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yophyllene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5초

방아(Agastache rugosa O. Kuntze)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angah (Agastache rugosa O. Kuntze) Herb)

  • 안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2-586
    • /
    • 1991
  • 방아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수증기 증류장치로 추출한 후 GC 및 GC/MS에 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확인된 성분을 기능기 별로 보면 hydrocarbon류 14종, aldehyde류 6종, ketone류 5종, alcohol류 3종, phenol류 5종, ester류 2종, 기타 1종으로 총 36종의 향기성분이 확인 되었다. 이중에서 estragole이 90% 이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밖에 limonene($0.7{\sim}4.7%$), caryophyllene($0.9{\sim}1.1%$), eugenol($1.4{\sim}1.9%$), anethol($0.2{\sim}0.3%$)등이 주요성분이었다. 그러고 이들 향기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채취시기 별로 보면 어린잎보다 성숙된 잎에서 높게 나타났고, 부위별로는 꽃대에서 가장 높았고 잎, 줄기의 순으로 남아졌다.

  • PDF

침엽수 잎으로부터 효율적인 정유 추출법 탐색 및 정유성분 분석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nd Analysis of Essential Oil from Softwood leaves)

  • 양재경;강병국;김태홍;홍성철;서원택;최명석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57-364
    • /
    • 2002
  • 편백나무와 화백나무의 잎으로부터 시료전처리, 물과 잎의 혼합비, 추출시간, 채취시기 등 정유 추출에 적합한 조건을 구명하고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조성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정유추출에 적합한 전처리법으로는 믹서기로 잎을 분쇄하는 방법이 좋았으며, 증류수와 잎의 혼합비율은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증류수 1 L당 100 g의 잎을 혼합하였을 때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다. 정유추출시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추출효율은 증가하였지만 탄화향이 심해 5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정유수율은 편백나무는 겨울이 4.5%, 화백나무는 가을에 채취한 시료가 5.3%의 높은 수율을 보였다. 편백나무정유와 화백나무정유 조성분은 차이를 보였으며, 주성분은 monoterpene류였다. 편백나무정유의 주성분은 limonene, terpinene-4-ol, ${\gamma}$-selinene 및 $\alpha$-cedrene였으며, 화백나무정유의 주성분은 $\alpha$-pinene, myrcene, limonene, bomyl acetate, $\beta$-caryophyllene, longifolene 및 $\beta$-cedrene이었다.

녹차와 갈근을 혼합한 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a Mixed Tea of Pueraria Radix and Green Tea)

  • 전주연;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0-355
    • /
    • 2010
  •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갈근을 중급 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갈근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 동정하고 비교하였다. 갈근과 녹차를 1:1로 혼합한 갈근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82종류를 동정하였다. 갈근녹차에는 갈근의 향기성분 18종류와 녹차의 향기성분 33종류 및 공통으로 포함된 31종류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녹차의 향기성분으로 linalool, $\alpha$-ionone 및 nerolidol 등의 꽃향과 safranal, methyl butanal 등의 달콤한 향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갈근의 향기성분으로 hexanal, trans-2-nonenal 및 $\beta$-selinene 등의 풋풋한 향과 decanal, limonene 등의 달콤한 향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갈근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달콤한 향을 띄는 furan류와 꽃향이나 산뜻한 과일 향을 띄는 linalool, nerolidol, 구수한 향을 띄는 pyrazine류와 pyrrole류에 갈근특유의 향기성분인 terpene계 화합물과 풋풋한 향을 띄는 trans-2-nonenal 및 $\beta$-selinene 등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국화과 허브류인 수입산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의 향기성분 비교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임성임;배정은;최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68-773
    • /
    • 2006
  • 유럽의 허브요법을 대표하는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에 속하는 감국차의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cdot}$동정하고 비교하였다. 캐모마일차의 휘발성성분으로는 cubebene(14.59%), ${\beta}$-elemene(4.88%), ${\delta}$-cadinol(1.54%)을 포함한 총 46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반면, 국내산 국화차에서는 santalol(6.25%), bornyl acetate(3.47%), farnesene(3.37%), 1,8-nonadiene(2.80%), caryophyllene oxide(2.77%) 및 thymol(2.16%) 등 총 45종류의 화합물이 동정 또는 추정되었다. 동정 또는 추정된 화합물 중 22종은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캐모마일차와 국화차에 공통으로 함유된 화합물 중 비교적 함량적으로 많이 들어있는 화합물은 4-terpineol, ${\alpha}$-terpineol, thymol, phenylacetaldehyde들이 었다.

GC-MS에 의한 오갈피나무 분류군과 청송 변종의 주요 성분 비교 (Comarison of Major Constituents in Acanthopanax Taxa and Variety Cheongsong in Korea by GC-MS)

  • 조경순;구평태;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19-624
    • /
    • 2007
  • 오갈피나무속 식물종은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다년생 목본류이다. 이 속의 식물 종은 한국에서 약 6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종은 약용으로 사용되어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청송변종은 청송에서 100년 이상 재배되고 있는데 그 기원이 불분명하여 주요 생화학적 성분을 GC-MS로 분석하여 다른 종과 비교하였다. 분석한 화학성분 중 19개가 청송변종에 특이하였는데 $\beta$-caryophyllene, hexadecanoic acid, 그리고 ethyl stearate 등이다. 청송변종은 오갈피나무와 비록 일부 성분에 있어 차이가 나지만 전체적인 분류학적 위상에서 다른 종에 비해 가장 유사하여 오갈피나무에서 분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오갈피나무속 6종에 대한 성분 차이가 GC-MS로 잘 구분되어 화학성분에 의해 종간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및 캐모마일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Chrysanthemum morifolium, Tagetes erecta, and Matricaria chamomilla)

  • ;이영상;오승영;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9-109
    • /
    • 2020
  • 꽃차(Flower tea)는 최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소비가 확대되는 등 그 산업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꽃차의 향기 특성은 우렸을 때 나타나는 색깔 및 인체에서의 생리활성과 더불어 주요한 꽃차 품질결정 요소이다. 본 연구는 꽃차로의 이용이 활발한 국화과 식물 중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노랑색 및 주황색 마리골드(Tagetes erecta 'Yellow' and 'Orange'), 그리고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의 향기 성분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제조된 꽃차를 headspace-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S-SPME/GC-MS)를 이용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국화과 꽃차로부터 총 117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각 꽃차 종류별 동정된 휘발성 성분의 개수, 주요 3개 휘발성 성분과 전체 향기성분 peak중 이들이 차지하는 구성비율(%)은 다음과 같았다: 구절초 64종, camphor (31%), α-pinene(14%), camphene(14%); 국화 60종, camphor(15%), chrysantheny acetate(13%), eucalyptol (11%); 마리골드 '옐로우' 53종, 2,4-heptadienal(26%), trans-isocarveol(21%), cis-β-Copaene(18%); 마리골드 '오렌지' 61종, β-caryophyllene(16%), β-ocimene epoxide(12%), β-ocimene(12%); 캐모마일 50종, β-farnesene(63%), nonane(9%), spathulenol(5%). 국화과 꽃차 5종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β-caryophyllene, α-pinene, β-farnesene 등 10종이었으며 마리골리 '옐로'는 '오렌지'와 주요 향기성분의 조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록 그 함량은 낮았으나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오렌지', 그리고 캐모마일은 각각 10종, 12종, 3종 및 13종이었다. 마리골드 '엘로'의 경우 검출된 모든 향기성분은 마리골드 '오렌지'나 다른 국화과 식물의 꽃차에서도 검출된 바, 향기 성분이 다양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

사철쑥 정유의 저장 중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the Volatile Compounds of Artemisia capillaris Essential Oil during Storage)

  • 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13-422
    • /
    • 2007
  •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volatile compounds of Artemisia capillaris essential oil were investigated under six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for 6 months. The essential oil was colle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analyzed by a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Seventy-five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the fresh essential oil of Artemisia capillaris. During storage, the total levels of aldehydes, alcohols, and ketones slightly decreased and the level of hydrocarbons greatly decreased; the total level of esters also decreased in the essential oil. Notably, the levels of carvacrol, eugenol, myrcene, 1,8-cineole, caryophyllene, coumarin, ${\alpha}-thujone$, ${\beta}-thujone$, borneol, and ${\gamma}-terpinene$, known as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gents, decreased during storage. Finally, aerobic storage conditions caused greater reductions in some compounds even at low temperatures.

생물기원 이차유기에어로졸의 점성도와 상 규명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Review of Viscosities and Phases of Biogenic Secondary Organic Aerosols)

  • 송미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9-359
    • /
    • 2016
  • Researchers have traditionally assumed that aerosol particles containing secondary organic aerosols (SOAs) are to be in liquid state with low viscosity even at low relative humidity. However, recent measurements showed that SOAs can have high viscosity under certain conditions. Herein, new different techniques for measurements of viscosities of SOA particles are introduced. Moreover, laboratory studies for the viscosities and the phases of biogenic SOAs produced by ${\alpha}$-pinene, isoprene, limonene, and ${\beta}$-caryophyllene of atmospheric relevance are reviewed. Future studies for determination of the phases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are also suggested.

참나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Pimpinella brachycarpa)

  • 송희순;최향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74-680
    • /
    • 1997
  •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were colle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method, and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wenty five, 17 and 23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e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samples, respectively; however, the kind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ts percent content of the total volatiles were varied depending on samples. The principal components of Chamnamul were isobutanal, trans caryophyllene, trans ${\beta}$-farnesene, and ${\alpha}$-selinene. Terpenoid compounds reached 44.11%, 33.91% and 72.63% respectively in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Acaricidal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Ligustrum japonicum against Acaridae and Pyroglyphid Mites

  • 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197-199
    • /
    • 2015
  • Th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Ligustrum japonicum leaves was determined by GC-MS analysis. The major constituents of L. japonicum leaf oil were germacrene D (40.50%), ${\alpha}$-pinene (13.63%), (-)-${\beta}$-elemene (6.42%), ${\beta}$-caryophyllene (5.73%), and $\delta$-cadinene (5.47%).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L. japonicum oil were evaluated against acaridae and pyroglyphid mites. In the fumigant bioassay, the $LD_{50}$ values of L. japonicum oil were 16.48, 12.38, and $15.63{\mu}g/cm^3$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In the contact bioassay, the $LD_{50}$ values of L. japonicum oil were 8.02, 5.02, and $7.67{\mu}g/cm^2$ against T. putrescentiae,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