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loss rate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7초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어린 시기의 성장 및 체성분 조성에 미치는 미역첨가 사료의 생리적 효과 (Physiological Effects of Seamustard Supplement Diet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Young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영호;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9-82
    • /
    • 1994
  • 해조류를 첨가한 사료가 조피볼락의 어린 시기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2.99{\pm}0.23\;cm$, 체중 $1.03{\pm}0.18\;g$의 인공종묘에게 미역분말을 각각 $3\%,\;5\%,\;7\%$ 첨가한 사료와 비첨가 사료를 주면서 140일간 사육하여 전장$18.52{\pm}1.07\;cm$, 체중 $120.64{\pm}19.32\;g$이 될 때까지의 어체 성장, 생존율, 체조성, 혈액조성을 서로 비교하고, 저산소 및 기아 내성에 관한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1. 전장과 체중의 성장은 $5\%$의 미역 첨가시 가장 좋았으며, $3\%,\;7\%$, 대조구인 $0\%$ 순이었다. 2. 실험구별 사료효율은 $3\%,\;5\%,\;7\%,\;0\%$구의 순으로 높았으며, 생존율은 $7\%,\;5\%,\;3\%,\;0\%$구 순이었다. 3. 사육종료시의 체조성에 있어 등 근육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실험구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내장의 조지방 함량은 미역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다. 4. 미역 첨가구는 $0\%$구 보다 헤마토크릿트값이 크고, 평균적혈구수도 많았다. 5. 실험종료시 사료별 어체의 저산소내성은 미역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강했다. 6. 사육실험 종료후 31일간의 기아 실험에서 미역 첨가구의 어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적게 감소하였다. 7. 조피볼락 양식에서 사료에 미역을 첨가해 줄 경우, 그 비율은 $5\%$가 가장 적합하며 어체의 생리조건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지연된 의도적 재식술을 통한 치주 조직 재생 방법의 고찰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new approach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background)

  • 김유경;김동주;이은웅;임현창;이중석;정의원;윤정호;김의성;이승종;최성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7호
    • /
    • pp.485-499
    • /
    • 2015
  • Purpose: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was introduced as a new alternative to treat the teeth with severe periodontal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and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s. Materials and Methods: Studies were performed into the following two subjects; (1)Clinical evaluation of patients who underwent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using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Severe periodontitis involved teeth were carefully extracted and proper time for delayed replantation was evaluated by analyzing inflammation markers (IL-6, TNF-${\alpha}$). (2) Theoretical studies for efficacy of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using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for preserv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on root surface by minimizing inflamma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extraction sockets. Results: Meaningful success ratio and survival rate were found in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showing reduced bone loss and maintained bone level. Additionally, viability of EGCG applie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much higher than control group. Also, EGCG promoted healing of inflammatory extraction sockets by inhibiting inflammatory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1-2 weeks after extraction is an appropriate time to do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Also, EGCG provides helpful effects on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periodontium.

Tumor-like Presentation of Tubercular Brain Abscess: Case Report

  • Karki, Dan B.;Gurung, Ghanashyam;Sharma, Mohan R.;Shrestha, Ram K.;Sayami, Gita;Sedain, Gopal;Shrestha, Amina;Ghimire, Ram 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4호
    • /
    • pp.231-236
    • /
    • 2015
  • A 17-year-old girl presented with complaints of headache and decreasing vision of one month's duration, without any history of fever, weight loss, or any evidence of an immuno-compromised state. Her neurological examination was normal, except for papilledema. Laboratory investigations were within normal limits, except for a slightly increase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Non-contrast computerized tomography of her head revealed complex mass in left frontal lobe with a concentric, slightly hyperdense, thickened wall, and moderate perilesional edema with mass effect. Differential diagnoses considered in this case were pilocytic astrocytoma, metastasis and absces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btained in 3.0 Tesla (3.0T) scanner revealed a lobulated outline cystic mass in the left frontal lobe with two concentric layers of T2 hypointense wall, with T2 hyperintensity between the concentric ring. Moderate perilesional edema and mass effect were seen. Post gadolinium study showed a markedly enhancing irregular wall with some enhancing nodular solid component. No restricted diffusion was seen in this mass in diffusion weighted imaging (DWI).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showed increased lactate and lipid peaks in the central part of this mass, although some areas at the wall and perilesional T2 hyperintensity showed an increased choline peak without significant decrease in N-acetylaspartate (NAA) level. Arterial spin labelling (ASL) and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 (DSC) enhanced perfusion study showed decrease in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at this region. These features in MRI were suggestive of brain abscess. The patient underwent craniotomy with excision of a grayish nodular lesion. Abundant acid fast bacilli (AFB) in acid fast staining, and epithelioid cell granulomas, caseation necrosis and Langhans giant cells in histopathology, were conclusive of tubercular abscess. Tubercular brain abscess is a rare manifestation that simulates malignancy and cause diagnostic dilemma. MRI along with MRS and magnetic resonance perfusion studies, are powerful tools to differentiate lesions in such equivocal cases.

인공 진피(알로덤®)을 이용한 하지의 골이 노출된 연부 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s in Lower Extremities using Artificial dermis(AlloDerm®))

  • 전만경;장영철;고장휴;서동국;이종욱;최재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78-582
    • /
    • 2009
  • Purpose: In extensive deep burn of the lower limb, due to less amount of soft tissue, bone is easily exposed. When it happens, natural healing or reconstruction with skin graft only is not easy. Local flap is difficult to success, because adjacent skins are burnt or skin grafted tissues. Muscle flap or free flap are also limited and has high failure rate due to deep tissue damage. The authors acquired good outcome by performing one - stage operation on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 with AlloDerm$^{(R)}$(LifeCell, USA), an acellular dermal matrix producted from cadaveric skin. Methods: We studied 14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 patients from March 2002 to March 2009. Average age, sex, cause of burn, location of wound, duration of admission perio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tudied. We removed bony cortex with burring, until conforming pinpoint bone bleeding. Then rehydrated AlloDerm$^{(R)}$(25 / 1000 inches, meshed type) was applicated on wound, and thin split thickness(6 ~ 8 / 1000 inches) skin graft was done at the immediately same operative time. Results: Average age of patients was 53.6 years(25 years ~ 80 years, SD = 16.8), and 13 patients were male(male : female = 13 : 1). Flame burn was the largest number. (Flame burn 6, electric burn 3, contact burn 4, and scalding burn 1). Tibia(8) was the most affected site. (tibia 8, toe 4, malleolus 1, and metatarsal bone 1). Thin STSC with AlloDerm$^{(R)}$ took without additional surgery in 12 of 14 patients. Partial graft loss was shown on four cases. Two cases were small in size under $1{\times}1cm$, easily healed with simple dressing, and other two cases needed additional surgery. But in case of additional surgery, granulation tissue has easily formed, and simple patch graft on AlloDerm$^{(R)}$ was enough. Average duration of admission period of patients without additional surgery was 15 days(13 ~ 19 days). Conclusion: AlloDerm$^{(R)}$ and thin split thickness skin graft give us an advantage in short surgery time and less limitations in donor site than flap surgery. Postoperative scar is less than in conventional skin graft because of more firm restoration of dermal structure with AlloDerm$^{(R)}$. We propose that AlloDerm$^{(R)}$ and thin split thickness skin graft could be a solution to bone exposured soft tissue defects in extensive deep burned patients on lower extremities, especially when adjacent tissue cannot be used for flap due to extensive burn.

Spirulina platensis NIES 39를 이용한 LED 광생물반응기에서의 이산화탄소 고정화와 광원 효과 (Carbon Dioxide Fixation and Light Source Effects of Spirulina platensis NIES 39 for LED Photobioreactor Design)

  • 김지윤;주현;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301-307
    • /
    • 2011
  • Spirulina platensis NIES 39의 최적 배양 조건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광원에 따른 균체의 생장양상을 확인하여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형광등 및 LED 광생물반응기를 개발하여 균체농도 증가, 이산화탄소 고정화속도 및 효율, 클로로필 생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양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속은 명 조건에서 약 4 h 주기로 10 min간 5% $CO_2$, 0.1 vvm임이 확인되었다. 내부조사형 형광등 광원 및 저전력형 SMD 타입 적색광 LED 광생물반응기는 최대 배양 건조 균체량이 1.411 g/L를 넘지 못하였지만, 조도를 높인 파워형 적색광 LED (색온도 12000 K)에서는 최대 건조 균체량이 1.758 g/L가 되었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 고정화 속도 및 효율 또한 증가되었다. 총 클로로필 생산량은 균체량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건조균체질량당 생산량은 청색광 LED조건(색온도 7500 K)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최대 균체생장조건(DCW)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는 주입량(5% $CO_2/Air$, v/v) 대비 유실률은 0.15% 이내로 확인되었다.

A 2×2 MIMO Spatial Multiplexing 5G Signal Reception in a 500 km/h High-Speed Vehicle using an Augmented Channel Matrix Generated by a Delay and Doppler Profiler

  • Suguru Kuniyoshi;Rie Saotome;Shiho Oshiro;Tomohisa Wad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0호
    • /
    • pp.1-10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xtend Inter-Carrier Interference (ICI) cancel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receivers for 5G mobile systems to spatial multiplexing 2×2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s to support high-speed ground transportation services by linear motor cars traveling at 500 km/h. In Japan, linear-motor high-speed ground transportation service is scheduled to begin in 2027. To expand the coverage area of base stations, 5G mobile systems in high-speed moving trains will have multiple base station antennas transmitting the same downlink (DL) signal, forming an expanded cell size along the train rails. 5G terminals in a fast-moving train can cause the forward and backward antenna signals to be Doppler-shift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e receiver in the train may have trouble estimating the exact channel transfer function (CTF) for demodulation. A receiver in such high-speed train sees the transmission channel which is composed of multiple Doppler-shifted propagation paths. Then, a loss of sub-carrier orthogonality due to Doppler-spread channels causes ICI. The ICI Canceller is realized by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us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ymbol (DMRS) pilot signals, it analyzes three parameters such as attenuation, relative delay, and Doppler-shift of each multi-path component. Secondly, based on the sets of three parameters, Channel Transfer Function (CTF) of sender sub-carrier number n to receiver sub-carrier number l is generated. In case of n≠l, the CTF corresponds to ICI factor. Thirdly, since ICI factor is obtained, by applying ICI reverse operation by Multi-Tap Equalizer, ICI canceling can be realized. ICI canceling performance has been simulated assuming severe channel condition such as 500 km/h, 8 path reverse Doppler Shift for QPSK, 16QAM, 64QAM and 256QAM modulations. In particular, 2×2MIMO QPSK and 16QAM modulation schemes, BER (Bit Error Rate) improvement was observed when the number of taps in the multi-tap equalizer was set to 31 or more taps, at a moving speed of 500 km/h and in an 8-pass reverse doppler shift environment.

원발성 폐암에 대한 기관지 소매 절제술의 성적 (Results of Bronchial Sleeve Resection for Primary Lung Cancer)

  • 김대현;윤효철;김수철;김범식;조규석;곽영태;황은구;김동원;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37-44
    • /
    • 2007
  • 배경: 원발성 폐암에 대한 기관지 소매 폐엽절제술 후의 장기 생존율은 전폐절제술 후의 장기 생존율과 비교해 최소한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고, 충분한 폐기능을 가진 환자에서도 종양의 위치가 적절하면 기관지 소매 폐엽절제술이 시행되고 있다. 소매 전폐절제술은 종양이 기관분기부를 침범하거나 기관분기부에 가깝게 위치한 경우에 시행된다. 저자들은 원발성 폐암에 대해 본원에서 시행한 기관지 소매 절제술의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5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경희대학교 흉부외과학교실에서 한 명의 흥부외과 의사에 의해 원발성 폐암으로 소매 폐엽절제술 또는 소매 전페절제술을 시행 받은 4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추적일은 2005년 4월 5일이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yer방법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log-rank test로 검정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60세였고, 남녀 비는 44:1이었다.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이 39명, 선암이 4명, 기타 2명이었고, 수술은 폐엽절제술이 40명, 소매 전폐절제술이 5명이었다. 병기 I이 14명, II가 14명, III가 17명이었으며, N0 23명, N1 13명, N2 9명이었다. 3명의 수술 사망자가 있었으며, 모두 호흡기계 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초기 합병증은 폐렴 4명, 무기폐 8명, 7일 이상의 공기 누출 6명, 심방 세동 4명이었다. 19명에서 종양이 재발하였다. 국소 재발이 10명이었고, 원격 전이는 9명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10년 생존율은 54.2%, 42.5%였다. 병기에 따른 5년, 10년 생존율은 병기 I 83.9%, 67.1%, II 55%, 47.1%, III 33.3%, 25%였으며, 병기 I과 III간에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림프절 침범에 따른 5년, 10년 생존율은 N0 63.9%, 54.6%, N1 53.8%, 46.5%, N2 28.5%, 14.2%였으며, N0와 N2간에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원발성 폐암에 대한 소매 폐엽절제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고 장기 생존율이 양호하므로 종양의 위치가 수술에 적절하고 완전 절제가 가능한 경우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원발성 폐암에 대한 소매 전폐절제술은 수술 사망률이 다소 높지만 종양의 근치적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Phenanthrene의 생물학적 처리 (Enhanced Bioremediation of Phenanthrene Using Biosurfactant)

  • 신경희;김경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75-38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생물계면활성제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용액의 pH 변화가 phenanthrene의 용해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수용액 시스템에서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PAHs-분해균주가 phenanthrene을 분해할 경우 이러한 용해도의 변화가 분해균주의 활성과 전체 분해율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rhamnolipid와 비이온계 합성계면활성제 tween 80의 phenanthrene에 대한 solubilization capacity를 조사하기 위한 회분식 실험의 결과 MSR (Molar Solubilization Ratio)은 각각 0.0425와 0.1449로 나타났으며, 생물계면활성제 첨가로 인한 phenanthrene olubilization 기작이 평형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은 24시간 정도로 나타났다. 임계마이셀 농도의 약 4.3배에 해당하는 240ppm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증류수만을 첨가하였을 경우 용해도보다 약 9배 이상 phenanthrene의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생물계면활성제의 pH 변화가 phenanthrene solubility에 주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 pH는 240ppm과 2000ppm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모두 pH 범위 4.5-5.5로 나타났다. 이는 rhamnolipid의 친수성 부분의 음전하 세기가 pH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생물계면 활성제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pH의 변화가 phenanthrene 분해균주인 CRE7의 생장률과 분해능에 주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최대 비성장률은 pH 6에서 나타났지만, pH 5-7 범위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러한 비성장률의 차이가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높은 비성장률은 결과적으로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졌다.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결과에 비교해 볼 때, pH 4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비성장률이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 분해율도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생물계면활성제의 첨가로 인해 pH 5에서의 비성장률은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약 1.5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생물계면활성제가 phenanthrene의 용해도를 pH 5에서 약 5배이상 증가시킨 것과 비교하여 볼 때, 그 증가폭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계면활성제의 첨가로 인해 마이셀 구조안으로 용해되어진 phenanthrene 의 경우 분해균주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분해되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주며, pH에 따라 나타나는 서로 다른 구조의 phenanthrene-rhamnolipid의 집합체는 생물학적 이용도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콜레스테롤이 동결-해동 후 인간정자의 생존과 기능보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olesterol Supplementation in Freezing Medium on the Survival and Integrity of Human Sperm after Cryopreservation)

  • 임정진;성수예;김계성;송승훈;이우식;윤태기;이동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3호
    • /
    • pp.203-212
    • /
    • 2008
  • 목 적: 정자의 동결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급격한 온도 차에 의한 동결 충격이나 동결 상해등에 의한 세포막의 손상, 세포의 기능 장애 등은 정자의 수정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정자를 동결 보존하는 과정에서 콜레스테롤 전처리가 정자의 운동성 및 기능보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원을 내원한 14명 남성의 정자를 대상으로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과 여러 농도의 콜레스테롤을 동결보존액에 첨가한 실험군에서 정자의 동결-융해 후 상태를 다음 3가지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1) 정자 분석, 2) calcium ionophore로 유도된 첨체 반응 검사, 3) 정자 염색질 구조 분석 (sperm chromatin structure assay). 결 과: 첫째로 인간 정자의 운동성은 $0.5{\mu}g$ 농도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동결보존액에서 동결-해동하였을 경우,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3.46{\pm}1.48%$ vs. $30.10{\pm}1.07%$, p<0.05). 다음으로 동된 정자의 첨체 반응 검사에서도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동결보존액에서의 첨체 반응이 일어나는 정자의 비율이 첨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53.60{\pm}1.60%$ vs. $47.40{\pm}1.86%$, p<0.05). 마지막으로 정자 염색질 구조 분석에서는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군이 첨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정자의 DNA손상이 적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실험은 동결보존액을 통한 정자 원형질막 내 콜레스테롤 함유량의 증가가 동결-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과 수정능(capacitation status)을 증가시키고 DNA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동결보존액 내 콜레스테롤의 첨가는 인간 정자의 동결보존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동결 상해를 줄여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진피 추출물에 의한 인간유방암 MDA-MB-231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서 ROS 및 AMPK의 역할 (Relationship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in Apoptosis Induction of Human Breast Adenocarcinoma MDA-MB-231 Cells by Ethanol Extract of Citrus unshiu Peel)

  • 김민영;황보현;지선영;홍수현;최성현;김성옥;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0-420
    • /
    • 2019
  • 한의학에서는 진피(陳皮)라고 칭하는 귤의 껍질(Citrus unshiu peel)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그들의 항암 활성에 대한 가능성이 보고되었지만 정확한 기전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유방암 MDA-MB-231 세포를 대상으로 진피 에탄올(EECU, ethanol extract of C. unshiu peel) 추출물의 항암 효능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기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EECU에 의한 MDA-MB-231 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사멸(apoptosis) 유도와 관련이 있었다. EECU에 의한 apoptosis는 caspase-8, -9 및 -3의 활성화와 IAPs 계열의 발현 감소에 따른 PARP의 분해와 Bax : Bcl-2 비율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또한 EECU는 Bid의 truncation과 함께 미토콘드리아 막 잠재력의 감소와 세포질로 cytochrome c의 이동을 촉진시켰다. 아울러 EECU는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촉진시켰으나, AMPK 효소 활성의 저해제는 EECU에 의한 apoptosis 유도와 생존력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부가적으로 EECU는 AMPK 활성화의 상류 신호로 작용하는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강력한 항산화제인 NAC는 EECU에 의한 AMPK의 활성화와 apoptosis를 역전시켰다. 결론적으로 EECU는 ROS/AMPK 의존적인 내인성 및 외인성 apoptosis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MDA-MB-231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