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toothpast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치약 종류에 따른 유치의 표면 변화 (Change in surface of primary tooth using different type of toothpaste)

  • 최정옥;남설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1-286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face changes of enamel specimen, tooth structure by toothpastes in child and adult. Methods : Experimental teeth were collected from extracted human primary teeth. 120 enamel 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teeth into $2{\times}3{\times}2mm$ blocks using diamond saw and the specimens were assigned to 3 groups. Group 1 was used as control with no treatment. Group 2 was treated with child toothpaste and Group 3 was treated with adult toothpaste on primary enamel surface for 3 minutes daily over 4 weeks.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to individual container having artificial saliva and the artificial saliva was changed every day. The electron probe micro analyzer(EPMA) provided weight percent(wt%) of calcium(Ca) and phosphorous(P) on enamel surface. The morphology was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Tukey's test post-hoc test using SPSS(Version 20, SPSS Inc., Chicago, USA).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0.05. Results : The surface changes of the primary teeth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4 weeks. Calcium(Ca) and phosphorous(P) levels were found the weight percent difference and a rough enamel surface was seen on SEM after adult toothpaste application. Conclusions : The changes in Ca and P and the morphological surface were affected by the primary tooth treated with adult toothpaste. Enamel surfa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4 weeks.

영유아의 구강위생관리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ORAL HYGIENE METHODS FOR EARLY CHILDHOOD)

  • 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4-272
    • /
    • 2007
  • 연구 목적은 영유아의 구강위생관리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중의 영유아용 구강위생관리용품을 조사하여 분류하고 안전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익산시내 영유아 보육자들 672명에게 구강위생관리용품의 사용경험을 포함한 구강위생관리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영유아용 구강위생관리용품은 구강 티슈, 손가락 칫솔, 성장단계별 칫솔, 전동칫솔, 어린이용 칫솔, 삼켜도 되는 영유아용 치약을 포함한 성장단계별 치약, 어린이용 불소치약 등이 있었다. 사용 경험은 구강티슈가 62.5%, 손가락 칫솔이 70.9%, 3단계 칫솔이 55.9%, 삼켜도 되는 영유아용 치약이 87.4%이었다. 이를 닦아주기 시작한 때는 이가 날 때부터와 생후 1년경이 79.0%, 생후 2년경과 3년경이 21.0%이었고, 이닦기 중 치약을 삼키는 비율은 48개월 미만에서 22%이었고 $48{\sim}59$개월에서는 9%, 60개월 아상에서는 3%로 감소하였다. 보육자가 어린이 이를 닦아주는 비율은 48개월 미만에서 52%, $48{\sim}59$개월에서는 42%이었고 60개월 이상에서는 26%이었다. 영유아기 구강위생관리의 기본 방법은 이닦기를 통해 치아표면의 치태를 제거하는 것이며, 이닦기의 주된 방법은 칫솔질이고 치약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시에는 질식, 삼킴, 목구멍 손상 등에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3세 이전에는 불소치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으며, 사용시에는 최소량을 사용하고, 삼키지 않고 뱉도록 보호자가 지도 감독하여야한다.

  • PDF

영유아의 세치제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Dentifrice among Infants and Preschoolers)

  • 전주연;강영희;이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7-274
    • /
    • 2008
  • 어린이 세치제 구입의 주소비자인 부모에게 올바른 세치제의 기능과 정보를 공급하고, 어린이의 세치제 제조시 기준자료로써 활용하고자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어린이를 둔 보호자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어린이의 세치제 사용 실태에 대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한 비교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녀의 세치제 사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자녀의 세치제 사용 시작연령은 1세 이하가 58.1%로 가장 많았고, 처음으로 사용한 세치제의 형태는 유아용 세치제가 86.8%로 가장 많았으며, 불소함유 세치제의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예"라고 응답한 경우가 58.1%로 가장 많았고, 현재 사용하는 세치제의 형태는 크림형이 86.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잇솔질 시 사용하는 세치제의 양은 칫솔모의 3/10-4/10 정도가 35.9%로 가장 많았다. 2. 어린이 세치제의 사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현재 어린이 세치제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예"라고 응답한 경우가 81.4%로 가장 많았고, 어린이 세치제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 마지막으로 어린이 세치제를 사용한 연령은 만3세와 4세가 각각 33.9%로 나타났으며, 어린이 세치제에서 성인용 세치제로 교체하게 된 계기는 부모님의 판단에 의해서가 58.1%로 가장 많았고, 어린이 세치제에서 성인용 세치제로 교체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시기는 만4-5세가 43.2%로 가장 많았다. 3. 자녀의 세치제 구입 실태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녀의 세치제 구입 시 자녀가 미치는 영향력은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45.2%로 가장 많았고, 자녀의 세치제 구입시 함유성분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인식한 경우가 41.6%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선호하는 함유성분은 불소가 56.3%로 가장 많았고, 함유성분의 함량이나 주의사항 고려 여부에 대해서는 "예"가 53.0%로 나타났다. 4. 자녀의 세치제 선택 시 고려사항에 대한 우선순위는 브랜드 16.7%, 품질 14.6%, 함유성분 13.5% 순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연령에 따라서 자녀의 세치제 사용 연령 및 시작형태, 불소함유 세치제 사용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1), 부모의 직업이 가정주부인 경우 불소함유 세치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 PDF

칫솔두부크기와 짜는 방법에 따른 일회 세치제 사용량 조사 (A Survey on the Amount used of Toothpaste According to the Size of Head of Toothbrush and Squeezing Method)

  • 배수명;류다영;김희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39-443
    • /
    • 2010
  • 본 연구는 과량의 불소세치제 사용을 예방하기 위하여 만3~6세 아동의 불소세치제 사용량을 비교 평가하고자 충남 홍성군에 위치한 어린이집 5곳의 84명을 대상으로 칫솔두부크기와 세치제 짜는 방법에 따른 세치제량을 비교하였고, 실제적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구강보건교육자인 치위생과 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콩알크기(pea-size)로 짜는 방법과,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으로 짠 세치제 양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린이용 칫솔에 짠 불소세치제의 양은 0.29 g이었고, 성인용 칫솔에 짠 불소세치제의 양 은 0.34 g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작은 크기의 칫솔로 짰을 때 더 적은양의 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2. 3-6세 아동이 평소 통상적으로 짜는 방법대로 짠 양이 0.31 g이었고, 콩알크기(pea-size)로 짠 양이 0.21 g이었으며,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을 이용하여 짠 양은 0.26 g으로 조사되어, 평소 통상적으로 짜는 방법보다 콩알크기(pea-size)로 짜는 방법이나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을 이용하면 더 적은양의 불소세치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3. 치위생과 학생들을 조사한 결과 콩알크기(pea-size)로 짰을 때의 양은 0.23 g이었고, smear 방법을 이용했을 때는 0.15 g으로 조사되어,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을 이용했을 때 더 적은 양의 불소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4. 아동과 치위생과 학생들의 세치제 짜는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콩알크기(pea-size)로 짰을 때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p>0.05),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방법으로 짰을 때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더 적은양의 불소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5. 두부가 작은 칫솔을 사용하면 불소세치제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콩알크기(pea-size)로 짜는 방법과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은 불소세치제 사용량의 감소로 부주의한 불소 섭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어린이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부 보육교사의 유아 칫솔질 지도에 관한 실태조사 (Survey on Children Toothbrushing Teaching Guidance with Child Care Center Teachers)

  • 최용금;김희경;김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9-324
    • /
    • 2011
  •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세치제 사용과 칫솔질 지도 시 간과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육교사를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보육교사의 칫솔질지도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수혜 여부를 조사한 결과 59.6%가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15.4%가 보육교사 연수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보육교사의 55.1%가 적정 치약 사용량에 대해 교육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8.8%가 적정 치약사용량이 칫솔모 길이의 반 만큼이라고 응답하였다. 3. 칫솔질 지도 행태로 어린이 혼자서 칫솔질 하게 한다가 31.4%로 나타났다. 4. 칫솔질 권장 시기 교육에서 91.7%가 식사 후에만 칫솔질을 하도록 권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수혜여부와 칫솔질 권장시기 교육, 칫솔질 지도 행태, 치약삼킴 예방지도 그리고 적정 치약사용량과 같은 칫솔질 지도내용과 인식과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p>0.05), 구강보건교육 수혜여부와 구강건강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들이 올바른 칫솔질지도를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전문가의 체계적이고, 정확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보건교육사의 구강보건교육 수혜가 개인의 구강건강에 대한 태도변화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를 대상으로 칫솔질 지도 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구강보건행태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childcare teachers' practice about preschool children oral health promotion)

  • 배수명;송귀숙;류다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64-87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collect data about oral health to develop preschool children' oral health program. Methods : This research was from July 20th to August 20th, 2008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by post and e-mail. The response rate was 57.6%(144 of 250). Results : 1. Daycare center provided fruit(64.6%), bread(56.9%), milk(82.6%), yoghurt(47.9%). daycare center tend to provide cariogenic snacks and drinks such as bread, yoghurt. 2. 73.6% of teachers said they reward children with sweets for good behavior. 3. Activities related to oral health was done in daycare center were : children brush their teeth with fluoride toothpaste(79.9%), catering staff receive the education about nutrition(79.2%), children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nd training related to food(78.5%), using sugary food at a birthday party(77.3%), annual dental health check-up by a dentist(65.3%). 4. The percentages of guiding principles based on documentation in the topic of the oral health were : coping with a situation where a child injured his or her teeth(76.4%), annual dental health checkup by a dentist(72.2%), teachers supervise children's tooth brushing using a fluoride toothpaste(70.8%). 5. Documented guide or course for oral health includes the following; training for coping with tooth damage(76.4%), annual dental health check-up(72.2%), and coaching children to brush their teeth with toothpaste that contains fluoride(70.8%). Conclusions : It is believed that for better children's oral healthcare, childcare teacher should be given a range of in-depth oral health program. Furthermore, through detailed analysis on the documented guide of oral health, cooperation from the associated organization will be required to have the guide placed at the childcare center.

  • PDF

유아어머니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유아구강관리실태 - 대구광역시 일부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A child oral care state according to mother's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 selected pre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정명희;전성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65-972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oral heath behaviour of child by analyzing child's mother oral health behaviour. Methods : A total of 361(95.0%) 3-year-old-child's mothers who sent their child to child care institution in Daegu were analyzed from October 1, 2009 to October 31, 2009. Results : 1. In relation to general nature and experience on oral health education of child's mother, mother with higher monthly income, over than graduation from university and professional job had hig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which was statistically related(p<0.01)(p<0.001). 2. In the case of mother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is mother had higher dental clinic visit for 1 year, higher experience on scaling, higher good food preference for teeth health and higher use of floss, which was statistically related(p<0.05)(p<0.01). 3. Regarding child's oral management behaviour by mother's oral health importance, in the case that oral health was important, flouride toothpaste use, restriction on cavity inducting food and toothbrushing before sleep were higher only, which was statistically related(p<0.05)(p<0.001). Conclusion : In case of mother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is mother had experience on dental clinic visit for prevention of cavity, dental clinic visit for treatment and restriction on food in which their child's oral health behaviour were satisfactory, which was statistically related.

일부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태에 따른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following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 권현숙;이은경;조갑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70-684
    • /
    • 2009
  • Objectives : This research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closely affect the children's dental health and the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the latter with th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ental health business that would target children. Methods :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rbitrarily from three nursery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argeting 186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to six and their mothers. The children were subjected to dental Inspection, and the status of their dental caries was studied whereas the mothers were subjected to the survey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Results : 1.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when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is higher(p=0.02) and when the household's monthly income is higher(p=0.009). 2.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children tended to brush their toothbrushing using proper method(p=0.025). Moreover,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they tended to take their children to dental clinic mostly for preventive measures than for treating cavity(p=0.023). 3.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children's dmft index was significantly low(p=0.02). When the mothers use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children's children' dmft index was even lower(p=0.02). 4. As the children tended to brush their teeth more often, dmft index was lower(p=0.003). When the reason that the children visited dental clinic was more to prevent, than to treat cavity, dmft index was even lower(p=0.000) Conclusions : Whe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are summarize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dental health.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ternal and child dental health program that factors in both the mothers and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dental caries and to increase their dental health, and continued care is required to discover and treat dental caries early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