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egory typicalit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과제유형과 범주전형성에 따른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책략 발달 (Recall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Strategy for List Types and Category Typicality in Children)

  • 윤경희;이경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5-7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rends in organization strategy for taxonomic and slot-fiber lists and category typicality,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changes in category knowledge structure, emergent organization capacity and effects in category typicality on children's recall. Moreover,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ge,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list types and category typicality on children's recap were figured ou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ldren's recall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increased with age. That is, the older children performed better recap and used organization strategy on both list types than the younger children. 2. AU children performed recall and used organization strategy better for the slot-filler than taxonomic list. The 4-year-olds, however, demonstrated better recap and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for the slot-filler than taxonomic list. While the 6-year-olds and 8-year-olds showed no such differences. These findings were supported the view that script-based slot-filler categori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memory performance. 3. At each age level, children showed higher level of recall and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for category typical than category atypical list. AU children received higher scores for the typical than atypical items on recap and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4. Children's age,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list types, and category typicality of lists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ren's recap.58% of the variance of children's recap was explained by four variables.

  • PDF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차이: 범주와 각본의 위계성과 전형성 비교1) (Knowledg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Scripts: An Investigation on Hierarchy and Typicality Effects)

  • 이재호;이정모
    • 인지과학
    • /
    • 제11권3_4호
    • /
    • pp.73-81
    • /
    • 2000
  • 이 연구는 지식유형에 따른 표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범주지식과 각본지식의 위계성과 전형성에 대한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상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하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움 목표단어의 어휘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범주지식은 전형단어가 비전형단어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지만, 각본지식은 두 조건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하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상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음 목표단어의 어위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범주지식이 각본지식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으며, 두 지식 모두 전형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지식은 전형성에 따른 위계구조를 구성하지만 각본지식은 범주지식에 비해서 위계성과 전형성이 약회된 구조로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연령, 범주전형성 및 회상조건에 따른 아동의 상위기억과 범주적 조직화 책략 사용 (Metamemory and Categorical Organization Strategy for Age, Category Typicality, and Recall Tasks)

  • 이혜련;이경님
    • 아동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38
    • /
    • 199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study developmental trends in categorical organization strategy. The subjects were 160 children - 40 nine - year - old boys, 40 nine - year - old girls, 40 seven - year - old boys, 40 seven - year - old girls. All subjects received one of three lists of items differing in category representativeness in either a free -recall or a sort -recall task. The selection of list materials permitted separation of the effects of age differences in category knowledge from those of knowledge per se on children's recall behavior. The tasks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individually with the memory task followed by the metamemory task.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ree - way ANOVA ari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that (1) Children's recall, clustering, and metamemory increased with age, while age effects for clustering were restricted to the sort - recall/high typicality condition. At each age level, children showed higher level of recall, clustering and metamemory for category typical rather than atypical list, and sort - recall than free-recall. Level of clustering and metamemory were superior in the sort - recall task and for items of high category typicality. (2) 9 - year - old children were capable of deliberately and efficiently using category organization as a memory strategy at least when appropriate contextual support was present (as determined by task requirements and list materials: sort - recall/high typicality).

  • PDF

스크립트적 범주전형성에 따른 학령전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 책략 발달 (Recall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Strategy for Script-Based Category Typicality in Preschool Children)

  • 이경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rends in script-based organization strategy and relative influences of age, use of organizational strategy and category typicality of lists on children's recall. The subjects were 120 infant children, -40 four years old, 40 five years old, 40 six years old. All subjects were received 1 of 2 slot-filler lists of items differing in category representativness. Data were analysed by two-way Anova, Duncan's post-hoc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Recall and use of organizational strategy were increased with age. 2. At each age level, children showed high level of recall and organization strategy for category typical than category atypical. 3. Children's age, use of organizational strategy and category typicality of list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ren's recall. 42% of the variance of children's recall was explained by three variables. The relative influence of age to the prediction of children's recall was the strongest.

  • PDF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한 선도브랜드의 전형성 분석 연구 (Analysis for Typicality of the Leading Brand by Evaluation of Brand Personality)

  • 박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8-57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제품군 내 선도 브랜드가 가지는 전형성을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인스턴트 원두커피가 분석 대상 제품군으로 선정되었고, 일반 매장 판매 브랜드인 '카누', '루카', '수프리모' 세 개의 브랜드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선도 브랜드인 카누가 해당 제품군을 대표하는 브랜드 전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누의 경우, 진실, 능력, 성공, 세련 등 제품군이 보유하는 4가지 개성 차원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었다. 루카의 경우, 능력, 진실, 세련 등 세 가지 개성차원이 공통적인 것으로, 수프리모의 경우는 세련과 능력 두 개의 개성차원만이 공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개성차원을 구성하는 구성개념에 있어서도 카누의 경우가 다른 경쟁 브랜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공통성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를 통해 브랜드 개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의 전형성 평가에 대한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 : 개념적 범주생성 과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mplicit Memory in Children with Category-Exemplar-Generation Task)

  • 장세희;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5-115
    • /
    • 2004
  • The 60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rd, and 6th grade elementary and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The instrument of 44 items had two typical and two atypical exemplars from 11 semantic categories. Each subject was exposed individually to the word list and asked to categorize each item. At test, subjects generated five items that came to mind in each category. Data was analyzed by 2-way ANOVA, age (3) $\times$ category of typicality (2). All main effects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typicality were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on typical list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s 3 and 6) were found on atypical lists. Thus, the knowledge base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in implicit memory.

  • PDF

디자인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의 전형성 평가 (Typicality Evaluation of Attribution Structure Reflected in Design Representation)

  • 이성남;이철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1-200
    • /
    • 2006
  • 디자인 표상은 디자인 요소가 결합된 하나의 통합체로서 분야별 표상의 전형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 요소는 분야별 표상의 목적과 가치를 반영하는 계열체로서 속성의 범주를 형성하며 표상의 과정에서 선택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디자인 속성 범주의 선택과 결합은 표상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주체의 표상 의식에 근거하며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분야별 표상은 해당 분야에서 요구되는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따른 속성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양태에 따른 분야간 차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에 대한 사실 검증으로서, 디자인 표상에서 이루어지는 속성 범주의 고려도 측정을 통해 각 분야의 표상을 형성하는 속성 구조의 전형성과 분야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평가의 대상으로 선정한 산업 디자인, 시각 디자인 그리고 환경 디자인 분야의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는 전형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전형성 결정요인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Typicality and Preference according to Determinants of Typicality)

  • 나광진;양종열;홍정표;이유리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87-9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목적부합속성을 충족하도록 제품이 디자인 된 정도와 외형적 디자인의 물리적 속성 유사정도가 제품 디자인의 전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를 전형성의 목적부합속성에 의한 차원과 물리적 속성의 유사정도에 의한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에서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형성 판단정도는 그 제품의 디자인이 그 제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부합속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될수록 디자인의 전형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의 외형적인 디자인 공통속성이 많을수록 그 제품의 디자인이 전형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전형성 결정요인의 각 차원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결과, 목적부합속성을 많이 충족시키는 디자인일수록 소비자는 선호하게 된다고 할 수 있으나, 그 외형적인 디자인이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 유사한 정도가 중간정도일 때 가장 선호되며, 아주 비슷하지 않거나 매우 비슷한 경우에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형성과 온라인 쇼핑몰 -결정요인과 쇼핑몰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Typicality of On-line Shopping Malls)

  • 차태훈;채승원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1권
    • /
    • pp.1-19
    • /
    • 2003
  • 전형성(typicality)이란 하나의 제품이 하나의 범주를 대표하는데 적절하다고 인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형성은 브랜드 선호도, 인지도, 최초상기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기존의 전형성에 관한 연구들은 제품이나 브랜드 혹은 오프라인상의 점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제 인터넷쇼핑몰 산업이 성숙기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대부분의 인터넷이용자들은 인터넷쇼핑몰에대해 익숙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에 대한 연구는 시의적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전형성의 결정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노출빈도와 속성구조 접근법을 중심으로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인터넷쇼핑몰을 순수온라인 인터넷쇼핑몰과 오프라인 기반 인터넷쇼핑몰로 분류하여 이러한 차이가 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나아가서 전형성이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출빈도와 속성태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쇼굉몰의 유형에 따른 차이가 속성태도와 전형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전형성과 선호도, 구매의도와의 관계도 예상대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인과적 범주의 속성추론 모델링 (Modeling feature inference in causal categories)

  • 김신우;이형철
    • 인지과학
    • /
    • 제28권4호
    • /
    • pp.329-347
    • /
    • 2017
  • 범주기반 속성추론에 대한 초기연구들은 전형성, 다양성, 유사성 효과 등 인간 사고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보고하였다. 이후 연구들은 이러한 추론에서 참가자들의 사전지식이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전지식들 중 하나인 인과적 지식이 속성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를 모델링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은 네 개의 속성으로 구성된 범주에서 속성들이 공통원인 혹은 공통효과 인과구조로 연결되었을 때 속성추론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형성 효과와 더불어 공통원인 구조에서 인과적 마코프 조건(causal Markov condition)에 대한 위배와 공통효과 구조에서 인과적 절감(causal discounting)이 관찰되었다. 이를 모델링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표적속성이 존재하는 범주예시와 존재하지 않은 범주예시가 존재할 가능성에 대한 차이값 (즉, $p(E_{F(X)}{\mid}Cat)-p(E_{F({\sim}X)}{\mid}Cat)$에 근거하여 속성추론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다. 인과모형이론(Rehder, 2003)에 기반하여 범주예시들의 확률값을 계산한 후 각 표적속성에 대한 추론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모형은 참가자들의 데이터에서 관찰된 전형성 효과뿐만 아니라 인과적 마코프 조건에 대한 위배 및 인과적 절감을 모두 예측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