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estuary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2초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특성 및 환경요인과의 관계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Parameters in Naktong Estuary)

  • 권오섭;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6-261
    • /
    • 1988
  •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특성과 이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수역에 위치한 정점에서 분리한 세균군집이 담수역에서 분리한 군집보다 광염성 세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계에 분리한 군집이 동계군집에 비해 광온성세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수계의 세균군집은 육상에서 유입되는 비토착성세균에 의해 다양성이 커지며, 환경이 악화되면 세균군집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 PDF

낙동강 하구의 퇴적물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fer in Nakdong estuary)

  • 전용호;이인철;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61-166
    • /
    • 2004
  • Research for deposits in Nakdong eatuary that research about Nakdong eatuary's sediment flows out in Nakdong-kang so far had been progressed but research about deposits that is flowed in open sea is insufficient. Observed Nakdong eatuary's characteristic of sediment transfer through observation during the second during Buteo 20 days on February 6, 2004 in this research Resuspension bed load Flux appeared high the first result St.4 point and St.5 point. St.4 branch had much bed load amount that is flowed in the east, and bed load that St.5 branch is flowed in the south appeared much Tendency such as the first showed in the second result, but compare with the first result and St.5 branch had much bed load that is transfer in end. Bed load that is transfer in observation result Nakdong river was less. As this, can know that amount of sediment that is transfer in open sea more than deposits that is transfer in Nakdong river is much Is expected to exert effect that deposits that is transfer in open sea is high in Nakdong estuary's topography change. Specially, observation result is expected that Nakdong estuary's deposition tendency becomes Jinwoodo southern and Shinho southern.

  • PDF

낙동강 하구역 준설토 재활용을 위한 시멘트 혼합경량토의 압축강도 특성 연구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 Mixing Lightweight Soil For Recycling of Dredged Soil in Nakdong River Estuary)

  • 김윤태;김홍주;권용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5
    • /
    • 2006
  • In this research,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ement mixing lightweight soil (CMLS) for recycling of dredged soil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CMLS is composed of the dredged soil from Nakdong River estuary, cement, and air foam. For this purpose, uniaxial compression tests are carried out for artificially prepared specimens of CMLS, with various initial water contents, cement contents, and mixing ratio of dredged soil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MLS indicat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cement contents, rather than water contents and air foam. Compressive strength of CML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cement content, while it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water content and air foam cont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dulus of deformation E50 was in a range of 44 to 128 times greater than the value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cured in 28 days.

천해조가 발달된 하구에서의 조석파 전파특성 (Tidal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Estuary which shows Significant Shallow Tides)

  • 강주환;문승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6-60
    • /
    • 2001
  • 하구입구에서 형성된 조석비대칭 현상은 천해조의 성장에 따라 상류방향으로 갈수록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역에서의 유사이동 또는 오염확산 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경우 천해조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세힘한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수치실험을 통해 천해조의 발생 및 전파에 관한 제반 특성을 밝혀내는데 있으며, 특히 조간대가 조석파의 전파와 천해조 발생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하구의 지형학적 특성에 따른 조석파의 거동이 규명되면 향후 대규모 토목사업 시행시 천해조를 포함한 조석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른 유사 및 오염물질 이동에 관한 정성적인 분석과 더불어 해당해역에서의 조석에 관한 수치모형 설계에도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금강하구둑 건설 전${\cdot}$후의 흐름특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Tidal Flow Characteristics of Before and After Constructed Keum River Estuary Dike)

  • 신문섭;이동주;홍성근;김재형;박성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992-996
    • /
    • 2004
  • 천해역(shallow sea area)에서의 조류 형태(tidal flow regime)는 주로 만(bay)이나 해안선(shoreline)의 형태, 해저 지형(bottom topography), 수로(channel), 천퇴(sand bar)나 간석지(tidal flat) 등의 지형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복잡한 지형적 변화 및 천해특성에 기인된 조석(tide)의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는 금강하구(Keum River Estuary)를 하구둑(Estuary Dike) 건설 전${\cdot}$후(Before and After Constructed)의 수심(depth)변화 및 유속(current)변화를 수치실험(numerical experiments)으로 고찰했다.

  • PDF

낙동강 하구생태계의 환경변화에 따른 종속영양세균의 생리학적 특성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Naktong River Estuary)

  • 권오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3-198
    • /
    • 1992
  • 낙동강 하구언 건설에 따른 하구생태계의 변화를 파알하기 위하여 축조 전후의 환경인자와 종속 영양세균의 생리적 특성을 요인분석에 의해 비교하였다. 하구언 축조 후 해수유입의 영향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축조 전 50.7% 를 차지하던 영양물질의 과다와 관련된 환경변수가 축조후 77.1%로 증가하였다.하구언 축조 전 환경변수와 종속영양세균의 생리적 특성 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축조 후에도 종속영양세균의 생리적 특성이 영양물질의 과다와 관련된 형질로 대부분 해석되어 환경변화와 분포 미생물의 생리적 특성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하구언 축조에 따른 해수유입의 차단에도 불구하고 분리균주의 생리적 특성에 의한 요인분석의 3번째 쥬요인이 호염성 형질로 해석되어 작동강 하구의 환경변화에 따른 종속영양세균의 형질이 아직 완전 안정화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입자수치모의를 통한 낙동강 하구 해안부유쓰레기 거동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 Model)

  • 유창일;윤한삼;김규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14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장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해안부유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제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자수치모의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 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sim}40%$ 범위를 유지하였다.

  • PDF

부산 신항-낙동강 하구역 연결잔교부의 물질수송 해석(II) - 잔교주변 해저수심변화에 따른 해수소통량 예측 - (Estimation of Sea Water Transport by Water-depth Variation at Pier-bridge between Busan New-port and the Nakdong River Estuary)

  • 이영복;류승우;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7-203
    • /
    • 2008
  • 부산 신항과 낙동강 하구역의 접점인 연결잔교를 통해 소통되는 해수수송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대상해역의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연결잔교 주변의 해저수심변화를 가지는 3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각 시나리오별 연결잔교부를 통한 해수소통 변화를 예측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항만 지역에 항내매몰로 수심이 저감된 경우(수심 10 m 가정)에는 약 $0.7{\sim}18.4%$ 해수소통량이 저감되었다. 2) 해수소통을 위해 낙동강 하구역 지역에 수로준설(수심 5 m 가정)을 할 경우 약 $3.5{\sim}21.9%$의 해수소통량이 증가하였다.

  • PDF

영암-금호방조제 방류에 의한 해역의 수리적 특성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Sea Area due to the Discharge through Yongam-Kumho Sea Dike)

  • 김강민;김상훈;유하상;정대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925-931
    • /
    • 2004
  • 목포항 인접해역은 영산강 하구둑과 영암-금호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영산강 하구둑과 영암-금호방조제 방류에 의한 영향은 조류속 변화와 퇴적특성 변화와 같은 환경적 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암-금호방조제, 영산강 하구둑 방류현황을 수집${\cdot}$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존의 수치모형실험에서 간과되어 온 방류와 관련된 각종 실험계수를 재조정하여 수치모의론 수행하여 인근 해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영암-금호방조제에서의 방류량에 따른 조류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퇴적특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조류 순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문창호;최혜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4-154
    • /
    • 1991
  • 낙동강 하구독 건설 후 하구역의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하여 19894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하구독 건설 후 장림천의 영향을 직접받는 하구둑 바로 아래지역은 둑 건설전에 비하여 용존산소가 낮아지고 암모니아 및 인산염의 농도 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독 건설 후 낙동강의 유입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어 물의 정체현 상이 일어나고 이곳에 장님천을 통하여 많은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가 유입 되었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 질산염과 규산염 농도는 염분과 높은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어 이들 의 주요 공급원은 낙동강 유입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춘계에는 하 구둑 상류지역에서 Asterionella sp.가, 하계에는 하구에서 Skeletomema costatum의 bloom이 있었으며 둑 건설 전에 비하여 녹조류 및 남조류가 증가하였다. 특히 하구둑 상부지역의 높은 엽록소 b의 농도는 이곳의 담수 녹조류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중 요종의 상당한 부분이 오염지표종이었다. 하구독 건설 후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