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효율적인 정보통신기술교육을 위한 가속학습이론기반의 수업모형개발 (Development of the PLA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Accelerated Creative Learning)

  • 이승은;주길홍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9-35
    • /
    • 2011
  • 세계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으며 이 변화 속도는 21세기를 살아 갈 어린이들에게 보다 더 효율적으로 빠르게 학습하고 창의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컴퓨터 교육 분야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컴퓨터 교육과 관련한 시수가 줄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가속하는 변화를 다스릴 수 있도록 새로운 정보를 빠르게 흡수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그 정보를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을 중요시하는 교수 방법인 가속학습(Acceleated Learning)을 정보통신기술교육에 적용하여 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제한된 시간 안에 최대한의 효과를 끌어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속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6단계 수업활동과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PLAY(Pre-processing, Learning how to recognize, Activating the problem solving, Yield product) 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경기도 남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70명을 대상으로 10차시 분량의 정보통신기술교육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 PDF

학령기 아동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부모-교사 평가 일치도 (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n School Children'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 박효인;김진미;박용천;김석현;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1권3호
    • /
    • pp.161-167
    • /
    • 2010
  • Objectives: In assessing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in school-aged children, the importance of multi-informant reporting has been well documented. However, in clinical settings obtaining multiple informants' opinions has proven difficult. For that reason, we researched the agreem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Child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 (CPSQ) in order to reveal how accurate parents' assessments reflected teachers'opinions. Methods: We conducted the first screening for second- and third-grade children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rom 2003 to 2007 using the CPSQ. There were 1178 children included in the analysis. We then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as a second screening tool and subsequently,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and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vers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 was administered by a psychiatrist. We examined each item on the CPSQ and the subscale's agreement between parent and teacher as well as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CPSQ in children diagnosed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Results: The agreement rat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ppeared high for questions 18 (0.433), 1 (0.385), and 2 (0.325). Among the subscale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as found for externalizing problem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ognitive problems. For all diagnosed children, their parents revealed a higher sensitivity and lower specificity than teacher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CPSQ can be useful for sorting out externalizing and cogniti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however, with a larger sample size.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ject Activ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cience Achievement)

  • 임채성;왕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전통적 지능과 다중지능이 과학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량을 조사하기 위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따라 2개 학급의 아동을 과학 상위 중위 하위 성취자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아동 개인의 전통적 지능과 다중지능을 측정하고 이를 과학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정도를 다중회귀분석과 변량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 대상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눈 다음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학습법으로, 실험집단은 다중지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같은 주제를 학습한 다음 과학 학업성취도를 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전통적 지능(24%)보다 다중지능(42%)이 과학 학업성취도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도 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하위성취자의 경우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이 과학 학습 성취도률 높여 주는 데 큰 기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통적 학습보다 프로젝트 학습이 과학 상위와 중위 성취자의 과학 학업성취도률 향상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and Adverse Events of Atomoxetin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Park, Kee Jeong;Kim, Hyo-W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2호
    • /
    • pp.74-82
    • /
    • 201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and adverse events of atomoxetin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Korea. Methods: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at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Asan Medical Center from April 2015 to April 2018. Diagnoses of ADHD and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were confirmed with the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The subjects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atomoxetine for 12 weeks and illness severity was scored using the ADHD Rating Scale,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 and/or Improvement scale (CGI-I), at pre- and post-treatment. They also completed the Advanced Test of Attention (ATA), while their caregivers completed 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KPRC) at pre- and post-treatmen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chi}^2$ test, mixed between-within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ixty-five children with ADHD (mean age: $7.9{\pm}1.4years$, 57 boys) were enrolled, of which, 33 (50.8%) were treatment responders. Scores on the social dysfunction subscale of the KPRC (p=0.021) and commission errors on the visual ATA (p=0.036) at baseline were higher in treatment non-responders than in responders;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disappeared after adjusting for multiple comparisons. Mood changes were also observed in 13 subjects (20.0%), and three of them discontinued atomoxetine due to this. Additionally, atomoxetine-emergent mood change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girls (p=0.006), while the intelligence quotient (p=0.040) was higher in those subjects with mood changes than in those without.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s could be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or adverse events of atomoxetine in children with ADHD. Further long-term studies with larger samples are needed.

국민학교아동의 학습부진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Poor Schoo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정한;김귀연;허규숙;이주영;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628-649
    • /
    • 1993
  • 국민학생들의 학습부진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여 의학적 예방 및 치료 대책을 고안해 보기 위해, 대구 시내에서 고소득층 밀집지역과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국민학교 1개씩을 선정하고, 각 학교의 2, 4, 6학년 학생 중 학업 성적이 하위 10%에 속하는 학생(학습부진군) 175명과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성적이 상위 5%에 속하는 학생(우수군) 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에게 시력검사, 청력검사, 신체검사(체중, 신장, 두위)를 한 후, 고대 Stanford-Binet test를 이용한 지능검사와 TAI-K로 시험불안반응검사를 하고 발달소아학 전문의사가 신경학적 검진을 하였다. 아동의 어머니에게는 가정 환경, 어머니의 출산력, 아동의 출생 전후 및 과거력에서 의학적 특이사항, 그리고 행동양상에 관해 설문조사하고, 담임 선생에게 설문지를 통해 학교에서의 행동양상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두발을 적당량 채취하여 두발중 납, 카드뮴, 아연의 함량을 원자흡광분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학습부진과 각 요인과의 단순상관 관계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들을 이용한 다중지수형 회귀분석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하여 학습부진의 관련요인을 찾았다. 단순분석에서 학습부진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은 남아인 경우, 출산순위가 높은 경우, 결손가정인 경우, 부모의 학력이 낮거나 직업이 노동직인 경우, 아동의 체중, 신장 및 두위가 작은 경우, 시력장애가 있는 경우, 지능지수가 낮은 경우, 시험불안반응점수가 높은 경우, 과잉활동성 아동인 경우로 나타났다. 다중지수형 회귀분석결과 학습부진과 관련되는 요인은 아동의 높은 출산순위 (odds ratio=2.06), 남아인 경우(odds ratio=5.91), 결손가정(odds ratio=9.29), 신장이 표준치-1 표준편차보다 작은 경우(odds ratio=11.12), 높은 시험불안점수(odds ratio=1.07), 과잉활동성 장애아동(odds ratio=9.67), 그리고 지능지수(odds ratio=0.85)였다. 두발중 중금속 함량의 분석결과 모두 학습부진과 뚜렷한 관련성이 없었으며,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학습부진군과 우수군 모두 남아가 여아에 비해 높았으며, 남은 학년과 역상관 관계(p<0.05)를, 아연은 정상관 관계(p<0.05)를 나타내었다. 학습부진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 중 조정가능한 것은 출산순위, 신장, 과잉활동성 장애 등으로, 가족계획을 통해 알맞은 수의 자녀를 갖도록 하고, 영유아기에서부터 사춘기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영양공급을 하며, 과잉활동성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여 의사의 진단을 받아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학습부진을 예방 및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부모와 담임 선생이 학습부진아에게 본인의 지적능력 이상의 기대나 학습의 강요로 불안을 조장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Zinc and Lead Levels and Clinical Feature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Shin, Dong-Won;Kim, Eun-Ji;Oh, Kang-Seob;Shin, Young-Chul;Lim, Se-W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1호
    • /
    • pp.28-36
    • /
    • 2014
  •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zinc and lead level and symptom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mong Korean children. Methods : A total of 89 clinic-referr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DHD group=45, control group=44). The participants were 5-15 years old, and were mainly from urban areas of Seoul, Korea. ADHD was diagnosed using the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We excluded children with a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 medical illness requiring medication, or a prior history of taking ADHD medica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severity of ADHD symptoms, parents' Korean ADHD Rating Scale (K-ARS) was used.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was used for evaluation of the severity of inattention and impulsivity.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intelligence test and hair miner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hair zinc and lead levels on the K-ARS and ADS. We measured the predictive ability of the zinc and lead level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lead level explained the score for omission errors, commission errors, and response time SD in visual ADS in the ADHD group (adjusted $R^2$=.243, p<.01, adjusted $R^2$=.362, p<.01, and adjusted $R^2$=.275, p<.01), the score for omission errors of auditory ADS in ADHD group (adjusted $R^2$=.407, p<.01) and the entire group (adjusted $R^2$=.292, p<.01). Zinc was significantly explanatory for the K-ARS scores for the entire group (adjusted $R^2$=.248, p<.001) and the ADHD group (adjusted $R^2$=.247, p<.05).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a possible role of zinc and lead in ADHD. Lead concentration in hair samples affected the ADS scores, and this was more prominent in children with ADHD. Children with ADHD had a lower zinc concentration in their hair, and the zinc concentration in hair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K-ARS s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