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growth yield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36초

2,3-Dihydroxybiphenyl Dioxygenase 생산을 위한 E. coli CK1092의 배양조건 (Culture Conditions of E. coli CK1092 for the Production of 2,3-Dihydroxybiphenyl Dioxygenase)

  • 이정영;김영수;이기성;민경희;김영창;김치경;임재윤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1_2호
    • /
    • pp.20-25
    • /
    • 1998
  • PCBs를 분해하는 Pseudomonas sp. P20 균주의 pcbC gene이 재조합 된 E. coli CK1092 균주를 이용하여 2,3-dihydroxybiphenyl dioxygenase 생산에 미치는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E. coli CK1092를 2% sucrose가 포함된 LB 배지를 기본배지로 하여 질소원, 금속이온 등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Fe^{3+}$$Fe^{2+}$$10^{-5}M$의 농도일때 효소생산이 증가되었으며 배양최적온도는 $37^{\circ}C$, 배양초기 pH 7.0일때 효소생산이 우수하였다. 배양조에서의 배양조건은 초기 pH 7.0, 통기량 1 v/v/m, 교반속도 200rpm에서 가장 효소생성이 우수하였다.

  • PDF

Validation of Methods for Isolation and Culture of Alpaca Melanocytes: A Novel Tool for In vitro Studies of Mechanisms Controlling Coat Color

  • Bai, Rui;Sen, Aritro;Yu, Zhihui;Yang, Gang;Wang, Haidong;Fan, Ruiwen;Lv, Lihua;Lee, Kyung-Bon;Smith, George W;Dong, Changs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430-436
    • /
    • 2010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ies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ystem for isolation, purification and extended culture of pigment-producing cells in alpaca skin (melanocytes) responsible for coat color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lpha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treatment on mRNA expression for the melanocortin 1 receptor, a key gene involved in coat color regulation in other species. Skin punch biopsies were harvested from the dorsal region of 1-3 yr old alpacas and three different enzyme digestion methods were evaluated for effects on yield of viable cells and attachment in vitro. Greatest cell yields and attachment were obtained following dispersion with dispase II relative to trypsin and trypsin-EDTA treatment. Culture of cell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ovine pituitary extract, hydrocortisone, insulin, 12-O-tetradecanolphorbol-13-acetate and cholera toxin yielded highly pure populations of melanocytes by passage 3 as confirmed by detec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of melanocyte markers including tyrosinase, S-100 and microp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Abundance of mRNA for tyrosinase, a key enzyme in melanocyte pigment production, was maintained through 10 passages showing preservation of melanocyte phenotypic characteristics with extended culture. To determine hormonal responsiveness of cultured melanocytes and investigate regulation of melanocortin 1 receptor expression, cultured melanocytes were tre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Treatment with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increased melanocortin receptor 1 mRNA in a dose dependent fashion. The results demonstrated culture of pure populations of alpaca melanocytes to 10 passages and illustrate the potential utility of such cells for studi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regulation of genes controlling pigmentation and coat color in fiber-producing species.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생물학적 1,3-propanediol 생산 (Biological production of 1,3-propanediol using crude glycerol derived from biodiesel process)

  • 전선애;강철희;공성욱;상병인;엄영순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13-4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통성 혐기성 세균인 K. pneumoniae DSM2026 K. pneumoniae DSM4799를 이용하여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서 발생된 폐글리세롤로부터 1,3-PD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폐글리세롤은 전처리 없이 이용하여 폐글리세롤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회분식 발효에서 폐글리세롤을 사용한 경우 순수 글리세롤에 비해 $1.1{\sim}2.5$배 향상된 1,3-PD 증가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은 순수 글리세롤보다 효과적인 1,3-PD 생산 기질로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배양액에서 글루코스 첨가 유무에 따른 1,3-PD의 생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글루코스에 의해 미생물의 성장이 30% 증가된 반면, 1,3-PD의 생산량은 글루코스가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에서 $1.3{\sim}2.9$배 정도 증가되었다. 또한 1,3-PD 발효 부산물인 2,3-BD 생산량은 글루코스 첨가시 $6{\sim}9\;g/L$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회분식 배양에서는 글루코스 미첨가시 폐글리세롤로부터 26 g/L의 1,3-PD가 생성되었으며, 이는 순수글리세롤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 $2{\sim}3$배 높은 생성량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이 효과적으로 1,3-PD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가격경쟁력이 있는 생물학적 1,3-PD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ntifungal Activity of Silver Salts of Keggin-Type Heteropolyacids Against Sporothrix spp.

  • Mathias, Luciana Da Silva;Almeida, Joao Carlos De Aquino;Passoni, Luis Cesar;Gossani, Cristiani Miranda David;Taveira, Gabriel Bonan;Gomes, Valdirene Moreira;Vieira-Da-Motta, Olne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540-551
    • /
    • 2020
  • Sporotrichosis is a chronic and subacute mycosis causing epidemiological outbreaks involving sick cats and humans in southeastern Brazil. The systemic disease prevails in cats and in humans, with the symptoms restricted to the skin of immunocompetent individuals. Under these conditions, the prolonged treatment of animals and cases of recurrence justify the discovery of new treatments for sporotrichosis. This work addresses the antifungal activity of silver salts of Keggin-type heteropolyacid salts (Ag-HPA salts) such as Ag3[PW12O40], Ag6[SiW10V2O40], Ag4[SiW12O40] and Ag3[PMo12O40] and interactions with the antifungal drugs itraconazole (ITC), terbinafine (TBF) and amphotericin B (AMB) on the yeast and mycelia forms of Sporothrix spp. Sporothrix spp. yeast cells were susceptible to Ag-HPA salts a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ranging from 8 to 128 ㎍/ml. Interactions between Ag3[PW12O40] and Ag3[PMo12O40] with itraconazole and amphotericin B resulted in higher antifungal activity with a reduction in growth and melanization. Treated cells showed changes in cell membrane integrity, vacuolization, cytoplasm disorder, and membrane detachment. Promising antifungal activity for treating sporotrichosis was observed for the Ag-HPA salts Ag3[PMo12O40] and Ag3[PW12O40], which have a low cost, high yield and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s. However, further evaluation of in vivo tests is still required.

Stain improvement in the white button mushroom 'Seolgang' and its varietal characteristics in Agaricus bisporus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Lim, Yong-Pyo;Lee, Byung-Eui;Song, Ho-Ye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1-159
    • /
    • 2012
  • Th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s one of the most widely cultivated important edible mushroom species. In the breeding of new button mushroom, 'Seolgang' was developed by crossing two monokaryons 'CM020913-27' and 'SSU423-31'. Because of the secondarily homothallism, only a small percentage of the basidia produce 3 or 4 spores, which are mostly haploid (n) and do not fruit. Single spore cultures derived from these types of spores produce a vegetative mycelium that also contain a variable number of genetically identical nuclei per cell called monokaryon. The lack of clamp connections between monokaryon and dikaryon required a series of mycelial culture and fruiting test. After crossing, hybrids were cultivated on a small scale and on a commercial scale at a farm. For this, the spawn was made by a commercial spawn producer and the spawned compost by a commercial compost producer. Mycelial growth of 'Seolgang' on CDA was better at $20^{\circ}C$ and $25^{\circ}C$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of '505 Ho'. The mature cap shape of new strain 'Seolgang' is oblate spheroid and the immature cap shape is round to oblate spheroid. The cap diameter was 41.2 mm on average. In comparison with white strain '505 Ho', the strain had a yield that was 9% higher. It produced fruiting bodies which had a higher weight on average per fruiting body and were 19% firmer with a good shelf life. Days of fruiting body were 3-4 days later than those of '505 H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lasticity, chewiness, adhesiveness were better than that of '505 Ho'. Genetic analysis of the new strain 'Seolgang' showed different profiles compared to '505 Ho', CM02913-27, SSU413-31, when RAPD primers A02 and O04 were used.

알칼리 처리된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에 미치는 몇몇 첨가제의 효과 (The effects of some additives on Methane Fermentation of Paper Mill Sludge treated with Alkali)

  • 최종우;이규승;박승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4-142
    • /
    • 1995
  •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온($35^{\circ}C$)과 고온($60^{\circ}C$) 메탄발효를 실시하였으며, 발효 촉진제로 기질(ethyl acetate), $F_{430}$의 구성성분(nickel), 생육인자 및 환원제(sulfur) 등의 화합물을 첨가한 후 메탄 생성 효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1. 제지슬러지를 단순히 $60^{\circ}C$로 가열해 주어도 섬유소가 분해됨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으며, pH를 교정하기 위한 NaOH처리로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온($35^{\circ}C$)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5일), nickel sulfate(10일), nickel acetate(15일) 순 이었다. 3. 중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0.62%), ethyl acetate(0.21%), nickel acetate(2.14%), nickel sulfate(3.02%), nickel trioxide(3.34%)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5.4배까지 증가하였으며, nickel화합물에서는 acetate< sulfate< trioxide의 순으로 메탄발효를 촉진하였다. 4. 고온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3일), 혼합(5일), sodium sulfide(6일), 대조구(10일)의 순이었다. 5. 고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9.6%), ethyl acetate(4.8%), sodium sulfide(16.5%), nickel trioxide(19.8%), 혼합(31.9%) 처리구순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3.32배의 보다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으며, 중온 보다는 약 10배의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6. 중온과 고온 메탄발효후 pH는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발효조는 7.0($60^{\circ}C$, 혼합처리구)이었으나, 진행되지 못한 발효조($35^{\circ}C$, ethyl acetate)에서는 5.4로 나타났다. 7. 메탄발효폐액의 특성은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폐액의 COD 값이 컸으며, 전질소 함량은 낮았고, pH는 중성을 유지하였다.

  • PDF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하는 해양미생물의 동정 -I. 항미생물 물질을 생산하는 해양방선균 분리균주 No. 101의 분리 및 배양조건- (Identification of the Marine Microorganisms Producing Bioactives -I. Isolation and Cultural Conditions of the Marine Actinomycetes No. 101 Producing Antimicrobial compounds-)

  • 최종덕;박욱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5-31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하는 해양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연근해역의 해면을 조사하였다. 해면 중의 미생물은 $1.2{\times}10{\sim}2.1{\times}10^3/g$ 범위에 있었고, 이들 중 방선균은 $0.01{\sim}0.5\%$(data 생략)로 나타났다. 분리된 미생물은 각각 배양하여 항균물질을 검토하였으며, 검토하던 중에 비교적 강한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균주 No. 101을 분리,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의 특징은 sclerotia로 형태가 다양하였고, 다양한 배지에서 생육이 가능하였고, 기균사의 색깔은 회백색, 배면의 색깔은 주로 회백색에서 갈색으로 나타났으며, 젤라틴 액화능과 전분 분해능을 가지나 myo-inositol은 이용하지 못하였다. 이 균의 배양학적 특성은 최적 pH 및 온도가 $6.5{\sim}7.0$$30^{\circ}C$였으며, 탄소원으로는 starch가 30g/l, 질소원으로는 casamino acid 10g/l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선균 No. 101의 균체 및 균배양액의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성에서는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subtilis에서 강한 항균력을, 효모와 곰팡이에 대하여는 낮은 항진균성을 나타내었다.

  • PDF

초임계수 처리로 가수분해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from wood biomass hydrolysate with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 서현범;한재건;최원석;이오규;이수민;최석환;이현용;정경환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94-498
    • /
    • 2008
  • 초임계수 처리를 통하여 얻어진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수분해 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은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배지의 탄소원으로 사용되었다. 농축된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3)을 사용하여 효모를 배양하였을 때, 다른 두 가지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1, SCW2) 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효모의 성장속도가 늦었다. 그리고 모든 경우에 0.51에서 0.56 (%, w/v)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되었다. 그래서 농축된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3)을 활성탄과 수산화 칼슘으로 전처리하여 페놀류 독성물질을 제거하였다. 활성탄 전처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94.6%의 페놀류 화합물을 제거하였고, 바이오 에탄올도 0.96 (%, w/v) 생산 할 수 있게 하였고, 환원당을 기준으로 한 바이오에탄올 수율도 0.5에 이르렀다.

대용섬유자원으로써 어저귀를 이용한 한지제조(제1보) - 어저귀의 건물 생산량 및 펄프화 특성 - (Manufacturing of Korean Paper(Hanji) with Indian Mallow (Abutilon avicennae Gaertner) as the Alternative Fiber Resources(I) - Productivity and Pulping Characteristics of Indian Mallow -)

  • 정선화;조남석;최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44-150
    • /
    • 2002
  • 본 실험은 산림자원의 감소 예방과 지구의 환경보존을 위해서 생장이 빠르고 펄프원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비목재 섬유작물을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부족한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에서,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비목재섬유로 한지를 제조함으로써 수입대체 및 원가절감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에 불량한 환경조건에서도 생육이 왕성한 어저귀(Abutilon avicennae G.)를 재배하여 그간의 진보된 펄프 제조기술을 적용하여 새로운 제지용 원료로 개발함으로써 부족한 원자재는 물론이거니와 국내 부존자원 이용의 극대화를 꾀하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폐기처리되는 농산물의 이용극대화를 꾀하기 위해 전목펄프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저귀는 생장속도가 빠르고 수확기가 짧으며 집약적 재배 및 관리가 가능하여 단위면적당 최대의 수확량을 올릴 수 있었다. 어저귀 인피부의 섬유장은 2.4 mm로써 목재섬유 중 소나무와, 비목재섬유 중 케나프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화학성분의 분석결과 어저귀 섬유는 추출성분의 함량이 높고 리그닌이 적은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펄프화와 관련하여 인피부는 150℃에서 48~57%, 전간부는 170℃에서 43~51%의 높은 수율을 나타냈고, 설포메틸 펄프화법의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펄프의 탈리그닌율도 두가지 펄프화법이 모두 90% 이상의 높은 탈리그닌율을 나타내었다.

가스공급속도 및 광도조절을 이용한 담수미세조류 Parachlorella sp.의 바이오매스 생산성 향상 (Improving Biomass Productivity of Freshwater microalga, Parachlorella sp. by Controlling Gas Supply Rate and Light Intensity in a Bubble Column Photobioreactor)

  • 김지훈;임경준;홍성주;장희수;장현진;윤석민;이승환;이철균;이창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1-48
    • /
    • 2023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mprove the biomass productivity of newly isolated freshwater green microalga Parachlorella sp. This was accomplished by culture conditions optimization, including CO2 concentration, superficial gas velocity, and light intensity, in 0.5 L bubble column photobioreactors. The supplied CO2 concentration and gas velocity varied from 0.032% (air) to 10% and 0.02 m/s - 0.11 m/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growth kinetics. Next, to maximize the production rate of Parachlorella sp., a lumostatic operation based on a specific light uptake rate (qe) was applied. From these results, the optimal CO2 concentration in the supplied gas and the gas velocity were determined to be 5% and 0.064 m/s, respectively. For the lumostatic operation at 10.2 µmol/g/s, biomass productivity and photon yield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f 83% and 66%, respectively, relative to cultures under constant light intens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mass productivity of Parachlorella sp. can be improved by optimizing gas properties and light control as cell concentrations vary ov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