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phone dependenc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전환기 청소년의 개인특성, 또래애착 및 부모양육행동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a Youth's Personal Characteristics during a Transition Period,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Cell Phone Dependence)

  • 이예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519-528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how the main variables of youth go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parents' nurturing behavior, the youth's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the peer group relationships) affect the youth's school adjustment. It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theses variables on the youth'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ich are considered a necessity in modern society. This research is verified by using a structure model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rst, 1st-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show bette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fe and les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en they have a stronger sense of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further, it is revealed that cell phone dependence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school life of these children. Second, they tend to show bette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fe and les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en their parents' nurturing behaviors are more positive. Third, these children tend to depend more on cell phones when they have a positive peer group relationship, Moreover, cell phone dependence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school life.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cell phone to youth in modern society, need to prepare proper training program for correct uses and preventing from addiction.

Smartphone Use Patterns of Smartphone-dependent Children

  • Park, Jeong Hye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47-5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martphone use patterns of smartphone-dependent childre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2017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study sample was 59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fied as being smartphone-depend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he independent t-test, the x2 tes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requency of smartphone use was the factor strongly associated with more severe smartphone dependence in participants. Game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pplication type among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degree of dependence. More severe smartphone dependence was associated with greater use of applications such as learning and television/video. Conclusion: As smartphone dependence becomes more severe, children tend to use their smartphones more frequently and to use applications that involve solitary play for the purposes of entertainment and pleas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ents should attentively monitor their children's smartphone use patterns and provide consistent discipline in a way that ensures appropriate smartphone use.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among Smartphone-Dependent Adults in Their 20s)

  • 박정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66-37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879명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메신저였고, 의존이 심각한 고위험군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 음악, 게임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의존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사용빈도가 매우 잦아지고(β=.16, p=.000), 게임(β=.10, p=.028), 웹툰(β=.14, p=.004), SNS(β=.09, p=.047), 금융거래(β=.17, p=.000) 애플리케이션 사용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대상자들은 의존도가 비교적 낮을 때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해 거의 인식하지 못하였고, 의존이 더욱 심각해진 후 자신이 다른 사람에 비해 좀 더 스마트폰에 의존한다고 인식하였다. 이것은 성인이 스스로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을 인식하기가 쉽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인이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첫 단계는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다. 모든 스마트폰에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행태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베이지안 다변량 선형 모형을 이용한 청소년 패널 데이터 분석 (KCYP data analysis using Bayesian multivariate linear model)

  • 이인선;이근백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6호
    • /
    • pp.703-724
    • /
    • 2022
  • 다변량 경시적 자료 분석은 반복 측정된 자료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올바르게 추정하면서 자료를 분석해야 한다. 경시적 연구에서는 다변량 경시적 자료가 주로 생성되지만, 기존 통계적 모형은 대부분 단변량으로 분석되어 다변량 경시적 자료에 존재하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분산 행렬을 모형화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그 중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 수정된 콜레스키 블록분해와 초구분해를 살펴본다. 그리고 일반화 자기회귀모수 행렬이 가지는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하여 청소년 패널 데이터를 분석한다. 청소년 패널 데이터는 다변량 경시적 자료이며, 반응 변수로는 학교 적응도, 학업 성취도, 휴대전화 의존도를 고려한다. 자기 상관 구조와 혁신 표준 편차 구조를 달리 가정하여 여러 모형을 비교한다. 가장 적합한 모형에 대해 학교 적응도와 학업 성취도에 대해 모든 설명 변수가 유의미하며, 휴대전화 의존도가 반응 변수일 때 사교육 시간을 제외한 모든 설명 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