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aloging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도서관 목록문제의 본질과 해법 (An Investigation on Catalogs and Cataloging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5-7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이 당면해 있는 목록문제의 본질을 규명하고 원인을 밝혀내어 향후 개별 도서관은 물론이고 도서관계 전체가 참조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도서관목록의 품질과 도서관계의 편목업무 역량을 실증적으로 점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목록의 품질 문제와 편목업무의 역량 문제를 야기해온 원인을 토착적인 시각에서 찾아내고자 하였다. 특히 후자의 원인 찾기에서는 우리 도서관계에 내재하고 있는 목록에 관련된 '철학과 인식'의 문제, '정책과 체계'의 문제, 그리고 '인력 시스템'의 문제 등에 주목하였다. 동일한 맥락에서 목록의 품질과 편목업무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토착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KERIS 종합목록 운영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10개 주요 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논점을 풀어갔으며, 논점을 풀어가는데 필요한 데이터는 관련 선행연구, 각종 통계집의 관련 통계, 10개 대학도서관 목록에 대한 검색실험, 그리고 사서들과의 면담 등을 통해 확보하였다.

영미계목록규칙 발전의 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American-British Cataloging Rules)

  • 심의순;손문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43-173
    • /
    • 1984
  • This study has been done to revie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ataloging system of books with emphasis on those in England and the U. 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1844, Sir Panizzi invented what seems to be the first of its kind in history to list the inventory systematically at the British Museum. It is believed to be a complete system consisting of 91 articles. (2) A comparatively systematic system was developed in America by Jewett. in 1852. Composed of only 39 articles, the system is considered a renovative one worked out with due regard to the infrastructure of a library. (3) In 1876, a classic system based on a lexicographical order was set up by Cutter. Rated as the best one that was designed by an individual, the theory has since exercised widespreading effects on cataloging. (4) American and British library scientists collaborated in printing several editions of numerous volumes on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but they are not believed fully successful in establishing a consistent and compressive system. Their efforts found significance rather in their being the first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etting a foundation upon which the international system of today has been developed. (5) The ALA Rule, published concurrently in ALA and LC in 1949, had two parts in its classification, the list of authors and that of titles. Its scientific classification has completed the cataloging of books in its developmental stage. (6) The 1967 American-British Rules integrated the cataloging systems published under separate covers by authors and titles. The system as well as the 1961 Paris System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throughout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Description standardized Bibliographic system has enabled the librarians in different countries to exchange their bibliographical sources easily, helped to overcome the language barrier in listing and contributed to the efficient reading of bibliographical records through machines. (7) The second edition of the Angelo-American cataloging Rules, promulgated in 1978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al description, was the one in which all the previous Rules were revised to have their strong points. The adoption of punctuation system to employ the computerized data processing and the standardization of description are expected to improve the cataloging system not only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ies but in the Universal Bibliographic Control as well.

  • PDF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도서목록(CIP) 서지레코드의 평가 (Examining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ataloging in Publication(CIP) Records)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15
    • /
    • 2009
  •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도서목록(CIP)의 서지레코드를 국립중앙도서관의 온라인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최종 서지레코드와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자료에 대해 국립중앙도서관의 CIP 레코드와 OPAC 레코드의 비교분석을 통해 서지기술의 내용과 요소 등의 차원에서 서지기술상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레코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도서목록센터에서 제공하는 출판예정자료중 출판예정일이 2008년 11월 1일부터 12월 30일인 자료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개별도서관에서 자체목록을 구축하기 위해 카피편목할 수 있는 정보원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CIP 레코드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왔다. 도서관들은 목록의 품질과 정확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반드시 CIP 레코드에 대해 검증과 변경 및 조정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통합 목록/메타데이터 서비스의 유저빌러티 평가: OCLC Connexion 시스템에 대한 연구 (Usability Assessment of an Integrated Cataloging and Metadata Service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OCLC Connexion System)

  • 이정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1-221
    • /
    • 2007
  • 이 연구는 통합목록/메타데이터시스템으로 전세계에 광범위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OCLC의 Connexion 시스템에 관한 유저빌러티를 실험한 연구이다. 유저빌러티실험은 상업적인 성공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의 하나로써 시작되었으며 문헌정보학에는 특정한 정보 검색 시스템이 자신의 이용자들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개선시키고자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되어 사용되어 왔다. Connexion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MARC 기준을 바탕으로 인코딩 되어 메타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대표적인 통합 목록/메타데이터서비스로 알려져 있다. 실험전반을 통해서 이용자의 실험과정이 녹화분석 되었으며, 6개 영역 17 가지 사항의 유저빌러티 문제점들이 파악되었다. 또한 마지막으로 17 가지 사항들에 대한 각각의 개선책들이 조심스럽게 제안되었다.

도서관 목록에서 표목의 취급 실태에 관한 연구 - B시의 대학도서관들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Managing of Headings in Library Cataloging: On the Basi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B City)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71-1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편목 실무에서 표목의 취급 실태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표준목록규칙인 KCR4는 기본표목을 채택하지 않았으며, 표목의 형식에 관한 규정이 없는 규칙이다. 그러나 도서관의 편목 실무에서는 여전히 기본표목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 도서관 간에 기본표목의 취급에 관한 통일성이 없고, 통일표목의 형식으로 표목을 작성하는 도서관의 경우에도 적용할 규칙이 없음으로써 그 형식의 일관성이 결여되었다. KCR4의 방침에 따라 기본표목을 채택하지 않는 방식으로 목록레코드를 통일할 수 있기 위해서는 KORMARC포맷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표목 형식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는 목록규칙에 관한 국제적 표준의 변화 추이에 따라 KCR4의 개정 방침이 확정될 때까지 과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목형식에 관한 규정이 제정될 필요가 있다.

  • PDF

목록 아웃소싱의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the Outsourcing of Cataloging in the Libraries)

  • 정혜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5-55
    • /
    • 2005
  • 본 연구는 목록 아웃소싱의 타당성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아웃소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가가치를 정보경제학에 기초한 직접편익, 가치연결의 효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경제성 분석모형을 적용하였다. 직접편익은 비용절감과 비용회피로 가치연결 효과는 목록 품질의 향상정도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목록 아웃소싱의 종합적인 타당성은 입증되지 않았으며, 이는 납품업체들의 전문성 결여로 품질제어를 하는데 사서의 시간이 많이 투입되어 실제적인 비용절감에 효과가 거의 없는 것이 가장 근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현실적인 타당성이 미흡한 상태에서 목록 아웃소싱을 무리하게 이용할 경우 운영비용의 절감과 봉사기능의 제고라는 기본 취지를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편목의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Cataloging)

  • 김상미;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8년도 제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5-208
    • /
    • 1998
  • 1876년 Cutter의 개념을 계승한 AACR2R의 편목의 3수준은 오늘날과 같은 전자환경에서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편목의 다양한 수준에 관해 논의하였다. 최소수준목록(Minimal level Cataloging)은 영미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미의회도서관과 OCLC에서 표준으로 제정하여 사용하고있으며, 핵심수준목록을 대표하는 PCC(Program for Cooperative Cataloging)의 핵심레코드(Core record) 표준은 최근들어 모든 수준의 도서관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인터넷자원의 표현을 위한 더블린코어와 PCC 핵심레코드의 데이터요소를 비교하여 공통데이터요소와 비공통데이터요소를 도출하여 인터넷환경에서 새로운 핵심수준 서지기술 데이터요소를 제안하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PDF

회의자료의 목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aloging of Conference Publications)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5-198
    • /
    • 1999
  • The Creation of bibliographic records for conference publication is difficult for catalogers and the records are difficult for patrons to use. We have found many difficulties in cataloging conference publications, because of the insufficiency and ambiguity of the cataloging rule.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type and data elements of conference publica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choice of heading and the creation of bibliographic records in the USMARC and KORMARC.

  • PDF

MARC 포맷과 표기법(表記法) (On the Influence of Pronunciation and Scripts on the MARC Formats)

  • 오동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49
    • /
    • 1991
  • 동양에 있어서 전통적인 목록의 표기법 또는 독음(讀音)에 대한 처리문제가 MARC 포맷에 어떻게 반영되고 포맷 자체에 어떠한 영향을 마치고 있는지를 목록이론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동양삼국의 관련 규칙을 검토하고, 각국의 MARC 포맷과 USMARC 및 UNIMARC 포맷을 아울러 비교분석하여, 각각의 개선 점을 제시하였다.

  • PDF

독일목록규칙에서의 단체기입의 전개과정 (Development of the Corporate Entry In German Cataloging Rules)

  • 김태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9권
    • /
    • pp.113-149
    • /
    • 1990
  • The RAK has in general adopted the provisions of the paris principles to a far greater extent than many other cataloguing codes. And the analyses confirm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main entries in German cataloging rules is a rather complex process and one which can result in inconsistent, arbitrary decisions. And the selection of the main entry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decision making which is time-consuming and costly.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uters, all entries are equal as points of retrieval. In light of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most important recommendation to be made is that the main entry principle be abandoned from cataloging theory and practice and be replaced by the title entry. It would eliminate the need for personal judgments required by the present rule. In so doing, it would bring uniformity and Standardization to cataloging practice. Use of the title entry would reduce the time and effort spent on the selection of the main entry which serves no important purpose in the catalog. Therefore title entry is more developed finding device than author entry in direct approach for document retriev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