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s in cooking proces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46초

가열처리방법에 따른 쇠고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Beef Loin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양종범;이경혜;최성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8-375
    • /
    • 2012
  • 쇠고기 등심을 섭취할 때에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가열처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쇠고기 등심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처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처리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및 탈콜레스테롤양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탈유량은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시료의 pH는 찌기 처리구에서,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는 삶기 처리구에서 그리고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시료의 경도, 점착성 및 저작성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는데, 경도는 찌기 처리구에서 점착성과 저작성은 튀기기 처 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탄력성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응집성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다. CIE $L^*$ 값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증가하였는데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CIE $a^*$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는데 삶기와 찌기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CIE $b^*$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튀기기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므로 쇠고기 등심을 섭취할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이기 위한 가열처리 방법은 삶기가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지만 기호적인 가치 등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솔잎착즙액을 첨가한 설기떡의 가열조리에 따른 항산화 및 항유전독성 효능 검증 (Changes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s After the Cooking Process of Sulgidduk Containing Pine Needle Juice)

  • 이현정;김소윤;박재희;김래영;정현숙;박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53-462
    • /
    • 2013
  • Recently, two formulas of sulgidduk added to pine needle juice (PNJ) with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developed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in our lab.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ooking may alter antioxidant properties by initiating destruction, release or transform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contained in foo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genotixic effects of sulgidduk with/without PNJ and to note changes in these activities after cooking. The ingredients of sulgidduk was added on the basis of 100% rice flour as follows: conventional sulgidduk (S): 1.5% salt, 30.0% sugar; PNJ added to sulgidduk A (PS-A): 1.4% salt, 30.0% sugar, and 1.0% PNJ; PNJ added to sulgidduk B (PS-B): 1.5% salt, 21.4% sugar, and 1.4% PNJ.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sulgidduk were analyzed for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SA),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antigenotoxic effect by comet assay. The ethanol extracts PS-A and PS-B showed higher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SA, TRAP, and ORAC) than did the S ethanol extract before cooking. The more PNJ was added, the higher TPC and anitoxidant activities were observed in sulgidduk (PS-A$200{\mu}M$ of $H_2O_2$.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sulgidduk added to 1.44% of pine needle juice may be a good option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source.

Kinetic Data for Texture Changes of Foods During Thermal Processing

  • Lee, Seung Hwan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03-311
    • /
    • 2017
  • To automate cooking processes, quantitative descriptions are needed on how quality parameters, such as texture change during heating. Understanding mechanical property changes in foods during thermal treatment due to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r physical structure is important in the context of engineering models and in precise control of quality in general. Texture degradation of food materials has been studied widely and softening kinetic parameters have been reported in many studi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kinetic parameters, applied kinetic models were investigated, then rate constants at $100^{\circ}C$ and activation energy from previous kinetic studies were compared. The food materials are hardly classified into similar softening kinetics. The range of parameters is wide regardless of food types due to the complexity of food material, different testing methods, sample size, and geometry. Kinetic parameters are essential for optimal process design. For broad and reliable applications, kinetic parameters should be generated by a more consistent manner so that those of foods could be compared or grouped.

식품 데이터 정규화를 위한 쌀 음식의 건물중 기반 영양 편차 고찰 (A Study on Dry Weight-Based Nutritional Deviations in Rice Foods for Normalization of Food Data)

  • 김상철;이운용;박우풍;윤기오;김종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7호
    • /
    • pp.76-84
    • /
    • 2022
  •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고, 식품명이나 음식명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중량에서 식품의 영양성분이 편차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 원인은 조리 방법과 조리 공정에 따른 음식의 수분함량과 깊은 관계가 있다. 개인의 건강 맞춤형 식단을 설계하고, 정확한 열량과 양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조리 공정이나 조리 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음식 데이터의 표시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동일한 식자재나 식품이 함수율의 차이로 인해 다른 식자재나 식품으로 분류됨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복잡성과 활용측면의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건물중(乾物重) 기반의 식품 데이터 표시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식품재료로서 쌀의 특징과 쌀을 재료로 한 다양한 쌀 가공 식품의 물성에 대하여 수분의 변화에 따른 주요 영양성분의 변화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식품 데이터를 정규화 하기 위한 예시로서 쌀의 건물중 기반 영양 표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재료로 가공된 32종의 쌀 가공 식품 데이터는 수분 분포에 있어 1.1~95%, 에너지량은 20~415kcal, 단백질은 0.3~9.1g, 지질은 0.1~3.9g, 탄수화물은 4.4~91.0g의 범위로 매우 넓은 영역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수분영향을 제거하고 고형물로 환산한 쌀가공 식품의 100g 당 영양성분은 에너지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376.9~421.1kcal, 단백질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4.3~12.6g, 지질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0.1~4.1g, 탄수화물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80.5~95.1g 로 나타났다. 수분 중량을 포함한 음식의 영양성분 데이터에 비해 최대값과 최소값, 데이터의 표준편차가 90%이상 감소하고, 정규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hanges in free amino acid content and hardness of beef while dry-aging with Mucor flavus

  • Hanagasaki, Takashi;Asato, Naokaz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7호
    • /
    • pp.19.1-19.10
    • /
    • 2018
  • Background: A mold strain thought to be suitable for dry-aging process was isola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cientific aspects of molds related to dry-aging beef is scarce. We, therefore, conducted aging trial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mold strain associated with dry-aging process. Specifically, during the dry-aging of beef with the mold strain, the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 content, hardness, productive loss, drip and cooking loss were analyzed.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hile dry-aging in the absence of a mold. Results: The isolated mold strain was identified as Mucor flavus. The free amino acid content in the mold-aging beef decreased or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aging process. However, that in the trimming sections of the beef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mold. In addition, hardness of mold-aging beef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aging process and finally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Amino acids such as GABA (gamma-aminobutyric acid), proline, and aspartic acid were produced by our mold strain, M. flavus during its growth on beef meat, and the mold conferred savory odors to the dry-aged beef.

Optimization of Process Variables for the Soda Pulping of Carpolobia Lutea (Polygalaceae) G. Don

  • Ogunsile, B.O.;Uba, F.I.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57-263
    • /
    • 2012
  • The selection of suitable delignification conditions and optimization of process variables is crucial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hemical pulping processes. Soda pulping of Carpolobia lutea was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pulp and paper production. The process was optim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ree operational variables, namely,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of cooking liquor. Equations derived using a second - order polynomial design predicted the pulp yield and lignin dissolution with errors less than 8% and 11% respectively. The maximum variations in the pulp yield using a second order factorial design was caused by changes in both time and alkali concentration. Optimum pulp yield of 43.87% was obtained at low values of the process variables. The selectivity of lignin dissolution was independ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allowing quantitative estimations to be established between the pulp yield and residual lignin content within the range studied.

과열수증기와 고압 처리를 이용한 불고기의 품질개선 (The quality improvement of Bulgogi using superheated steam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 김은미;서상희;최윤상;전기홍;이은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93-599
    • /
    • 2017
  • 본 연구는 불고기에 SHS와 HPP 기술을 적용하여 냉장온도(5,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SHS 조리가 일반조리에 비해 다즙성과 조직감(연한 정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조직감 측정결과와 같은 경향으로 SHS 조리가 일반조리에 비해 조직이 연해져 부드러운 조직감을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균수의 증가폭도 일반 조리구에 비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방 산패도 값인 TBA 또한 SHS-HHP병행 처리군이 일반 조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식육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VBN 은 간장 양념으로 인해 높은 값을 보여 본 연구의 특성상 VBN 함량만으로 신선도 정도를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기존의 불고기 제품에 SHS 기술과 HPP 기술의 적용으로 제품의 품질향상을 통한 조직감 상승과 유통기간 연장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숭늉의 향미성분(香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1. 취반시(炊飯時) 온도에 따라 생성(生成)되는 누른밥의 성분변화(成分變化)에 대(對)하여 (Studies on Soong-Neung Flavor I.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Soong-Neung producing rice during cooking process)

  • 남주형;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83-187
    • /
    • 1973
  • 우리나라 고유음료(固有飮料)인 숭늉의 향미성분(香味成分)에 관(關)한 일련의 연구 중(硏究 中), 취반시(炊飯時) 온도($(20{\sim}220^{\circ}C)$)에 따라 생성 되는 누른밥의 성분변화(成分變化)와 최적끽미(最適喫味) 구간(區間)을 검토하기 위(爲)하여, 밥알의 열분석(熱分析), 누른밥의 주요성분(主要成分) 즉, 총질소, 총당, 환원당, 수용성 질소, 총산, carbonyl 화합물, phenol 화합물 등의 변화를 살폈고, 아울러 증류액의 UV 흡광(吸光)특성 및 관능검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열분석(熱分析)에서 이차(二次) 수분증발에 의한 흡열(吸熱)과 중량감소(重量減少)현상이 $130^{\circ}C$부근에서 나타났고, 각 주요성분(主要成分)의 변화도 이때부터 서서히 변화 하였으며, 특히 $160^{\circ}C$부터 서서히 변화 하였으며, 특히 $160^{\circ}C$부터 휘발성 성분의 생성이 급증(急增)되었다. 생성(生成)된 휘발성 성분은 $273m{\mu}$부근에서 ${\lambda}max$를 갖는 화합물로 추정(推定)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생성량이 많아졌다. 최적끽미(最適喫味) 구간(區間)은 $125{\sim}155^{\circ}C$에서 만들어진 누른밥이었으며 이는 2차흡열반응(2次吸熱反應)이 있는 $130^{\circ}C$부근부터 휘발성 성분이 급증하는 $160^{\circ}C$사이였다.

  • PDF

도정 및 품종혼합에 의한 고아미2호의 취반특성 (Improvement of Cooking Properties by Milling and Blending in Rice Cultivar Goami2)

  • 천아름;송진;홍하철;손종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88-93
    • /
    • 2005
  • 난소화성 다당류의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의 취반특성 개선 및 식미 향상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취반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고아미2호는 가루로 1차 호화시킨 후에도 미세전분입자는 호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취반방법으로는 식미개선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정에 의해서 색, 물성 및 호화특성의 변화를 살펴 보았으나 명도와 백도 이외에는 도정율에 따른 유의한 특성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온수분흡수특성을 통해 고아미2호 최소 1시간 이상의 수침시간을 필요로 하며 관능평가를 통해 이 경우 식미가 더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품종별 호화 및 취반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고아미2호의 호화개시온도가 $88^{\circ}C$로 매우 높고 일반 밥솥에서 취반할 경우 수분흡수율과 팽창용적이 적은 것으로 보아 취반 방법에 있어서 고온고압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다른 품종과의 혼합을 통한 식미 혹은 물성 개선을 위해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일품벼, 백진주, 화선찰벼를 비교한 결과 호화가 늦고 경도가 낮으며 노화특성이 양호한 백진주, 화선찰벼가 일품벼에 비해 더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관능 평가를 통해 두 품종이 일품벼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the muscle nanostructure changes during post-mortem aging on tenderness of different beef breeds

  • Soji, Zimkhith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1호
    • /
    • pp.1849-1858
    • /
    • 2021
  • Objective: Tenderness is a very complex feature, and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is very complicated and not fully understood. Its diversif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of beef production, as a result beef aging is widely used to improve tenderness as it is believed to provide a homogeneous product to consumers. While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muscle structure properties in relation to tenderness from early post-mortem, there little to no information available on how the muscle nanostructure of beef carcasses changes during post-mortem ageing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aging time for acceptable tenderness. Methods: Muscle nanostructure (myofibril diameter [MYD], myofibril spacing [MYS], muscle fibre diameter [MFD], muscle fibre spacing [MFS], and sarcomere length [SL]), meat tenderness and cooking loss [CL]) were measured on 20 A2 longissimus muscles of Bonsmara, Beefmaster, Hereford, and Simbra at 45mins, 1, 3, and 7 days post-slaughter. Muscle nanostructure was measur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hile tenderness was measured using Warner Bratzler shear force. Results: At 45 minutes post-slaughter, breed affected MYD and MYS only, while at 24hrs it also affected MFD and MFS. On day 3 breed effected MFS and SL, while on day 7 breed effected tenderness only. As the muscles matured, both MYD and MYS decreased while CL increased, and the muscles became tender. There was no uniformity on muscle texture features (surface structure, fibre separation,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throughout the ageing period. Conclusion: Meat tenderness can be directly linked to breed related myofibril structure changes during aging in particular the MYD, spacing between myofibrils and their interaction; while the MFD, spacing between muscle fibres, SL, and CL explain the non-uniformity in beef tender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