지를 고려하여 어류가 소통할 수 있도록 가능한 높이를 낮추거나 개방형의 구조물을 적절하게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경골어류 황어아과 버들치의 정자형성과정 (The Spermatogenesis of Chinese minnow, Leuciscinae, Teleostei)

  • 김동희;장병수;김완종;이명선;등영건;김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1-8
    • /
    • 2010
  • 경골어류 잉어과(Cyprinidae), 황어아과(Leuciscinae)에 속하는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버들치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약 2.3 cm, 단축 약 6 mm 정도로 팽창된 긴방추형이었고 흰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서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정원세포는 전자밀도가 매우 낮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 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 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은 관찰되지 않았다.

ABSORBED INTERNAL DOSE CONVERSION COEFFICIENTS FOR DOMESTIC REFERENCE ANIMALS AND PLANT

  • Keum, Dong-Kwon;Jun, In;Lim, Kwang-Muk;Choi, Yong-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89-96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ology of calculating the internal dose conversion coefficient in order to assess the radiological impact on non-human species. This paper also presents the internal dose conversion coefficients of 25 radionuclides ($^3H,\;^7Be,\;^{14}C,\;^{40}K,\;^{51}Cr,\;^{54}Mn,\;^{59}Fe,\;^{58}Co,\;^{60}Co,\;^{65}Zn,\;^{90}Sr,\;^{95}Nb,\;^{99}Tc,\;^{106}Ru,\;^{129}I,\;^{131}I,\;^{136}Cs,\;^{137}Cs,\;^{140}Ba,\;^{140}La,\;^{144}Ce,\;^{238}U,\;^{239}Pu,\;^{240}Pu$) for domestic seven reference animals (roe deer, rat, frog, snake, Chinese minnow, bee, and earthworm) and one reference plant (pine tree). The uniform isotropic model was applied in order to calculate the internal dose conversion coefficients. The calculated internal dose conversion coefficient (${\mu}Gyd^{-1}$ per $Bqkg^{-1}$) ranged from $10^{-6}$ to $10^{-2}$ according to the type of radionuclides and organisms studied. It turns out that the internal does conversion coefficient was higher for alpha radionuclides, such as $^{238}U,\;^{239}Pu$, and $^{240}Pu$, and for large organisms, such as roe deer and pine tree. The internal dose conversion coefficients of $^{239}U,\;^{240}Pu,\;^{238}U,\;^{14}C,\;^3H$, and $^{99}Tc$ were independent of the organism.

경안천 고수부지에 조성한 금어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 시스템의 수질정화 및 생태복원 효과 (Water Purific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Effects of the Keumeo Stream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Established on the Floodplain of Kyungan Stream)

  • 변찬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35
    • /
    • 2010
  • A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was constructed on the floodplain of Kyungan stream in December, 2006. It purifies polluted water of Keumeo stream which flows into the stream. Water were sampled once a month at inlet and outlet from December, 2007 to December, 2008. $BOD_5$, SS, T-N and T-P were analyzed. Plant and fish species of the system were monitored twice during the period. Average influent and effluent BOD5 concentration was 6.2 and 2.2 mg/L, respectively and BOD5 removal was 50.8%. SS concentration of influent and effluent was averaged 10.1mg/L and 1.5mg/L, respectively and SS abatement amounted to 77.0%. Average influent and effluent T-N concentration was 4.9mg/L and 2.9 mg/L, respectively and T-N retention was 50.8%. T-P concentration of influent and effluent was averaged 0.386mg/L and 0.107mg/L, respectively and T-P removal amounted to 77.0%. Twenty two plant species were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system, however, they didn't m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lant populations compared with the planted species. Dominant plant speci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Phragmites communis > Typha latifolia > Iris pseudoacorus > Persicaria thunbergii. Five families and 15 species of fish were observed in the system including Chinese minnow (Moroco oxycephalus) which inhabits in clean water. Six more fish species were monitored in the system compared with ones living in Kyungan stream. Amphibia and reptiles accounted for 11 species of 4 orders and 7 families including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 which also lives in cleanwater.

실험실에서 사육한 버들치의 산란습성(産卵習性) 및 초기생활사(初期生活史) (Early Life History and Spawning Behavior of 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 Reared in the Laboratory)

  • 한경호;노병을;오성현;박준택;조재권;성기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7-183
    • /
    • 1999
  • 1997년 5~6월 경상남도 산청군에 위치한 경호강 중류에서 채집된 버들치의 친어들을 실험실에 설치된 수조에서 사육하던 중 산란습성(産卵習性)과 초기생활사(初期生活史)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버들치의 산란기(産卵期)는 자연상태에서 5~6월(月)이며, 성숙한 어미들은 수조 내 작은 모래와 자갈 사이로 파고 들어가 산란(産卵)하였으며, 수정(受精)된 란(卵)은 모래 속, 자갈 표면에 불어 있었다. 란(卵)의 크기는 1.70~1.90 mm(평균 1.80 mm n=20)로 유구(油球)는 없었다. 부화(孵化)는 평균 사육수온 $19{\pm}0.5^{\circ}C$에서 수정(受精) 후(後) 88시간 40분부터 시작되어 90시간만에 완료되었다. 부화(孵化) 직후(直後)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4.87~5.02 mm(평균 4.94 mm)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부화(孵化) 후(後) 6일째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6.32~6.56 mm (평균 6.44 mm)로 난황(卵黃)이 거의 흡수되어 입과 항문이 열려있었으며, 먹이를 섭이(攝餌)하기 시작하였다. 부화(孵化) 후(後) 13일째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6.74~6.91 mm (평균6.82mm)로 등지느러미가 생길 부분이 융기하기 시작하였고, 근절(筋節)은 11+23=38개였다. 부화(孵化) 후(後) 25일째는 전장(全長) 8.45~8.60 mm (평균 8.52 mm)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분화하기 시작하였으며, 성장이 다소 빨라지고, 배색말단(背索末端)은 $45^{\circ}$로 위로 굽어져 있었다. 부화(孵化) 후(後) 60일째의 개체는 전장(全長)이 16.39~16.57 mm (평균 16.43 mm)로 모든 지느러미 줄기가 정수에 달하였지만, 복부 쪽에 막상(膜狀)이 아직 남아 있었다. 부화(孵化) 후(後) 80일째의 치어(稚魚)들은 전장(全長)이 18.69~18.87 mm (평균 18.76 mm)로 몸 전체에 작은 반점이 형성되었으며, 몸의 형태, 체색 및 옆줄이 완전하게 형성되어 성어(成魚)에 닮아 있었다.

  • PDF

위천 상류에 건설 중인 화북댐 상 하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ish Community on Up and Downstream of Hwabuk Dam Under Construction in the Upper Wie Stream.)

  • 서진원;김희성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260-269
    • /
    • 2009
  • 본 조사는 낙동강 유역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고, 경북 중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경북 군위군 고로면에 건설 중인 화북댐의 상 하류 어류조사를 통하여 댐 건설이 하천유역에 특히 수 생태계내의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유무를 파악하여 종 다양성을 보전하고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사후환경영향조사 기간(2004${\sim}$2008년) 중 측정된 수질항목 분석결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온,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와 실내분석 항목인 부유물, 총대장균수의 경우 지점별로 다소 계절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유기물 및 영영염류 농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화학적 산소요구량, 엽록소, 질소, 인의 경우 지점별로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였으며 상류에서 다소 높고 하류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 중 비소의 경우 2005년 6월 0.092 mg $L^{-1}$를 제외하고는 0.05 mg $L^{-1}$ 이하를 나타내어 하천수 수질환경기준 상 사람의 건강 보호 측면에서 규정한 0.05 mg $L^{-1}$ 이하의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7과 19종 10,263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어류 중 우점종은 하천 중 상류에 주로 서식하는 참갈겨니(62.5%)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10.6%)로 나타났다. 조사 구간인 위천 상류에서 확인된 19종 중 한국고유종은 긴몰개, 동사리, 쉬리 등 총 9종(47.4%)으로 나타났으며,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I급으로 지정된 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가 소수의 개체이지만 포획되었고, 외래도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양도, 풍부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우점종인 참갈겨니의 개체군 분석 결과,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TW=0.000003$(TL)^{3.2603}$로서 매개변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나 개체군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시기에 다른 하천에서의 개체군들과 비교분석 결과 size별 평균 비대지수(CF)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화북댐 유역의 참갈겨니가 다른 지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어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건강성평가(IBI)를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양호(26${\sim}$35)에서 최적(36${\sim}$40)을 보였으며 지점 5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어류에 관한 환경영향평가와 하천건강성평가 등을 통한 화북댐 완공 후 상 하류 하천의 어류상 변화유무 및 환경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