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es report

검색결과 5,549건 처리시간 0.032초

Long Term Outcomes of Laser Conization for High 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in Thai Women

  • Wongtiraporn, Weerasak;Laiwejpithaya, Somsak;Sangkarat, Suthi;Benjapibal, Mongkol;Rattanachaiyanont, Manee;Ruengkhachorn, Irene;Chaopotong, Pattama;Laiwejpithaya, Suje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757-7761
    • /
    • 2014
  • Aim: To report long term outcomes of laser conization for high 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in Thai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in patients undergoing laser conization due to abnormal cervical cytology suggesting neoplasia during 1989 to 1994 and having follow-up data until December 2010. Conization was performed under colposcopy using a 0.5-mm $CO_2$ laser beam with power density of $18,000-20,000watts/cm^2$, and the surgical base was vaporized using a low power defocused beam. The follow-up protocol included cervical cytology and colposcopy. Long term outcome measures were failure rate (persistence and recurrence), post-conization status of transformation zone, and obstetric outcomes. Results: Of 104 patients undergoing conization, 71 had therapeutic conization for high grade CIN and were followed up for a median time of 115 (range 12-260) months. There was one case of persistent and one of recurrent disease comprising a failure rate of 2.8%. The post treatment transformation zone was well visualized in 68.3% of 63 patients with an intact uterus. Sixteen patients achieved 25 pregnancies; none had second trimester miscarriage. The obstetric outcomes were unremarkable. Conclusions: Laser conization under colposcopic visua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high grade CIN in Thai women has a low failure rate of 2.8%. The post-conization transformation zone could not be evaluated completely in approximately 30% of cases; therefore the follow-up protocol should include both cytology and colposcopy. Obstetric outcomes are not adversely affected by this therapeutic procedure.

춘천-홍천 지역 용두리 편마암 복합체내에 산출하는 남정석: 변성지구조적 의의

  • 조문섭;김종욱
    • 암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93
  • 이 연구는 경기육괴의 기반암인 춘천-홍천지역의 용두리 편마암 복합체내에서 처음으로 관찰된 남정석에 대해 보고한다. 연구 지역 석영-장석질 편마암의 주된 광물조합은 흑운모+석류석+규선석+사장석+석영${\pm}$남정석${\pm}$K-장석${\pm}$백운모이다. 남정석은 모두 4개의 표품에서 산출하며, 그 중 3개에서는 규선석과 공존한다. 남정석은 대부분 1mm 크기 이하의 타형 내지 반자형의 결정으로, 그리고 잔류물 형태의 준안정 광물로 산출한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용두리 편마암 복합체는 결정으로, 그리고 잔류물 형태의 준안정 광물로 산출한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용두리 편마암 복합체는 중압형의 변성작용을 경험했으며, 후기에 규선석 +K-장석 분대에 해당하는 저압형 변성작용을 받았다. 기존의 변성광물 분석자료를 재해석할 경우, 최고 변성작용의 평균 온도-압력 조건은 $683{\pm}62^{\circ}C$와 4.9~5.5kbar이다. 청평-가평 지역의 변성작용(이광진과 조문섭, 1992)과 이번 연구를 종합하면 중부 경기 편마암 복합체내에서 남정석이 비교적 광역적으로 산출함이 밝혀졌다. 더 나아가 남정석이 후기의 높은 변성온도에도 불구하고 보존되어 있음은 중부 경기육괴가 빠른 속도의 융기로 특징지워지는 변성지구조적 진화를 경험했음을 시사한다.

  • PDF

양한방 복합투여로 장기간 생존을 보인 폐암 환자 2례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Treat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mbined with Western Treatment: Report of Two Cases)

  • 강지영;김준영;손창규;조정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8
    • /
    • 2015
  • 목 적: 소세포 폐암 및 전이성 폐암은 폐암 중에서도 가장 예후가 불량하고 생존율도 상대적으로 낮은 암으로 알려져 있다. 난치성 폐암 환자에 대해 한방치료가 생존 기간 연장 및 삶의 질 관리면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대상: 본원에서 입원 및 통원치료를 병행한 소세포폐암 환자 1명과 원발성 간암에서 폐로 전이된 전이성 폐암 환자 1명에 대하여 한방치료의 효과 및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치료기간은 각각 2000년 1월-2009년 12월과 2004년 9월-2014년 2월이었으며 한약치료는 평균 1개월 간격으로 행해졌으며 입원기간 동안에는 한약치료를 포함한 침구치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치료효과 및 경과 판정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 및 혈액검사를 평균 1개월 간격으로 시행하였으며 내원시마다 환자의 증상 및 상태를 확인하였다. 결 과: 2명의 폐암 환자 모두 꾸준한 한방치료를 받으며 진단시점부터 9년 이상의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비교적 좋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종양으로 인한 임상경과 또한 완만하게 진행이 되었다. 결 론: 본 증례는 한방치료가 불응성 폐암 환자에 대해 삶의 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증상 조절 및 종양의 진행양상을 완화시켜 주며 나아가 생존기간 연장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Bartholin 씨선(氏腺)에서 발생한 선암(腺癌)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reatment for Primary Adenocarcinoma of Bartholin's Gland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 오원용;황인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71-76
    • /
    • 1989
  • 외음부의 Bartholin씨선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약 200예가 보고되고 있지만 아주 희귀한 종양이다. 일반적으로 처음 내원 당시에는 낭종이나 포는 염증성 농양으로 오진하기 쉬우며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이 이루어져서 근치적 치료가 시도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모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는 이 악성종양에 대한 원인과 적절한 치료방침에 대하여 결정된 바 없이 논란이 많으나 다른 외음부악성종양과는 엄격히 다르게 구별지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악성종양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써 방사선치료는 랴듐삽입 또는 전자선을 이용한 치료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지만 그 효과는 기대에 훨씬 못 미치고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과적으로 근치적 외음부절제술과 양측 서혜부 및 대퇴부 임파절절제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괄목할 만큼 향상되었으나 수술 후 잔존하는 병변으로 인하여 재발이 문제시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경험한 1예와 다른 저자들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앞으로 이 악성종양에 대하여 보다 세심한 임상적 관찰과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시급히 요청되며, 아울러 적절한 치료방침의 결정과 함께 예후인자에 대한분석을 통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 PDF

변형적 Carpentier 방법에 의한 Ebstein 기형의 수술적 교정 -1 례 보고- (Surgical Repair of Ebstein's anomaly by Modified Carpentier's Method - 2 cases report -)

  • 이건;김웅한;이창하;나찬영;정윤섭;정도현;김수철;이영탁;김종환;홍승록;박영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216-219
    • /
    • 1998
  • Ebstein 기형은 복잡 심기형중 하나로 치료 또한 비정상적인 삼첨판막의 교정 또는 판막치환 등으로 방법이 다양하다. 이질환의 병리소견은 삼첨판의 중격엽과 후엽이 하방전위되어서 심방화된 심실을 형성하는 것으로 수술적 목표는 삼첨판의 기능이상을 교정하고 심방화된 우심실을 주름성형하는 것이다. 본원에서는 매우 심한 삼첨판막 폐쇄 부전증이 동반된 Carpentier type A의 Ebstein기형으로 진단된 12개월된 여아에 대해 심방화된 우심실을 수직방향으로 주름성형하고 판막을 새로이 형성된 판륜에 재부착시키는 이른바 변형적 Carpentier방법으로 성공적으로 수술하였다. 수술후 환아는 심장의 크기가 매우 줄어들었고 심초음파상 미미한 정도의 삼첨판 폐쇄부전증만 남아 술후 14일째 퇴원하였다.

  • PDF

하정맥동형 심방중격결손의 외과적처지 -4례 보고- (Surgical Repair of Inferior Sinus Venosus Defect - A Report Four Cases-)

  • 최형호;김천석;윤향석;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68-172
    • /
    • 1998
  • 하정맥동 결손(inferior sinus venosus defect)은 하대정맥과 우심방의 경계 부위에 발생하는 심방중격결손의 한 형태로 매우 드문 선천성 심장질환이며, 심방중격의 하부 뒤쪽에 위치하고 한 개 이상의 우 폐정맥의 환류 이상을 동반하고 있어 개심술시 정확한 교정을 요하므로 수술 전 또는 수술 중 정확한 해부학적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부분 폐정맥 환류이상을 동반한 하정맥동형 심방중격결손 4예를 치험하였다. 1예는 25세 성인이었고 3예는 14개월 미만의 영아 및 소아였다. 4예 모두 심부전 때문에 수술했으며 이중 4개월의 영아는 긴급 수술이 필요했다. 진단을 위해 심초음파 및 도플러 검사와 심도자법을 시행하였다. 수술전 확진은 1예에서 가능했고 3예는 수술전 병변을 의심하고 수술시 확진되었다. 수술방법으로 이상 환류되는 폐정맥이 좌심방으로 환류 되도록 자가심막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을 폐쇄하였다. 4예 모두 수술 결과는 양호하였으며 초음파 검사의 추적에서 하대정맥과 폐정맥의 환류장애 소견은 없었다. 정확한 수술 교정을 위해 수술전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수술전 폐정맥의 부분 환류이상과 심방중격 결손으로 진단된 환자에서는 수술중 하정맥동 결손의 여부를 확인하여 적절한 수술적 교정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후복막강 내시경을 이용한 요추 교감신경절 절제술 - 2례 보고 - (Retroperitoneal endoscopic lumbar sympathectomy - 2 cases report -)

  • 이송암;김광택;백만종;이인성;김형묵;김학제;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203-207
    • /
    • 1998
  • 고대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각각 1개월과 20개월전에 수족장부 다한증으로 흉강경하 흉추 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받았으나 족장부 다한증이 지속되는 환자 2명에 대해 후복막강 내시경을 이용한 요추 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환자의 경우 우측에서 트로카 삽입중 기복이 발생하여 개복적 방법으로 전환해야 했으며, 우측 요추 교감신경절의 불완전한 절제로 발한이 지속되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각각 70일과 3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추적관찰하였으며 만족도 결과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으로 평가하였다. 첫 번째 환자는 '매우만족', 두 번째 환자는 항문주위 대상성 다한증이 있었으나 대체로 '만족'을 나타내었다. 족장부 다한증에 대한 후복막강 내시경하 요추 교감신경절 절제술은 통증이 적고 반흔이 작으며, 회복기간과 입원기간을 줄일 수 있어 족장부 다한증의 유용한 치료방법의 하나이다.

  • PDF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Ochrobactrum anthropi의 효과적인 동정 (Effective Identification of Ochrobactrum anthrop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고현미;조준현;백해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21-228
    • /
    • 2020
  • Ochrobactrum anthropi는 oxidase를 생산하는 비발효산소성 그람음성 막대균으로 외관이 비슷하고 oxidase가 양성인 비발효 세균과 혼합배양 시 구분이 힘들고 생화학적 동정 장비로는 정확한 동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화학적 검사 방법으로 동정이 힘든 세균동정의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Platform (MALDI-TOF) 법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icroScan을 이용해 검사했던 O. anthropi 5례를 분석한 결과, 최종보고까지 6.2일이 소요되었으며 E. coli의 3.0일에 비해 3.5일이 더 소요되었다. 5번 환자 고름 검체는 Achromobater xylosoxidans와 혼합감염으로 여러 번의 계대 배양과 재검사로 인해 11.3일이 소요되었는데, MALDI-TOF법으로 검사한 경우 한 번에 동정되었다. 4명의 환자는 기저질환이 있는 60세 이상이었고 기회감염과 원내감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으며, 그 중 92일 만에 채취된 검체는 imipenem과 meropenem에 내성이었다. 따라서 O. anthropi처럼 동정이 까다로운 세균은 신속하고 적절한 환자 치료를 위해 MALDI-TOF법을 이용한 검사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발성 결절성 폐실질형 유전분증 1예 (A Case of Primary Diffuse Nodular Pulmonary Amyloidosis Localized in the Lung)

  • 정성권;오준;노양원;공희상;박계영;박정웅;박재경;남귀현;하승연;이한경;정성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65-371
    • /
    • 2000
  • 유전분증은 비정상적인 섬유성 형태의 단백질이 세포 외 조직에 침착하는 질환이고, 원발성 폐유전분증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원발성으로 발생한 경우 기관기관지형은 기도폐쇄를 일으킬 경우에 외과적 절제술이나 레이저 치료술로 치료를 해야하고 미만성 폐포격막형인 경우 호흡부전과 객혈 등으로 예후가 나쁘지만, 결절성인 경우에는 대부분 예후가 좋은 편이나, 드물게는 호흡곤란, 중증 객혈, 및 호흡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단일 결절일 때는 악성 종양과의 감별 및 치료적 방법으로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수도 있다. 저자들은 타 장기의 침윤이 없이 폐에만 단독으로 침범한 원발성 다발성 결절성 유전분증 1예를 조직검사를 통하여 확진 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불교건축(佛敎建築)의 변화(變化) (The Change in the Buddhist Architectur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68-84
    • /
    • 1992
  • The development of Buddhist architectur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been generally understood to have paired pagoda instead of one which had been popular until before the unification. Besides the stylistic categorization of paired pagoda system, there had been no further investigation reported concerning whether there was any detailed process of change within the development of paired pagoda styl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uch change inside the development of paired pagoda style, which, externally, seems to be the same pattern of site design maintained throughout the period of Unified Silla that lasted for about three centuries. Since the temple sites of study are in the same pattern of layout, the method of investigation has to be such that can identify the subtle changes that, in external appearance, are not easily discernible. Hence, this research compared the dimensions of important measurement of five temple sites to be able to clarify the process of minor changes. Among many sites of Silla temples, only five were suitable for the research since detailed measurement were possible through field research or the report of excavation. They are the sites of Sachonwang-sa, Mangduk-sa, site of Kunsuri, and Bulguk-sa. Although the five sites have the same style of paired pagoda, it is clear that there were consistant flow of change. Even though the motivation of such change were not strong enough to change the site pattern itself, it resulted continuous minor changes such as the size and location of architectures. The size of image hall, for example, was growing larger and larger as time goes on, while, the size of Pagoda was getting smaller. In the same way, the size of middle gate became smaller while the size of lecture hall became larger, although the rate of change in these cases were not as severe as that of image hall and pagoda. At the same time, pagoda was coming closer to the middle gate leaving larger space in front of the image hall. Such aspect is even more meaningful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agoda, from the 8th century in Japan and China, moved outside of the major precinct. The image hall, too, moved toward the middle gate slightly so that the space in front of the lecture hall became more spacious. Such changes, of course, were not accidental but they are the same continuous motivation of change that caused the changes before the period of unification. Enlargement of image hall and reduction of pagoda, for example, represent the changing relative importance of religious meaning. Hence, it is evident that one can not easily imterprete the development of one style only by categorizing it to be one same style. In the veiwpoint of the underlying motivation of change, the fact that one style persi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oes not mean there had been no change, but means that it was the time of motivational accumulation, causing minor changes within the same style, to be able to create major change coming af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