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square test

검색결과 2,790건 처리시간 0.028초

자발성 뇌내출혈 환자의 예후 예측도구 비교 (Comparison of Predict Mortality Scoring Systems for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s)

  • 연복희;김은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4-473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predictive ability of three mortality scoring systems;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APACHE) III, 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SAPS) II, and Mortality Probability Model(MPM) II in discriminating in-hospital mortality for intensive care unit(ICU) patients with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Methods: Eighty-nine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Korea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Medical records of the subject were reviewed by a researcher from January 1, 2003 to March 31, 2004, retro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8.1.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values of the Hosmer-Lemeshow's goodness-of-fit test for the APACHE III, the SAPS II and the MPM II were chi-square H=4.3849 p=0.7345, chi-square H=15.4491 p=0.0307, and chi-square H=0.3356 p=0.8455, respectively. Thus, The calibration of the MPM II found to be the best scoring system, followed by APACHE III. For ROC curve analysis, the areas under the curves of APACHE III, SAPS II, and MPM II were 0.934, 0.918 and 0.813, respectively. Thus, the discrimination of three scoring systems were satisfactory. For two-by-two decision matrices with a decision criterion of 0.5, the correct classification of three scoring systems were good. Conclusion: Both the APACHE III and the MPM II had an excellent power of mortality prediction and discrimination for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s in ICU.

  • PDF

유방자가검진 교육이 자가검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ucation on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 최경옥;서연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18-728
    • /
    • 1998
  • Breast self-examination is the most effective and easiest way for women to increase the responsible consciousness about their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riables impacted to promote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nonequevalent control group of a non-synchronized design. The sample that was assembled consisted of 124 women. A purposive sample consisted of 124 women. Each subject was given to assessed on the following the demographic data related to the breast self-examination, knowledge of self-examination, accuracy, in performing self-examination, self-efficacy about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and the number of subjects who found a mas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o examine the theretical model fit to the data, chi square test statistics and goodness of fit index were identified($\chi$$^2$=2.30, df=2, GFI=0.99, AGFI=0.94 RMSR=0.02, NFI=0.99, NNFI=0.99, Critical Number=439). 2. The direct effects of educa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were knowledge, self-efficacy, accuracy, number finding a mass. But the Indirect effect of education on breast self-examination was frequency of breast self-examination. 3. Knowlege, as direct paths to the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was removed in the theoretical model. The parsimonious best fit model included self-efficacy, accuracy, the number finding mass, frequency of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4. The final model produced a chi-square=5.58(p=0.35) with df=5, and GFI =0.99, AGFI =0.94, RMSR=0.03, NFI=0.99, NNFI=0.99, CN=339 indicating very a good fi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educa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is very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competency of the breast self-examination through the knowledge and self-efficacy. Resources to promote self-efficacy may be helpful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self-examination because self-efficacy is a direct effect on it.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develop nursing strategy to promote the self-efficacy of breast self-examination.

  • PDF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 관한 연구 (Can Endometriosis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 정병준;송현진;오익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3호
    • /
    • pp.223-227
    • /
    • 2002
  • 연구목적: 전반적인 자궁내막증이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특히 stage III-IV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 체외수정시술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진단복강경을 통해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91명 131주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stage III-IV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는 27명 34주기였다. 비교군은 이시기에 진단된 순수 난관원인으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한 40명 56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검사는 Student's t-test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고, p<0.05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체 자궁내막증 환자와 난관인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 두 군간의 나이는 $31.6{\pm}3.3$, $32.6{\pm}3.6$세로 비슷하였다. 채취된 난자의 수 ($10.3{\pm}6.6$ vs $11.7{\pm}5.1$), 성숙난자 수 ($7.4{\pm}4.7$ vs $7.7{\pm}4.9$), 수정율 ($70.2{\pm}32.4%$ vs $73.7{\pm}20.0%$), Good embryo quality rate (8세포 (G1+G2)를 2PN의 개수로 나눈 값) (32.6% vs 32.4%) 및 배아이식 수 ($4.6{\pm}1.4$ vs $4.8{\pm}1.1$)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또한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도 각각 30.7%, 42.8%로 비슷하였다.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인자의 비교에서 성숙난자 및 채취된 난자의 개수는 각각 $8.8{\pm}4.9$, $7.7{\pm}3.9$, $11.3{\pm}7.0$, $11.7{\pm}5.1$개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정율은 stage III와 IV 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66.2{\pm}30.0%$ vs $73.7{\pm}20.0%$). Good qulity embryo rate (GQER)는 stage III-IV 자궁내막증 환자군에서 22.0%로 순수 난관인자의 32.4%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15, Chi-square test). 배아이식 수의 경우는 각각 $4.7{\pm}1.5$, $4.8{\pm}1.1$개로 차이가 없었다.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는 stage III-IV군에서 25.0% (8/32), 난관인자 군의 42.8% (24/56)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p=0.06, Chi-square test),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체외수정시술시 자궁내막증이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 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는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ner and Outer Resources of Coping in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Patients :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upport

  • Woo, Jungmin;Rim, Hyo-Deog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4호
    • /
    • pp.141-150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security,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burden in the prediction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burden in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Methods Finally, 161 patient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for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depressive/anxious group and non-depressive/non-anxious group. For evaluating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ecurity,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distress and health-related burd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40.7% and 32.0% of the patients have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symptoms,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for test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ho have psychological distress and who have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med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except for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type of surgery (p = 0.01). Contrary to sociode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lth-related burden and two coping resources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upport) between groups (all p < 0.01), except for the support from medical team in between anxious group and non-anxious group (p = 0.20).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odel fit : chi-square/df ratio = 0.8,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 0.000, comparative fit index = 1.000, non-normed fit index =0.991),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upport emerged as an important predictor of psychopathology. Conclusions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distress. We suggest that individual attachment style and the social support state must be considered to approach the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patients with psychological distress.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성지식, 성태도,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의 융합적 비교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and Parent Efficacy among Parents of Preschool Child)

  • 이은미;오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1-150
    • /
    • 2016
  • 본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지식, 성태도, 부모효능감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학령전기 아동을 자녀로 둔 부모 70쌍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chi-square test,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녀 성교육에 대한 책임(p=.043), 자녀 성교육의 경험(p=.043), 자녀와 성에 대한 의사소통정도(p=.019), 성과 관련된 정보제공(p=.024)에 있어 부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간 성지식(p=.018), 성태도(p=.006)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p=.006)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바른 자녀 성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부모의 성지식, 성태도, 자녀 성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자녀 성교육을 위해 부모 간 차이점과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부모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부모 모두에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일 대학병원에 의뢰된 결혼이주 임산부의 10년간 산전, 분만 특성 변화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Prenatal and Labor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ferred to a University Hospital for 10 years)

  • 박경미;문희;이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17-32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C 대학병원에서 분만하였거나 지역병원에서 산전관리를 받다가 의뢰된 결혼이주임산부의 산전 및 분만 특성을 전반기 5년과 후반기 5년 동안의 변화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산후 모자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C 대학병원에서 분만한 결혼이주여성의 의무기록지를 통해 2016년 9월 7일부터 6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을 기준으로 전 후반기 5년으로 구분하였다. 조사기록지는 인구학적 특성, 산전, 분만 관련 특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Sample T-test, Chi-square test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의 산전, 분만 특성 중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임신시 부적절한 체중 증가, 임신합병증, 조산, 저체중 신생아, 낮은 아프가 점수 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이러한 변화를 토대로 이들의 산전, 분만 합병증 예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산전 후 건강 관리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주요 포털사이트의 응답패킷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ion comparison of response packets for major portal sites)

  • 류귀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437-444
    • /
    • 2013
  •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주요 3개 포털사이트의 응답패킷 분포를 연구하는 것이다. 대상은 Naver, Daum, Nate 등 포털사이트의 대표페이지이며, 실험기간은 2010년 5월 19일에서 2012년 11월 7일까지이며, 실험횟수는 4,642회 실시하였다. 분포 형태는 응답패킷의 양이 많은 Naver, Nate는 양봉분포를 이루고 있으며, Daum은 오른쪽 꼬리가 긴 분포를 이루고 있다. 분포가 동일한가에 대한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 이표본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통하여 3개 포털의 분포가 유의수준 1%하에서 다르다는 사실을 밝혔다. 상대도수와 백분위 수의 비교를 통해 응답패킷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응답패킷의 분포가 Naver가 가장 큰 값을 가졌으며, 다음은 Nate이었으며, Daum은 가장 작은 값을 가졌다.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속도를 높이는 것과 병행하여 페이지를 가볍게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은 포털들이 페이지를 가볍게 만들게 하는 경쟁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경로당 여성 노인들의 치매와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ooth of the elderly women on senior center)

  • 조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79-286
    • /
    • 2016
  •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로 노인들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치매의심, 정상인 세 그룹으로 나누어 여성 노인들의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일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로당을 방문한 60세 이상 여성 노인 177명의 구강 상태와 그들의 MMSE 점수로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chi-square test, t-test, ANOVA, multiful logistic regression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ultiful logistic regression으로 MMSE 점수에 따른 치매와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95% 신뢰구간으로 정하였다. 치매가 있는 대상자가 잔존 치아수가 0-10개로 적을 위험비가 3.53배(95% confidence interval: 1.382-8.99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노인들에서 MMSE 점수에 따른 치매와 잔존 치아 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세 이상 성인의 수면시간과 스트레스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on sleep time and stress of adults older than 40 years)

  • 조민정;김해경;오나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225-23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시간이나 스트레스가 잔존 치아 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성인 3,261명을 최종대상자로 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chi-square 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ogistic regression으로 수면시간이나 스트레스와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95% 신뢰구간으로 정하였다.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인 대상자의 잔존 치아 수가 20개미만으로 적을 위험비가 1.52배 (95% confidence interval: 1.074-2.135)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인지정도가 많은 대상자의 경우 잔존 치아수가 적을 위험비가 2.39배 (95% confidence interval: 1.855-3.090)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이, 성별 그리고 기타 변수를 보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핵심실기역량강화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re Practical Capacity Enhancement Training on the Key Competence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신화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79-287
    • /
    • 2020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하여 실습위주의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과목 학습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을 2주간 1일 8시간씩 네 영역의 핵심간호수기영역 교육을 실시한 그룹과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육을 받은 그룹으로 나누고 15주간 임상실습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가 보고하게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 부문의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부문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교육에서 효과적인 실습교육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