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3초

${\gamma}$-Oryzanol 첨가가 저장 중 약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Oryzanol Addition on the Quality of Yackwa during Storage)

  • 우정민;양차범;이재환;안영순;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7-404
    • /
    • 2005
  • 약과 저장 중 지방의 산패로 인해 품질 저하를 개선하고자 ${\gamma}$-oryzanol(0.0, 0.1, 0.5, 1.0, 2.0%)을 첨가한 약과의 저장성과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약과의 산가, 과산화물가, TBA가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gamma}$-oryzanol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져 ${\gamma}$-oryzanol는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약과의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는 ${\gamma}$-oryzanol 첨가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직감은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나 ${\gamma}$-oryzanol 첨가량에 따른 통일된 유의적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모든 시료군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gamma}$-oryzanol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유지되었다. ${\gamma}$-Oryzanol 첨가 약과에서 산패에 의해 발생하는 전형적인 휘발성 물질인 hexanal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산패취의 생성 또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gamma}$-Oryzanol 첨가가 약과의 산패도 지연 및 저장성 증대에 활용 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Total Mixed R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Growing Korean Black Goats

  • Hwangbo, Soon;Choi, Sun Ho;Kim, Sang Woo;Son, Dong Soo;Park, Ho Sung;Lee, Sung Hoon;Jo, Ik Hw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8호
    • /
    • pp.1133-1139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crude protein (CP) levels in total mixed rations (TMR)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growing Korean black goats. Thirty-six 6-month-old growing black male goats (initial body weight =17.95${\pm}$0.13 kg) were used. The go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treatments and 9 animals were allotted to each treatment. In terms of treatments, CP levels in TMR were 14, 16, 18, and 20% of dry matter (DM) and all diets were isocaloric (2.4 Mcal ME/kg DM). The experiment lasted for 20 weeks with a 15-day adaptation period. After the end of the trial, five goats from each treatment were slaughtered to measur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Average daily gain (ADG)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s dietary CP levels increased, but the highest ADG was found on the 18% CP treatment. The higher CP levels in TMR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feed conversion ratio, but the lowest ratio was on the 18% CP treatment, suggesting a higher bioavailability of nutrients by balanced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this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essing percentage among treatments, but there was a tendency for levels more than 16% CP in TMR to have a comparatively higher dressing percentage than the 14% treatment. The percentages of meat, fat and bone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etary CP levels. Dietary CP levels did not influence chemical composition of goat meat.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any of the sensory parameters except for tenderness. Tenderness was similar for 18 and 20% treatments,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e 14% treat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an adequate CP level in TMR for achieving optimal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growing Korean black goats might be 18% of DM, and that dietary CP level above 18% seemed not to further increas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보리의 효소처리가 보리차의 품질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zyme Treatments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 김우정;고환경;윤석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3-589
    • /
    • 1989
  • 보리차의 수율을 높이고 보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품질을 향상시켜 한국인의 기호에 맞는 보리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나맥인 영산보리를 조쇄하고 20분 침지하여 $250^{\circ}C$에서 6분 볶아 세 가지의 복합효소(1,000, 2,000 및 5,000)을 일정한 시간 반응시켜 물리화학적 성질 및 관능경사를 실시하였다. 고형물의 수율은 ${\alpha}-amylase$의 활성이 높은 복합효소 5,000이 가장 좋았고 복합효소 1,000, 2,000의 순이었다. 수율이 높은 효소일수록 반응시간이 짧아도 대조구에 비하여 수율이 높았으며 수율이 낮은 효소는 반응시간을 10분에서 40분까지 계속 증가시킬 때 수율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점도는 복합호소 5,000<1,000<2,000 순이었으며 D.E.는 이와 반대이었고 탁도는 점도와 같은 순이었으나 점도, 탁도 및 D.E.는 호소반응시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은 있었으나 큰 차이를 고이지는 않았다. 24시간 $4^{\circ}C$ 저장시 복합효소 5,000은 거의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보리차의 색은 수율이 높을수록 L값은 낮고 a, b값은 높아져 전체적으로 색이 엷어졌다. 관능검사 결과 효소반응시간이 $30{\sim}40$분 일 때 전반적인 관능적 성질이 향상되었고 복합효소 5,000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발효기간이 산야채 발효액의 품질과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 김나미;이종원;도재호;양재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2-279
    • /
    • 2003
  • 산야채를 이용하여 추출물 발효식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발효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발효액의 성분과 품질특성, 효소활성과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circ}Bx$는 점차 낮아졌으며, 점도는 감잎 추출물 발효액을 제외하고는 3개월 경과시 현저히 낮아졌다. 색도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다라 L값과 a값은 증가되고, b값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발효액 중의 amylase 효소활성은 발효 6개월이 경과하면서 발효 전에 비하여 $167{\sim}800%$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invertase는 발효 초기에는 활성이 거의 없었으나 1개월 경과시에 $60{\sim}170$ units의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ellulase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3{\sim}4$개월시 가장 높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쑥을 제외한 모든 발효액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아카시아와 감잎 발효액에서 각각 $23.1{\sim}25.1%,\;26.8{\sim}29.2%$의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쑥은 발효 기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고, 솔잎은 발효기간이 증가되면서 맛과 냄새의 강도가 높아졌으며, 전체적인 기호도가 발효 3개월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산야채 추출물의 발효기간은 $3{\sim}4$개월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냉장에 의한 해동 홀스타인 안심육의 기호성 향상 (Effect of Cold Storage on the Palatability of Thawed Holstein Tenderloin)

  • 정인철;김미숙;임채원;문귀임;차인호;권혁동;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37-642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동결된 홀스타인 안심육을 해동하여 다시 냉장시켰을 경우 물리화학적 성질과 관능특성이 가열육의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변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전단력가, 근원섬유 소편화율, 30KD의 출현 정도, 생육향 및 연도 그리고 가열육의 기호성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미노산 함량과 ATP 관련 화합물의 차이도 비교하였다. 냉장 안심육은 생육향(p<0.01), 연도(p<0.05), 전단력가(p<0.05), 근원섬유의 소편화율(P<0.01) 및 30KD 성분의 출현 정도(p<0.001)가 동결 안심육 보다 우수하였으며, 동결육을 해동하여 다시 $3^{\circ}C에서$ 냉장하므로써 동결육 보다 전단력가(p<0.05), 근원섬유의 소편화율(p<0.001) 및 30KD성분(p<0.001)이 현저하게 우수하였고 연도(p<0.05)가 향상되고 생육향(p<0.05)도 좋아졌다. 동결 해동한 후 다시 냉장한 안심육을 가열하였을 때에도 해동 직후의 안심육에 비하여 가열육향과 텍스쳐가 향상되었으며, 기호성(p<0.05)도 현저하게 좋아졌다. 그러나 후각을 차단한 상태에서만 느껴지는 맛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동결 해동 후 다시 냉장한 안심육은 해동 직후의 안심육 보다 aspartic acid 및 leucine 함량이 많아졌고 (p<0.05) IMP 함량이 적었으며 (p<0.05), hypoxanthine (p<0.05)과 inosine의 함량은 많아졌다.

  • PDF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2. 파우치 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2. Shelf-life a Plastic Pouch racking of Changran-Jeotgal-)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0
    • /
    • 2002
  • 신제조기법과 재래식방법으로 제조된 창란젓갈을 시험구와 대조구로하여 이들을 파우치 포장하여 각각 10, 20 및 $3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창란젓갈의 파우치포장 low density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ethylen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nylon/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Ny)에서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파우치 포장의 $CO_2$, 발생과 부피 팽창속도가 가속화되었으며, 부피팽창 속도는 PE/Ny, PET, PE 순으로 빨랐다. 한편, pH, L값, VBN의 변화속도는 PE가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이 PET, PE/Ny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전 구간에 있어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변화속도가 완만하였다. 포장재별로 각 온도에서 저장한 창란젓갈의 생균수변화를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생균수 증가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젓갈 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PE의 경우 PET나 PE/Ny에 비하여 필름의 가스투과성이 높아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PET나 PE/Ny 파우치 포장으로 대체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창란젓갈 파우치포장의 관능검사에서 상품성이 유지되는 품질기준을 6.0 이상으로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설정하였을 때, $10^{\circ}C$에서PE, PET, PE/Ny 포장의 품질유지 기한은 대조구가 20일, 40일, 40일인데 비하여 시험구는 40일, 50일, 60일로 나타나 10$\~$20일 정도 연장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파우치포장에서는 파우치의 부피, pH, L값, 휘발성염기질소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리적 특성이 다른 옹기에서의 고추장 발효 중 성분 변화 (Compositional Changes of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in Onggis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 정순경;이광수;이동선;이세훈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1-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옹기의 특성에 대한 과학적인 규명을 위해 흙의 종류와 유약의 도포 정도를 달리하여 옹기를 제작, 그 특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고추장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흙의 성분 중 소성시 융제로 작용하는 CaO, MgO, $K_2O$, $Na_2O$의 합이 황토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황토, 옹기토, 분쇄토간의 차이가 크지 않아 기공율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기공율의 차이는 흙의 입도차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실험결과 역시 분쇄토의 함량에 따라 기공율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유약은 천연유약으로 소성시 융제로 작용하는 CaO, MgO, $K_2O$, $Na_2O$가 흙보다 많이 함유되어 유약으로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수율에 있어서 분쇄토의 혼합율에 따라 옹기의 기공율이 높게 나타났다. 원적외선 방사율은 유약을 도포한 면에서 도포하지 않은 면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공율을 달리한 용기에서 고추장 발효시 환원당의 변화는 분쇄토 0%인 P0-BG구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 감소하였고, 총질소는 분쇄토 30%인 P30-BG가 가장 높았고, 고추장의 저장 중 맛에 관여하는 아미노태 질소 함량의 변화는 분쇄토 0%인 P0-BG구가 초기 158 mg%에서 발효 4개월 째 260 mg% 함량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의 변화는 핵산의 변화와 함께 관능검사 결과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경우 제품의 색상, 냄새, 맛 그리고 종합적인 평가에 있어서 용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분쇄토 0%인 P0-BG구가 가장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미강 첨가 발효유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Rice Bran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casei)

  • 홍성문;구민성;정의천;강필구;김철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17-25
    • /
    • 2015
  • 본 실험은 쌀겨를 발효식품에 이용하고자 상업용 균주인 Streptococcus thermophilus(ST-body1), Lactobacillus casei(LC-10)을 이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고, 발효시간 경과에 따라 적정산도, 유산균수, 유기산 측정, 유리아미노산 측정,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ST-body1은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발효 3시간째에 급격하게 산도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LC-10은 산도의 증가폭이 크지 않아 24시간 발효를 하여도 산도가 0.5%를 넘지 못하였다. 균주의 생균수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배양 24시간 동안 뚜렷한 경향 없이 $10^6{\sim}10^9CFU/mL$ 사이로 존재하였다.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 측정 결과, ST-body1 생장 및 생육에는 glutamic acid가 LC-10 생장 및 생육에는 aspartic acid가 밀접한 관계를 보였으며, LC-10은 발효 시 methionine이 20~30시간 경에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methionine을 발효 시 이용하고, 재생산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관능검사 결과, 선호도는 ST-body1이 미강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다.

  • PDF

황토성분(Illite) 첨가 급여가 비육돈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llite Supplementation on the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 김천제;이의수;송민석;조진국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158
    • /
    • 2000
  • 본 연구는 황토광물 중 대표적인 광물인 illite를 첨가한 사료의 급여가 돈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illite 첨가사료를 급여한 돼지(시험구)와 일반사료를 급여한 돼지(대조구)를 도축하고, 24시간 냉각 후 등식육을 시료로 취하여 4℃ 냉장실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종육질을 조사하였다. 최종 pH는 대조구가 pH 5.58이었고 시험구가 pH 5.60로 나타나 모두 정상범위의 pH를 보였으며, 두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압착법에 의하여 측정된 보수력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가열감량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p〈0.05). 도축 24시간 후와 7일간 저장 후 측정된 전단력은 대조구와 시험구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육색측정 결과 L*-값과 a*-값은 시험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b*-값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4℃에서 저장하는 동안 발생한 드립감량은 3일까지는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감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NPPC 육질평가 기준표에 의하여 평가한 육색은 대조구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조기가열육의 풍미, 맛, 연도는 대조구와 시험구사이에 큰 칭가 없었으나, 다즙성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 PDF

효소 및 미생물 복합체를 사용한 인비트로 루왁 커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 vitro luwak coffee produced using enzyme and microbial complexes)

  • 강혜미;오신영;강혜민;권중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7-299
    • /
    • 2023
  • 효소 및 미생물 복합제를 사용하여 인비트로 발효 루왁커피를 제조하여 non-fermented coffee beans(NFC)과 fermented coffee beans(FC)의 커피 품질을 비교하였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NFC가 254.01±4.89 mg/mL, FC가 264.15±16.80 mg/mL로 FC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NFC는 glutamic acid, γ-aminon-butyric acid 등이 높았으나, FC는 lysine, leucine, valine 등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커피 생두의 발효과정은 sucrose의 감소와 fructose 및 glucose의 유의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커피 추출물의 색도는 NFC에 비해 FC 시료에서 높은 명도(L)와 적색도(a) 및 황색도(b)를 보였다. 카페인 함량은 NFC 1,130.22±1.55 ㎍/mL, FC 696.94±0.04 ㎍/mL로써 발효 후 약 38%의 카페인이 감소되었다. 폴리페놀 및 클로로겐산 함량은 NFC에서 각각 2.31±0.01 mg GAE/mL와 531.81±27.32 ㎍/mL, FC에서 각각 2.03±0.07 mg GAE/mL와 264.46±2.47 ㎍/mL로 발효에 따라 떫은맛 관련 성분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전자코 분석에서 NFC와 FC의 휘발성 향성분의 차이가 뚜렷함이 확인되었고, methylethyl formate, 2-methyl-1, 3-cyclopentadiene, 2-chloro-2-methylbutane, 2-methylbutanal 등의 휘발성 화합물이 발효 후 높은 강도로 감지되었다. 관능 평가에서는 NFC 추출물보다 FC 추출물의 aroma, body, aftertaste, overall에서 높은 관능 평점을 보여주었다(p<0.001). 이상의 결과에서 효소 및 미생물 복합제를 사용한 커피 생두의 발효는 유효 성분들의 변화를 일으켜 커피 원두의 로스팅 과정 중 Maillard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향미가 증가되고 카페인 함량이 감소된 인비트로 루왁 커피의 제조 가능성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