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otaxis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3초

구연산과 테트라싸이클린으로 처리한 치근면에서 rhBMP-2가 치주인대섬유아세포와 골아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ic Acid and Tetracycline HCl Root Conditioning on rhBMP-2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and Osteoblast cell)

  • 심정민;한수부;설양조;이용무;김경화;계승범;최상묵;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21-41
    • /
    • 2001
  • The goal of Periodontal treatment is predictable periodontal regeneration. But until now, many products including GTR materials and growth factors are beyond of complete regeneration. BMP can induce ectopic bone formation when implanted into sites such as rat muscle and can greatly enhance healing of bony defects when applied exogenously. BMP can promote periodontal regeneration by their ability to stimulate new bone and new cementum forma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optimal conditions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Root conditioning is used for bioacive root change so altered root surface provides a substrate that promotes chemotaxis, migration and attachment of peridontal cells encouraging connective attachment to the denuded root surf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id conditioning change effect of rhBMP-2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and osteoblast cell line. 288 periodontally involved root dentin slices are divided into 6 groups, each 48, 1)control, 2)treated with BMP, 3)treated with citric acid 4)treated with citric acid+BMP 5)treated with tetracycline 6)treated with TC+BMP. Each group was devided half, so 12 root dentin slices were seeded with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12 were seeded with osteoblasts. At day 2 and 7, cell number, protein assay, ALP activitiy was measured. To investigate morphology of cultured cells, SEM was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8.0 either t-test or ANOVA test. The results are ; Protein assay and cell number was slightly decreased in CA+BMP group compared to Ca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P activity was much more increased in CA+BMP group compared to CA group s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BMP and CA+BMP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control group. Cell number and protein assay was slightly increased in TC group and ALP activity was much less the BMP group and CA group. Cell number and protein and ALP activity was not much increased in TC+BMP group. TC group and TC+BMP group showed cell morphology change in SEM. This results suggested that application of root surface with citric acid before BMP treatment might give better result in periodontal regeneration.

  • PDF

Putative proinflammatory cytokine유전자의 발현양상과 수용체 분자의 cloing (GEN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UTATIVE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RECEPTOR MOLECULE CLONING)

  • 오귀옥;송요한;서영석;이동환;문대희;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472-482
    • /
    • 1994
  • Cytokines expressed specifically in leukocytes subsets and in activated cells, which are involved in chemotaxis and activation of leukocytes, are recently defined as chemokines.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1{\alpha}(MIP-1{\alpha})$ and $MIP-1{\beta}$ are members of C-C chemokine subfamily which produces wide immunomodulatory, proinflammatory, and hematopoietic modulatory actions. We have studied their gene expression by using Northern blot analysis in various blood cells such as cytolytic T lymphocyte(CTL), helper T lymphocyte(HTL), macrophage, and B lymphocyte. Resting CTL line CTLL-R8 expressed $MIP-1{\alpha}$ mRNA which was downregulated by ConA stimulation. Both of resting and ConA stimulated HTL line Hut78 and Jurkat did not express $MIP-1{\alpha}$ mRNA. There was detectable $MIP-1{\alpha}$ transcript in HTL hybridoma 2B4.11 which was a little upstimulated by ConA stimulation. B cell line 230, and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and WR19M.1 showed distinct $MIP-1{\alpha}$ message which were induced after LPS stimulation. Expression pattern of $MIP-1{\beta}$ in all cell lines or cell were almost identical to that of $MIP-1{\alpha}$. Also strategies employed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biological functions was preceded by receptor cloning to trace the shorcut to the final goal of cytokine research. For the cloning of $MIP-1{\alpha}$ receptor(R), we used synthetic oligonucleotides of transmembrane(T) conserved sequences of already cloned human(h) IL-8-R, and performe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mplification using murine(m) macrophage cell line mRNA. Among 5RT-PCR products, we isolated a homologous cDNA with hIL-8-R which were shown to be putative mIL-8-R cDNA.

  • PD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and Cholesterol on Sperm Swim-up Separation through Sucrose Layer)

  • 김경화;여영근;박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0
    • /
    • 1998
  • 난포액에 함유되어 있는 steroids와 sterol이 수정에 참여하는 정자의 주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이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rogesterone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억제하였으나 수정능획득한 정자를 유인하였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progesterone은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2. Estradiol 17 beta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이 억제되었으나, 10$\mu$g/ml 수준의 estradi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 및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자극하였으나,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4. Progesterone, estradiol 및 cholesterol의 병용처리에서,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나, progesterone과 estradiol은 이러한 cholesterol의 효과를 감소시켰다. Progesterone은 수정획득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이나 cholesterol은 progester-one의 이러한 효과를 억제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rogesterone은 50$\mu$g/ml 첨가수준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swim-up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며, cholesterol은 5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은 1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람세균 Synechocystis sp. PCC 6803 PTX의 주광성 운동에 미치는 몇가지 대사 억제제의 효과 (Effects of Some Metabolic Inhibitors on Phototactic Movement in Cyanobacterium Synechosystis sp. PCC 6803 PTX)

  • 박영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87-93
    • /
    • 1995
  • 최근에 Synechocystis sp. PCC 6803 중에 한 균주가 고체 한천 배지상에서 일정한 조명(300-1000 lux) 방향을 따라 활주 운동하는 것을 관찰하여 이 종을 S. 6803 PTX라고 명명하고 이의 주광성 운동에 대한 생리학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몇 가지 대사 억제제와 신호 전달 차단제의 주광성 운동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DCMU는 광계 II로부터 광계 I의 일차 전자 수용체인 플라스토퀴논으로의 비순환성 광합성 전자전달을 억제하는 억제자로서 $100\;\mu\textrm{M}$의 농도에서는 주광성 운동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호흡에 의한 전자전달 억제제인 sodium azide를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S. 6803 PTX에서 심하게 장해를 받았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주광성 운동의 주동력원이 광인산화 과정보다는 호흡에 의한 산화적인 인산화과정에 주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세포를 CCCP나 DNP와 같은 막상의 uncoupler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내 ATP 농도를 저하시키거나 세포질막에 수소 이온의 전기화학구배($\Delta\mu_{H}+$)를 제거시키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주광성 운동에 뚜렷한 영향은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와는 달리, H+-F0F1 ATPase에 민감하게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DCCD나 NBD의 처리는 세포내 ATP만 고갈시키고 막상에서 $\Delta\mu_{H}+$는 그대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DCCD나 NBD는 주광성 운동에 대해서는 심하게 억제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특이성 calcium ionophore 중의 하나인 A23187의 처리는 양성 주광성에 심하게 장해를 주었다. 아마도 Ca2+ 유동은 주광운동 방향성의 신호전달 과정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adenosyl methionine과 같은 메틸 공여체의 고갈이 S. 6803 PTX 균주의 주광성 반응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에티오닌을 BG11을 한천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 생물종의 광운동은 에티오닌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일정하게 억제되다가 0.5mM에서 주광성 운동을 완전히 억제시켰다. 이것은 광수용 기작이 Escherichia coil나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발견된 메틸기 수용 주화성 단백질과 같은 메틸화/탈메틸화 과정에 의하여 조절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

Seed-borne Pathogenic Bacterium Interact with Air-borne Plant Pathogenic Fungus in Rice Fields

  • Jung, Boknam;Park, Jungwook;Kim, Namgyu;Li, Taiying;Kim, Soyeon;Bartley, Laura E.;Kim, Jinnyun;Kim, Inyoung;Kang, Yoonhee;Yun, Ki-Hoon;Choi, Younghae;Lee, Hyun-Hee;Lee, Kwang Sik;Kim, Bo Yeon;Shon, Jong Cheol;Kim, Won Cheol;Liu, Kwang-Hyeon;Yoon, Dahye;Kim, Suhkman;Ji, Sungyeon;Seo, Young Su;Lee, Jungkwan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3-33
    • /
    • 2018
  • Air-borne plant pathogenic fungus Fusarium graminearum and seed-borne plant pathogenic bacterium Burkholderia glumae are cause similar disease symptoms in rice heads. Here we showed that two pathogens frequently co-isolated in rice heads and F. graminearum is resistant to toxoflavin produced by B. glumae while other fungal genera are sensitive to the toxin. We have tried to clarify the resistant mechanism of F. graminearum against toxoflavin and the ecological reason of co-existence of the two pathogens in rice. We found that F. graminearum carries resistance to toxoflavin as accumulating lipid in fungal cells. Co-cultivation of two pathogens resulted in increased conidia and enhanced chemical attraction and attachment of the bacterial cells to the fungal conidia. Bacteria physically attached to fungal conidia, which protected bacterium cells from UV light and allowed disease dispersal. Chemotaxis analysis showed that bacterial cells moved toward the fungal exudation compared to a control. Even enhanced the production of phytotoxic trichothecene by the fungal under presence of toxoflavin and disease severity on rice hea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o-inoculation rather than single inocul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undisclosed potentiality of air-born infection of bacteria using the fungal spores for survival and dispersal.

  • PDF

게르마늄 강화효모의 마우스에서의 암세포 억제 및 대식세포, NK 세포, B 세포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Germanium-Fortified Yeast Activates Macrophage, NK Cells and B Cells and Inhibits Tumor Progression in Mice.)

  • 백대헌;정진욱;손창욱;강종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8-127
    • /
    • 2007
  • 본 연구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유기게르마늄 강화효모 경구투여에 의한 면역조절작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우스를 대상으로 9일간 경구투여한 결과 대조군인 게르마늄 비강화 효모 투여군에 비해 복강대식세포, B세포, NK 세포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 실험결과 대식세포는 게르마늄 강화효모 투여 후 식세포활성, 주화성, 부착성, rosette 형성능 현저히 증가하였다. Superoxide $anion(O_2^-)$ 생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유기게르마늄 강화군 투여군에서 3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NO 생성능과 $TNF-{\alpha}$ 생성능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B-세포 활성화에 의한 cytolytic activity 증가에 의한 PFC형성능도 게르마늄 비강화 효모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상업화 유기게르마늄으로 알려지고 있는 Ge-132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Cytotoxic acivity에 의한 항 종양활성에서는 양성대조군인 Doxorubicin 투여군에서와 유사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고용량 유기게르마늄 효모(2,400 mg/kg) 투여시 60%의 종양활성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게르마늄 강화효모가 실험동물 뿐만 아니라 인체의 유용한 면역조절제로서의 이용성이 기대된다.

Chunghyul-dan acts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in endothelial cells by regulating gene expression

  • Jung, Woo-Sang;Cho, Jin-Gu;In, Kyung-Min;Kim, Jong-Min;Cho, Ki-Ho;Park, Jung-Mi;Moon, Sang-Kwan;Kim, Kyung-Wook;Park, Seong-Uk;Pyee, Jae-Ho;Park, Sang-Gyu;Jeong, Yoon-Hwa;Park, Heon-Yong;Ko, Chang-Na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4호
    • /
    • pp.275-282
    • /
    • 2010
  • Chunghyul-dan (CHD) is a combinatorial drug known to exert anti-inflammatory effects in endothelial cells. In this study, we employed global transcriptional profiling using cDNA microarrays to identify molecular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HD in endothelial cells. An analysis of the microarray data revealed that transcript levels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vascular cell-adhesion molecule-1 (VCAM-1) and activated leukocyte cell-adhesion molecule were dramatically altered in CHD-treated endothelial cells. These changes in gene expression were confirmed by RT-PCR, Western blotting and ELISA. Chronic CHD treatment also appeared to decrease MCP-1 secretion, probably as a result of decreased MCP-1 expression. In addition, we determined that chronic CHD treatment inhibited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adhesion of THP-1 leukocytes to endothelial cells. The inhibitory effect of CHD on LPS-stimulated adhesion resulted from downregulation of VCAM-1 expression. Transmigration of THP-1 leukocytes through endothelial cells was also inhibited by chronic CHD treatment. In conclusion, CHD controls a variety of inflammatory activities by regulating MCP-1 and VCAM-1 gene expression.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특이항원 유발검사후 RANTES농도의 변화 (Change of Soluble RANTES Levels in Serum from Pateints with Atopic Bronchial Asthma)

  • 이양근;김재헌;이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82-189
    • /
    • 1996
  • 연구목적 :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염증반응, 기관지 과민 반응의 증가및 가역적인 기도의 수축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기관지 염증반응의 단계중에서도 호산구등의 염증세포들이 혈관벽을 통과한후 염증 부위로의 이동 및 활성화에 관여하는 RANTES의 농도를 특이 항원으로 유발후 측정하여 기관지 천식의 병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3월부터 1995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내과에 내원한 환자중 알레르기 피부시험과 비특이적 기관지유발 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 환자 16명과 정상 대조군 8명을 대상으로 RANTES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특이 항원 기관지 유발 검사 전 혈청내 RANTES농도는, 조기 천식반응군이 57740pg/ml, 이중 천식반응환자군이 54430pg/ml으로 정상 대조군의 31087pg/ml에 비해 기관지 천식 환자군에서 유의있게 증가하였으나(P<0.05), 조기 천식환자군에 비해 이중 천식환자군에서 유의한 증가는 볼수 없었다. 2)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특이 항원 유발후 30분, 2시간 8시간후에 측정한 RANTES농도는 조기 천식반응군이 각각 51508, 51288, 그리고 52264pg/ml으로 유발전에 비해 유의있는 관찰할수 없었으며, 이중 천식환자군역시 각각 51723, 50110, 그리고 55674pg/ml으로 유발전에 비해 유의있는 변화는 관찰할수 없었다. 결론 :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 환자의 병인에 RANTES 농도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천식의 만성 염증성 변화에 깊히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 PDF

Prediction of itching diagnostic marker through RNA sequencing of contact hypersensitivity and skin scratching stimulation mice models

  • Kim, Young-Won;Zhou, Tong;Ko, Eun-A;Kim, Seongtae;Lee, Donghee;Seo, Yelim;Kwon, Nahee;Choi, Taeyeon;Lim, Heejung;Cho, Sungvin;Bae, Gwanhui;Hwang, Yuseong;Kim, Dojin;Park, Hyewon;Lee, Minjae;Jang, Eunkyung;Choi, Jeongyoon;Bae, Hyemi;Lim, Inja;Bang, Hyoweon;Ko, Jae-H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2호
    • /
    • pp.151-159
    • /
    • 2019
  • Pruritus (itching) is classically defined as an unpleasant cutaneous sensation that leads to scratching behavior. Although the scientific criteria of classification for pruritic diseases are not clear, it can be divided as acute or chronic by duration of sympto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skin injury caused by chemical (contact hypersensitivity, CHS) or physical (skin-scratching stimulation, SSS) stimuli causes initial pruritus and analyzed gene expression profiles systemically to determine how changes in skin gene expression in the affected area are related to itching. In both CHS and SSS, we ranked the Gene Ontology Biological Process terms that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chang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were keratinization, inflammatory response and neutrophil chemotaxis. The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pathway shows the difference of immune system, cell growth and death, signaling molecules and interactions, an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Il1a, Il1b and Il22 were upregulated in the CHS, and Tnf, Tnfrsf1b, Il1b, Il1r1 and Il6 were upregulated in the SSS. Trpc1 channel genes were observed in representative itching-related candidate gen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RNA-sequencing data obtained from the skin tissue of each animal model in these characteristic stages, it is possible to find useful diagnostic markers for the treatment of itching, to diagnose itching causes and to apply customized treatment.

해양 해면체로부터 분리한 세균으로 항알러지성물질을 생산하는 Bacillus safensis KCTC 12796BP의 유전체 해독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a marine sponge-associated bacteria, Bacillus safensis KCTC 12796BP, which produces the anti-allergic compounds)

  • 한 응엔 판 기우;김수희;김금진;최혁재;남두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8-452
    • /
    • 2018
  • 제주도 성산리 앞 바다 속 해면체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afensis KCTC 12796BP의 유전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935,874 bp의 환형 염색체와 36,690 bp의 plasmid 염기 서열을 확인하였다. 염색체는 G + C 함량이 41.4%로 75개의 위유 전자를 포함한 3,980개의 코딩 서열을, plasmid는 G + C 함량이 37.3%로 36개의 코딩 서열을 포함하고 있었다. 염색체 코딩 서열 중에는 81개의 tRNA 유전자, 24개 rRNA 유전자와 1개의 tmRNA 유전자가 있었다. 또한 포자 생성에 필요한 30개의 유전자, 포자피를 지령하는 16개의 유전자, 그리고 발아에 필요한 20개의 유전자도 발견되었다. 이외에 협막 다당체 생합성에 필요한 유전자와 편모 생합성 및 주화성에 필요한 유전자, 그리고 염 내성에 필요한 glycine-choline betaine 수송체에 관한 유전자도 존재하였다. 무엇보다도 항알러지활성을 보이는 이차대사산물 seongsanamide의 생합성을 지령하는 비리보좀성 펩타이드 합성효소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