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estnut inner skin tea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from the Inner Skin of the Chestnut Castanea crenata ( II ) -Physiological Effects of Chestnut Inner Skin Tea, Brown Rice-preen Tea and Cassia tora Tea in Mouse and Rat- (밤속껍질에서 기능성 음료의 개발(II) -밤차, 현미녹차 및 결명자차가 생체기능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 전병관;정현우;이종률;지준명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3 no.5
    • /
    • pp.411-41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hestnut inner skin tea, brown rice-green tea and Cassia lora tea on the activ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proliferation of immunocytes in vitro and in vitro, suppress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mouse and rat. We used 8 weeks-old balb/c male mice, 300g ICR rats and L1210 cell line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BP) were measured using Leser-Doppler Flowmetry(LDF) and the proliferation of cells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ric tetrazolium assay(MTT assa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 1. rCBF was increased by Cassia tora tea, but decreas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in rats. 2. BP was increased by brown rice-green tea in rats. 3. Proliferation of mouse thymocytes and splen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in vitro. 4. Proliferation of mouse thymocytes was decreased by Cassia tora tea and brown rice-green tea in vitro. 5. Proliferation of mouse thymocytes was decreased by Cassia tora tea and brown rice-green tea in L1210 transplanted mice. 6.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was accelerat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in L1210 transplanted mice. 7.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was inhibit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and Cassia tora tea in L1210 transplanted mice.

  • PDF

The Development of Function Beverage from the Inner Skin of the Chestnut, Castanea crenate(I)- Analysis of Monosaccharides, Amino Acids and Caffeine Contents in Castanea crenata Tea Extract- (밤소껍질에서 기능성 음료의 개발(I)-밤속껍질차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 함량 분석-)

  • 전병관;이종률;지준명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3 no.3
    • /
    • pp.226-2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밤차로부터 용출한 차액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을 시판중인 현미녹차와 결명자차의 차액과 비교분석함을써 밤차의 기능성 건강음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녹차의 차액에는glucose와 galactose약 20:1 정도의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따른 당류의 변화는 적다. 2. 밤차의 차액에는 glucose, galactose, mannose등이 약 100:1:10의 비율로 존재하여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의한 변화는 적다. 특히 mannoxe는 천연에서 유리상태로존재하기 어려운 희귀한 유리당이다. 3. 결명자차 차액에서는 당류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결명자차의 amino산 함량은 현미녹착나 밤속껍질차의 아미노산 함량에 의해 1.6~1/7에 지나지 않았다.4. 현미녹차의 차액 중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serine, methionine, alanine 등의 순서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였고, 아미노산의 용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밤차의 차액 중에 아미노산은 alanine, asparagine, aspartic acid, proline, val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alanine, asparagine, proline등은 현미녹차에 비하여 함유량이 많으며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glutamine 등은 상대적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아미노산의 요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6. 현미녹차는 카페인을 126~162 mg/L 정도로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밤차나 결명자차는 함유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