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oxidation

검색결과 2,632건 처리시간 0.027초

L-${\alpha}$-Phosphatidylethanolamine 단분자층 LB막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Langmuir-Blodgett(LB) Films of L-${\alpha}$-Phosphatidylethanolamine Monolayer)

  • 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4-49
    • /
    • 2014
  • 인지질(L-${\alpha}$-phosphatidylethanolamine, LAPE) 단분자층 LB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그 안정성을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조사하였다. LAPE 단분자층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특성은 0.5 N, 1.0 N, 1.5 N 및 2.0 N $KClO_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각 50, 100, 150, 200 및 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LAPE LB막은 순환전압전류곡선으로부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LAPE LB막은 전해질농도가 0.01 N, 0.05 N. 0.10 N, 0.15 N 과 0.20 N $KClO_4$ 용액에서 확산계수(D)는 각각 195, 15.9, 5.75, 1.38 및 $0.754cm^2s^{-1}{\times}10^{-9}$을 얻었다.

시판 국내산 및 일본산 마른멸치의 품질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ies Processed in Korea and Japan)

  • 김진수;허민수;김혜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85-690
    • /
    • 2001
  • 수입산 마른멸치의 품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일본산 마른멸치(중멸 및 자멸)의 식품학적 품질특성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과 같은 구성성분, 과산화물값 및 색도와 같은 지질산패도, 휘발성염기질소, 형상 둥과 같은 기호도 둥)을 국내산 마른멸치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일본산 멸치는 수분이 $22.2\sim24.7\%$ 범위, 염도가 $5.7\sim6.6\%$ 범위 및 산불용성 회분이 $0.42\sim0.50\%$ 범위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일본산 멸치는 형태의 경우 손상이 거의 없었고, 표면색의 경우 고유의 유백색에서 밝은 등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이미, 이취가 없으면서 마른멸치 고유의 풍미를 가지고 었다. 따라서 이를 한국산업규격에 적용하는 경우 일본산 마른멸치의 경우 특급으로 분류되었다. 일본산 마른멸치는 구성아미노산 및 무기질로 살펴 본 영양 특성은 두 성분 모두 국내산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본산 마른멸치의 경우 과산화물값 및 헌터의 황색 도로 살펴 본 지질 산화 측면에서는 유통기간 및 저장기간을 거치지 않은 국내산보다는 품질이 약간 낮았으나 소비자가 관능적으로 인지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되었다.

  • PDF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EM)로 사양한 EM Pork의 육질 개선 효과 (Quality Improvement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Pork Produced by Using EM)

  • 한승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34-737
    • /
    • 2005
  • 본 연구는 EM을 음수 및 사료내에 첨가하여 사양한 돼지의 육질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돈육과 EM Pork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돼지 50두를 공시하여 일반성분, 육질 개선 및 육질 보존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결과, 일반 돈육은 평균적으로 $83{\pm}4mg/100\;g$ 이었는데 EM Pork는 $71{\pm}3\;mg/100\;g$을 나타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5). 또한 TBA가는 저장기간 14일에 일반 돈육이 $0.184{\pm}0.003$ MDA mg/kg을 나타냈는데 EM Pork는 $0.165{\pm}0.004$ MDA mg/kg으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VBN치는 일반 돈육을 5일간 냉동 저장한 것이 $3.72{\pm}0.05\;mg\%$이었고 EM Pork는 $3.2{\pm}0.05\;mg\%$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일반 돈육을 5일간 냉장 저장한 것은 $4.9{\pm}0.1\;mg\%$를 나타냈으나 EM Pork는 $3.19{\pm}0.04mg\%$를 나타내 일반 돈육보다 $35\%$ 정도 VBN치가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일반시장에서 튀김식품에 사용된 기름의 화학적 변화 (Chemical Changes of the Deep Fat Frying Oils Used Commercially)

  • 주광지;하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7-254
    • /
    • 1989
  • 튀김 식품에 사용되는 기름들은 반복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계속하여 사용되므로 튀김기름이 산패 중합되어서 인체에 해를 끼칠 수가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던 기름에 대한 폐기처분이나 어떤 법적인 규제가 없다. 이 연구보고서는 일반시장에서 반복하여 사용된 기름에 새 기름을 첨가하여 사용한 기름과 가정용 기름을 시료로 하여 유지의 일반성 상과 가열시간에 따르는 유지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시장에서 몇가지 튀김식품에 사용되는 기름은 가정용 튀김기름보다 그 품질면에서 열등하였다. 또한 가열하기전 신선한 기름 그 자체가 정제식용유의 규격기준에 미달되었다. 튀김기름은 튀김횟수가 증가하고 가열시간이 증가함에따라 유리지방산가, 과산화물가와 요오드가의 증가 또는 감소등으로 유지 산패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내다가 신선한 기름의 첨가로 가열전 기름의 수준으로 환원되어졌다. 튀김기름속에 잔존하는 비휘발성 극성성분의 함량은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신선한 기름의 첨가에 관계없이 증가하였으며 가열 22시간 후에는 극성성분의 함량이 산패된 기름의 수준까지 이르렀다. 튀김기름의 지방산 조성은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팔미친산, 스테아린산 함량의 비율은 증가하였고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은 그 함량이 각각 감소하였다. 채종유중 고에루신산 채종유는 다량의 에루신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식용에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제주 자생 물사과 가지 유래 Flavonoid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the Flavonoids of the Syzygium aqueum Burm.f. Alston Branches from Jeju Island)

  • 염현숙;이남호;현주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1-1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세포보호효과를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_2O_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20{\mu}g/mL$의 농도에서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보호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좋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실시하여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pinocembrin (1), desmethoxymatteucinol (2).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1,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100{\mu}M$의 농도에서 화합물 1, 2는 $H_2O_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하여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물사과 가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비귀금속 합금에 적용한 Au Based Bonding Agent가 금속-도재 결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Au Based Bonding Agent Coating on Non-Precious Metals-Ceramic Bond Strength)

  • 이정환;안재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5-412
    • /
    • 2009
  • 본 연구는 도재소부용 비귀금속에 Au 코팅 층을 형성하고, Au 코팅 층이 금속-도재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출 굴곡 시험 후에 SEM/EDS 방법으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1. Ni-Cr ally 군과 Co-Cr alloy 군, 그리고 Ti 군의 절단면 시편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Au 코팅 층은 산화층의 확산을 제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 2축 굴곡 시험 후에 EDS 분석 결과 Ni-Cr alloy 군과 Co-Cr alloy 군에서 Si 함량은 Au 코팅 층을 형성한 시편에서 약간 감소하였고, 결합실패의 형태는 cohesive failure와 adhesive failure가 혼재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3. Ni-Cr alloy 군과 Co-Cr alloy 군에서 Au 코팅 층은 도재-금속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4. Ti 군의 결합실패 형태는 Ni-Cr alloy 군과 Co-Cr alloy 군에 비해서 adhesive failure 양상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고, Au 코팅 층은 도재-금속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비귀금속에 적용한 Au 코팅은 산화층의 확산을 제어 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으나, 금속-도재 간의 결합력 증징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였다. Au 코팅을 이용하여 금속-도재 간의 결합력 증진을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청태전과 녹차 추출물의 이화학적 성분과 생리 활성 (Physical and Chemical Ingredients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 박용서;이미경;유현희;허북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1-396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help restore and spread broaden the consumption of Chungtaejeon, a our traditional tea, Chungtaejeon in Korea, and as well as to gather the basic data on Chutaejeon tea. We have also compared the various ingredients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hungtaejeon tea extracts with that of green tea extrac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otal phenol contents in of the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were 90.56 and 98.70 mg/100 mL, respectively, and their tannin contents levels in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were 214.14 mg/100 mL and 259.60 mg/100 mL, respectively, showing a difference in content. The catechin contents of the Che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were in the order of EGC($15.80{\sim}16.50\;mg/100mL$), EGCG($10.40{\sim}10.60\;mg/100 mL$), and ECG($9.55{\sim}9.88\;mg/100 mL$),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EC(7.86 mg/100 mL) in the green tea extract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at in them Che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Quercetin was the main flavonoid ingredient component in those both the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was quercetin, at levels of 0.08 mg/100 mL and 0.06 mg/100 mL and its contents in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were 0.08 mg/100 mL and 0.06 mg/100 mL, respectively. The primary amino acid in both tea extracts was theanine main amino acid at levels of, theanine contents were most increased in 8.02 mg/100mL and 10.80 mg/100 mL, respectively, Chungtaejeon tea extracts by 8.02 mg/100 mL and green tea extracts by 10.80 mg/100 mL. And the arginine contents of the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in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were 1.78 mg/100 mL and 1.86 mg/100 mL, respectively. In terms of mineral composition, potassium content was highest contents in the Chungtaejeon and green tea extracts by 19.80 and 18.04 mg/100 mL, respectively. Finally, the Chungtaejeon tea extracts offered the greatest anti-oxidation and ACE inhibition activities were most increased in the Chungtaejeon tea extracts, and the green tea extrac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90% was extremely much increased in the green tea extracts by 90%.

  • PDF

섬쑥부쟁이(Aster glehni Fr. Schm.) 분획물의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The Effect of Aster glehni Fr. Schm. Extracts on Whitening and Anti-Wrinkle)

  • 김한혁;박근혜;박강수;이진영;김태훈;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34-1040
    • /
    • 2010
  • 천연의 식물과 추출물은 비용의 효율성과 풍부한 자원을 이점으로 식품, 약, 의약 분야와 마찬가지로 화장품 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 섬쑥부쟁이는 항산화 활성을 제외하고는 그 효능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의 대표적인 특산 식물인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분야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조사한바, 효소적 in vitro 검색법을 측정하여 이들 중 가장 우수한 EtOAc 추출물을 대상으로 이러한 저해능이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과도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melanoma cell line 내 단백질 수준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TRP-1의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섬쑥부쟁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ug/ml을 처리한 군에서는 tyrosinase protein을 30.5%를 억제하였고, TRP-1은 41.5% 억제하였다. 한편, 섬쑥부쟁이 분획물의 생육 저해환 측정에서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Propionibacterium acnes,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헥산 분획물 2 mg/disc에서 각각 21.0 mm, 12.0 mm, 14.0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어 섬쑥부쟁이 헥산 분획물만이 유일하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났다. 이들 실험 결과를 미루어보아, 섬쑥부쟁이의 화장품 분야에서의 활용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되나, 그 활성 성분에 대한 명확한 규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를 제시하는 바이다.

줄(Zizania latifolia)의 생장에 의한 저토에서 질소와 인의 형태 변화 (Changes in Form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Sediment by Growth of Zizania latifolia)

  • 민금숙;곽영세;김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2호
    • /
    • pp.93-98
    • /
    • 2005
  • 정수식물인 줄(Zizania latifolia)의 생장에 따른 저토로부터의 무기영양소 흡수와 저토의 산화환원전위(Eh) 및 pH와 같은 물리, 화학적 특성과 $NH_4^+$$NO_3^-$의 질소형 그리고 유동성 인$(PO_4^{3-})$, 착화합물 인, 인회석 인 및 유기 인의 변화를 화분 재배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화분재배 실험에서 저토의 Eh는 식재 후에 식물구의 환원층이 무식물구의 것보다 높았다. 환원층의 $NH_4^+-N$ 함량은 식물구가 무식물구보다 적었고, $NO_3^--N$ 함량은 그것과 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형태별 인의 비율은 식재 전에 유기 인이 높았고, 식재 후에 착화합물 인이 높음으로써, 전자가 분해되어 후자로 변형됨이 확인되었다. 상층수와 침출수의 $NH_4^+-N$$PO_4^{3-}-P$ 농도는 무식물구보다 식물구에서 낮았다. 침출수의 $NO_3^--N$ 농도는 무식물구보다 식물구에서 높았고, 이는 뿌리로부터의 산소공급이 저토를 산화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털부처꽃 뿌리로부터 조제된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from Lythrum salicaria L. (Root))

  • 이승은;김금숙;한희선;이은숙;김영옥;이정훈;성낙술;이상원;김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23-328
    • /
    • 2010
  • Root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reported a hepato-protective effect on $CCl_4$-induced liver toxicity of rat was prepared into fractions such as n-hexane up layer (HA), n-hexane down layer (HB), diethyl ether (E), ethylacetate (EA), n-butanol (B) and water (W). Fractions prepared were tested thei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condition. All of the fractions showed effective antioxidant asctivities on DPPH radical and $CuSO_4$-induce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and 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98.1% at $50\;{\mu}g/m{\ell}$)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at $40^{\circ}C$,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alpha$-tocopherol (82.4%). Five fractions (H = HA plus HB, E, EA, B, and W, 150 mg/kg/day) were fed into Sprague Dawley, male rats for 4 days, which were intoxicated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1\;m{\ell}/kg$ in corn oil) at the 4th day and were sacrificed in 24 hrs. Serum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 proinflammatory cytokine, elevated with $CCl_4$-intoxication in negative control group ($83\;pg/m{\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 fraction-supplemented group ($18\;pg/m{\ell}$). Cu, Zn-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creased in negative control group (0.12 U/mg protein) was decreased in E fraction (0.07 U/mg protein).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ther fraction from root extract of L. salicaria would be a potent antioxidant candidate for ameliorating liver injury induced by chemical intox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