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cycle regulator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4초

Eugenol과 1α,25-dihydroxyvitamin D3의 병합처리에 의한 HL-60 세포의 분화 유도 (Cooperative Induction of HL-60 Cell Differentiation by Combined Treatment with Eugenol and 1α,25-Dihydroxyvitamin D3)

  • 오미경;박선주;김남훈;조진경;진종률;김인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191-1196
    • /
    • 2007
  • Eugenol은 여러가지 향신료에 있는 필수 오일의 주요 성분으로서 악성 종양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고 사멸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ugenol이 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HL-60 전골 수성 백혈병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eugenol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HL-60 세포에 eugenol (150 ${\mu}M$)을 가했을 때 세포성장이 저해되었으며 $1,25(OH)_{2}$ vit $D_{3}$ (3 nM)와 병합처리시에는 더 큰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 때, eugenol은 $1,25(OH)_{2}$ vit $D_{3}$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주기의 $G_{0}/G_{1}$단계 정지를 더욱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ugenol과 $1,25(OH)_{2}$ vit $D_{3}$를 병합처리 하였을 때에는 $G_{0}/G_{1}$단계의 정지와 관련된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p27 level를 상호 협동적으로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cyclin A, cdk2, cdk4 level를 감소시켰다. 또한 유세포분석실험을 통하여, CD14 (단핵세포 표지 인자)의 발현이 eugenol과 $1,25(OH)_{2}$ vit $D_{3}$를 병합처리한 세포에서 단독처리시보다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eugenol이 $1,25(OH)_{2}$ vit $D_{3}$와 상호협동적으로 작용하여 저농도의 $1,25(OH)_{2}$ vit $D_{3}$에 의해 자극된 세포 분화 신호를 더욱 더 증대 시킴을 나타낸다. 이러한 eugenol에 의한 세포 분화 유도 작용은 암의 화학적예방 효과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p53 Codon 72 and MDM2 SNP309 Polymorphisms on Gastric Cancer Risk among the Iranian Population

  • Moradi, Mohammad-Taher;Salehi, Zivar;Aminian, Keyvan;Yazdanbod, Abba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413-7417
    • /
    • 2014
  • Background: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GC) is a multistep process that requires alterations in the expression of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occurring over several decades. The p53 tumor suppressor protein is involved in cell-cycle control, apoptosis and DNA repair. One of the most important regulators of p53 is MDM2, which acts as a negative regulator in the p53 pathway. Based on the key role of p53 and MDM2 in tumor suppression, polymorphisms that cause change in their function might affect cancer risk. We therefore elevated associations of the polymorphisms of p53 (R72P) and MDM2 (SNP309) with GC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4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100 controls were recruited.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fresh gastric samples. Genotyping of the p53 and MDM2 genes was performed using allele specific PCR (AS-PCR).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53 codon 72 polymorphism distribution in control and patient groups (p=0.54), but the G allele of MDM2 was found to be over-represented in patients (p=0. 01, Odds Ratio=2. 08, 95% Confidence Interval= 1.37-4.34). Conclusions: The p53 R72P seems not to be a potential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GC among Iranian patients, but our data suggest that MDM2 SNP309 might modify the risk related to GC.

Cyclin D1 Gene G870A Variants and Primary Brain Tumors

  • Zeybek, Umit;Yaylim, Ilhan;Ozkan, Nazli Ezgi;Korkmaz, Gurbet;Turan, Saime;Kafadar, Didem;Cacina, Canan;Kafadar, Ali Met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101-4106
    • /
    • 2013
  • Alterations of cyclin D1, one of the main regulators of the cell cycle, are known to be involved in various cancers. The CCDN1 G870A polymorphism causes production of a truncated variant with a shorter half-life and thus thought to impact the regulatory effect of CCDN1.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tribute to existing results to help to determine the prognostic value of this specific gene variant and evaluate the role of CCDN1 G870A polymorphism in brain cancer susceptibility. A Turkish study group including 99 patients with primary brain tumors and 155 healthy controls were examined. Genotypes were deter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The CCDN1 genotype frequencies in meningioma, glioma and control cas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detected according to clinical parameters or tumor characteristics; however, a higher frequency of AG genotype was recorded within patients with astrocytic or oligoastrocytic tumor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 genotype and gliobilastoma multiforme (GBM) was recorded within the patients with glial tumors (p value=0.048 OR: 1.87 CI% 1.010-3.463). According to tumor characteristic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within astrocytic, oligoasltrocytic tumors and oligodentrioglias. However, patients with astrocytic astrocytic or oligoastrocytic tumor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AG genotype (50%) when compared to those with oligodendrioglial tumors (27.3%). Our results indicate a possible relation between GBM formation and CCDN1 genotype.

RNA-RNA Interactions between RNA Elements at the 5' end and at the Upstream of sgRNA of RNA Genome are Required for Potato virus X RNA Replication

  • Park, Mi-Ri;Park, Sang-Ho;Cho, Sang-Yun;Hemenway, Cynthia L.;Choi, Hong-Soo;Sohn, Seong-Ha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89-295
    • /
    • 2008
  • RNA-RNA interactions and the dynamic RNA conformations are important regulators in virus replication in several RNA virus systems and may also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many important virus life cycle phases, including translation, replication, assembly, and switches in these important stages. The 5' non-translated region of Potato virus X(PVX) contains multiple cis-acting elements that facilitate various viral processes. It has previously been proposed that RNA-RNA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RNA elements present in PVX RNA genome are required for PVX RNA accumulation(Hu et al., 2007; Kim and Hemenway, 1999). This model was based on the potential base-pairing between conserved sequence elements at the upstream of subgenomic RNAs(sgRNAs) and at the 5' and 3' end of RNA genome. We now provide more evidence that RNA-RNA base-pairing between elements present at the 5' end and upstream of each sgRNA is required for efficient replication of genomic and subgenomic plus-strand RNA accumulation. Site-directed mutations introduced at the 5' end of plus-strand RNA replication defective mutant(${\Delta}12$) increasing base-pairing possibility with conserved sequence elements located upstream of each sgRNAs restored genomic and subgenomic plus-strand RNA accumulation and caused symptom development in inoculated Nicotiana benthamiana plants. Serial passage of a deletion mutant(${\Delta}8$) caused more severe symptoms and restored wild type sequences and thus retained possible RNA-RNA base-pairing. Al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NA element located at the 5' end of PVX genome involved in RNA-RNA interactions and play a key role in high-level accumulation of plus-strand RNA in vivo.

체세포 수준에서의 내 Al 성 알팔파의 선발에 관한 연구 I. 알팔파의 캘러스 유인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의 영향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Al Tolerant AlFalfa (Medicago sativa L.) on the Sometic Cell Level I. Effect of some factors affecting callus induction of alfalfa)

  • Byung Wook Yun;Dae Young Son;Young Goo;Jin Ki J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4-128
    • /
    • 1989
  • 本實驗은 Vernal알팔파의 callus 誘導에 미치는 몇가지 要因들에 對하여 糾明하고자 逐行되었으며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誘導에서 auxin 源으로서 2,4-D를 2-5mg/1 單用處理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여러가지 基本 培地 中에서는 B5와 SH가 callus 誘導에 가장 效果的이었는데, PC와 MS 培地에서 生成된 callus는 friable 하였다. 培地#의 pH는 5.8이 가장 좋았으며 7.0 以上에서는 callus는 거의 생장하지 않았다. 組織片은 9日 齡된 植物體의 것이 가장 좋았으며, 이를 前後하여 callus의 生成量은 減少하였다. Callus 誘導時, 光條件의 有無는 큰 影響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빛 條件에서는 callus 組織은 푸르게 되었다.

  • PDF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Cyclin B1, p53의 발현과 예후 (Prognostic Significance of Cyclin B1 and p53 Expression in Patient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김치학;조봉균;천봉권;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52-960
    • /
    • 2003
  • p53은 cyclin Bl을 통해 세포주기 중 G2-M checkpoint 이행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p53이 여러 종류의 악성종양의 생성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cyclin Bl과 p53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46예의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채취한 정상 편평상피, 이형성 조직과 암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이용하여 cyclin Bl과 p53의 발현을 조사하고 임상병리학적인 인자 및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상피의 기저층에 있는 몇 개의 세포들에서 cyclin Bl이 발현되었다. Cyclin Bl 양성세포의 범위는 이형성증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증가하였다. Cyclin Bl의 양성율은 41.3% (19예/46예)였고 p53의 양성 발현율은 58.7% (27예/46예)였다. 임상병리학적 인자들 중 병기(p<0.05), 식도 주위 림프절 전이(p=0.05), 림프혈관 침범(p<0.05)만이 cyclin Bl의 발현과 관련이 있었고 단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cyclin Bl의 발현은 예후불량과 관련이 있었다. p53의 발현은 cyclin Bl의 발현과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 예후와는 무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cyclin Bl은 식도암의 생성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고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cyclin Bl의 발현은 불량한 예후를 나타내며 술 후 보강 항암요법을 시행함으로써 생존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teap4에 의한 지방세포분화 촉진 기전 (Steap4 Stimul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Activation of Mitotic Clonal Expansion and Regulation of Early Adipogenic Factors)

  • 심현아;신주연;김지현;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92-1100
    • /
    • 2020
  • Six-transmembrane epithelial antigen of prostate 4 (Steap4)는 철과 구리를 환원하여 철과 구리의 세포내 유입에 관여하는 금속 환원효소로, 구리 철의 항상성 뿐만 아니라 염증, 포도당 대사, 지질 대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Steap4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한다는 보고가 발표되었으나, 이에 관련된 분자적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Steap4에 의한 지방세포분화 촉진에 관련된 기전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3T3-L1 백색지방세포, 불멸화된 갈색지방세포(iBA) 및 생쥐의 배아 섬유아 세포인 C3H10T1/3 세포에서 Steap4을 감소시킨 후 지방세포분화 초기단계에 관련된 신호들을 분석하였다. Steap4을 shRNA로 감소시켰을 때 지방세포분화 초기 단계에서 3종류 지방세포의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인 cyclin A, cyclin D 그리고 cdk2의 발현은 감소하는 반면 세포주기 저해 단백질인 p21과 p27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또한 세포주기 관련 신호인 p38, ERK 그리고 Akt의 활성화는 억제되었다. 한편 지방세포분화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들을 분석하였을 때, Steap4의 감소는 지방세포분화 활성 전사 인자인 C/EBPβ, KLF4의 발현을 저해하는 반면, 지방세포분화 억제 전사 인자인 KLF2, KLF3 그리고 GATA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Steap4의 과발현은 C/EBPβ promoter에 존재하는 전사억제 히스톤 표지자인 H3K9me2과 H3K27me3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Steap4는 지방세포분화 초기단계인 mitotic clonal expansion을 촉진하고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세포분화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난소암 세포주의 CD44 발현에 미치는 Cucurbitacin-I의 효과 (Cucurbitacin-I, a Naturally Occurring Triterpenoid, Inhibits the CD44 Expression in Human Ovarian Cancer Cells)

  • 서희원;김진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33-737
    • /
    • 2018
  • 박과 작물에 함유되어 있는 tetracyclic triterpene 성분 중 하나인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I는 대장암, 유방암, 간암세포에서의 항종양 활성이 밝혀져 있으나 난소암에서의 쿠쿠르비타신-I의 역할은 보고된 바 없다. CD44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생체 내 리간드인 glycosaminoglycan hyaluronic acid를 통해 세포 외부 매트릭스와 다른 세포와의 접촉을 매개한다. 최근 연구에 의해 CD44의 발현이 난소암세포의 증식 및 세포 부착과 침윤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D44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난소암의 진행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쿠쿠르비타신-I가 난소암세포의 CD44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인간의 난소암 세포인 SKOV-3를 이용한 MTS assay를 수행한 결과, 쿠쿠르비타신-I는 100 nM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의 쿠쿠르비타신-I를 SKOV-3 세포에 처리하여 Western blot 분석과 qRT-PCR을 수행한 결과, 쿠쿠르비타신-I에 의해 CD44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쿠쿠르비타신-I에 의한 CD44의 발현 억제가 $NF-{\kappa}B$와 AP-1의 인산화 감소에 기인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쿠쿠르비타신-I가 CD44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난소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재로서 쿠쿠르비타신-I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Enrichment and ver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miRNAs in bursa of Fabricius in two breeds of duck

  • Luo, Jun;Liu, Junying;Liu, Hehe;Zhang, Tao;Wang, Jiwen;He, Hua;Han, Chunch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20-929
    • /
    • 2017
  • Objective: The bursa of Fabricius (BF) is a central humoral immune organ belonging specifically to avians. Recent studies had suggested that miRNAs were active regulators involved in the immune process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differences of the BF at miRNA level between two genetically disparate duck breeds. Methods: Using Illumina next-generation sequencing, the miRNAs libraries of ducks were establish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66 differentially expressed miRNAs and 28 novel miRNAs in bursa. A set of abundant miRNAs (i.e., let-7, miR-146a-5p, miR-21-5p, miR-17~92) which are involved in immunity and disease were detected and the predicted target genes of the novel miRNAs were associated with duck high anti-adversity ability. By gene ontology analysis and enriching KEGG pathway, the targets of differential expressed miRNAs were mainly involved in immunity and disease, supporting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BF immune functions between the two duck breeds. In addition, the metabolic pathway had the maximum enriched target genes and some enriched pathways that were related to cell cycle, protein synthesis,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t indicted that the difference of metabolism may be one of the reasons leading the immune difference between the BF of two duck breeds. Conclusion: This data lists the main differences in the BF at miRNAs level between two genetically disparate duck breeds and lays a foundation to carry out molecular assisted breeding of poultry in the future.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진피 소수성 추출물의 항암 활성 (Anticancer activity of chloroform extract of Citrus unshiu Markovich peel against glioblastoma stem cells)

  • 김유진;심예은;정혜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8-3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진피 소수성 추출물(CECU)의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CECU는 25-200 ㎍/mL의 농도 범위에서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의 증식, 종양구체 형성과 이동능력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CECU는 G0/G1기에서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 게다가,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CECU의 항암 활성은 CD133, Oct4, Nanog, Integrin α6, ALDH1A1과 같은 줄기세포능 조절인자들의 발현과 STAT3 신호전달경로를 저해함으로써 유도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AM assay를 통해 CECU가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의 in vivo 종양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피 소수성 추출물이 주요 stemness marker들의 발현과 핵심 stemness 조절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함으로써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나타냄을 입증하여, 교모세포종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