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pulmonary effects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7초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지표 및 Myokine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Fall Injury Index and Myokine in Older Adults)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9-1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 지표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효과를 보는데 있다. 근감소증은 근력의 손실로 인해 발생하고, 기능적 상태의 감소, 활동력의 저하에 따른 낙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끝내 사망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유산소운동은 대근을 이용한 리듬과 반복적인 동작으로 특징 지워지고 주로 유산소성 대사를 통한 산소를 에너지 이용으로 심폐체력, 체성분 및 심장과 호흡계 건강에 기여한다. 한편 저항운동은 근육에 스트레스를 가해 노인들의 근력관련 체력과 기능적 수행 개선에 기여한다. 근기능 및 심폐지구력 향상을 꾀하는 복합운동은 노년들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마이오카인은 운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지방세포 감소, 골격, 근육 및 인체 전반에 걸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

Clinical Comparison of Low-dose and High-dose Steroid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with Cardiopulmonary Bypass

  • Choi Seok-Cheol;Kim Song-Myung;Kim Yang-We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9-301
    • /
    • 2006
  • Cardiopulmonary bypass (CPB) for cardiac surgery triggers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numerous chemotactic substances and cytokines, ensuing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that leads to postoperative major organ dysfunction. Traditionally, corticosteroids (steroid) have been administered to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to ward off these detrimental physiologic alteration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adult patients with high-dose steroid. We carried out a randomized, prospective, double-blind study to compare the efficacy of low-dose steroid with that of high-dose steroid and to determine the adequate dose of pretreated-steroid for prophylactic effects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Thirty pediatric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cardiac surg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fifteen patients received low-dose methylprednisolone (10mg/kg intravenously, n=15, low-dose group) and the others received high-dose methylprednisolone (30mg/kg intravenously, n=15, high-dose group) 1 hour prior to CPB. Arterial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CPB (Pre-CPB), 10 minutes after start of CPB (CPB-10), and immediately after CPB-end (CPB-OFF) for measuring total leukocyte counts (T-WBC) and diff-counts, platelet counts, interleukin-6 (IL-6), myeloperoxidase (MPO), total antioxidant (TAO), neuron-specific enolase (NSE), troponin I (TNI),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Other parameters such as volumes of urine output, pulmonary index $(PI,\;PaO_2/FiO_2)$, mechanical ventilating period, intensive care unit (ICU)-staying perio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ever, wound problem), postoperative 24 hrs and total volumes in blood loss, and hospitalized days were also assessed. Al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BC counts, monocyte fraction, platelet counts, TA levels, NSE levels, creatinine levels, BUN levels, the volumes of total urine output, PI, the incidences of fever and wound problem, postoperative 24hrs- and total-blood loss volumes and ICU-staying period between two groups (P>0.05). At CPB-OFF, neutrophil fraction, MPO level, TNI level, and AST level were higher in the high-dose group than in the low-dose group (P<0.05). IL-6 level at CPB-10 was higher in the high dose-group than in the low-dose group (P<0.05). Furthermore, mechanical ventilating periods and hospitalized days of the high-do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low-dose group (P<0.05). The high-dose group had significantly low lymphocyte fi-action at CPB-OFF compared with the low-dose group (P<0.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treatment of high-dose steroid is not superior to that of low-dose steroid regrading its potential benefits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Therefore, the conventional strategy of steroid treatment, high-dose pretreatment, should be modified in the cardiac surgery with CPB. However, further studies must be performed on the larger number of patients in as much as small number of patients in this study.

  • PDF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maximal oxygen uptake, and heart rate of short-term non-smokers)

  • 유경태;정범철;박순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64-1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단기 금연 동안 실시하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 소재 N대학교의 20대 남성 26명으로 흡연자 13명과 비흡연자 13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파악 후 사전 측정 시 허파기능(FVC, SVC, MVV)과 최대 산소 섭취량를 측정하였으며 3일 간 심장박동수와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후 3일 금연과 함께 몸통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후 측정으로 허파기능과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였고, 당일 운동 후 즉시 1일차, 2일차 3일차의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몸통 안정화 운동이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흡연자 집단과 비흡연자 집단 모두 운동 전후 허파기능(FVC, SVC, MVV), 최대산소섭취량, 회복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짧은 기간이라도 비흡연자뿐만 아니라 단기 금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금연 활동을 더한 몸통 안정화 운동이 심장허파기능 감소 예방 및 향상을 위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한 삶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이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PR Training for Healthy Life on CPR Performance Confidence to Middle School)

  • 국종원;박상규;박정제;김보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91-400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한 삶을 위하여 중학생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 수행자신감의 차이가 있었다. 교육을 받기 전 남학생과 여학생의 자신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교육을 받은 후 남, 여 학생 모두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에서 심폐소생술 수행 교육과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간의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인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최소 초등학생 고학년 이상의 연령 이후의 심폐소생술 교육은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 형성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심폐소생술 수행 교육자 연령이 낮을수록 주위에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망설임 없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자신감 형성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는 중학생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심폐소생술 교육 후의 평가방법 종류에 수행자신감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T 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among IT Company Office Workers)

  • 배경운;유승현;신다비;하윤철;김홍민;박병찬;김효상;박신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7-84
    • /
    • 2024
  • Objectives: Interventions promoting physical exercise and healthy habits in workplace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of IT company office workers with or at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Methods: A total of 444 IT company office workers with or at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participated in a 3-month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Body composition data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cardiopulmonary data using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from 53 individuals (mean age: 34.8 ± 7.1 years, sex : 21% female, height : 170.4 ± 6.8 cm, weight : 75.2±12.2 kg, body mass index : 25.8±3.3 kg/m2)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were analyzed. The 12 weeks intervention encompassed: (1) health counseling (2) supervised exercise(endurance-based, aerobic exercise, or circuit training once a week for 50 minutes at heart rate reserve(HRR) of 77-95%) (3) self-directed exercise and biweekly health screening check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body mass index, respectively. Moreover, VO2peak, AT VO2 and AT Time significantly improved, respectively. Resting blood pressure(SBP/DBP) showed positive changes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observed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rate of changes in cardiopulmonary outcomes of participants,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positiv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parameters following individualized conditioning exercise program. Conclusions: Individualized workplace exercise program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can lead to improvements in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실험적 급성 폐색전증에서 Endothelin 수용체 길항제가 혈류 및 호흡 역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dothelin Receptor Antagonist on Hemodynamic and Respiratory Mechanics in Experimental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 이지현;전용감;최강현;심태선;임채만;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이상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210-222
    • /
    • 2000
  • 한국산 잡견 11마리를 대상으로 자가 혈병을 이용한 급성 폐색전증을 만들고 ET 수용체 길항제를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병 투여후 폐동맥압은 상승하였고 심박출량은 감소하였으며 페혈관 저항은 증가하였다. 동맥혈 산소분압과 혼합 정맥혈의 산소 분압이 감소하였고 사강호흡이 증가하였고 생리적 단락이 증가하였으나 전신혈압은 변동이 없었다. 모든 측정치는 수용체 길항제 투여군과 대조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ET-1 수용체 길항제 투여후 전신혈압, 동맥 및 혼합정맥혈산소 분압, 동정맥 단락, 및 사강호흡의 정도는 두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폐동맥압, 심박출량, 폐혈관 저항은 길항제 투여 30분후부터 수용체 길항제 투여군과 대조군간에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여 210분후까지 지속되었다. 3. ET-1의 농도는 색전전(Baseline)에 비하여 색전후 동맥혈, 혼합정맥혈, 및 그 비(동맥혈/혼합정맥혈)가 증가를 보였고, 수용체 길항제 투여후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ET-1의 농도 증가가 의미 있게 높았다. 4. 면역조직화학염색상에서 폐색전증이 유발된 개의 폐혈관 및 폐조직에서 색전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 개의 조직에 비해 ET-1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5. Northern blot 상에서 폐색전이 일어난 폐조직의 preproET-1 mRNA 발현은 색전이 일어나지 않은 개의 폐조직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 PDF

소아 개심술에 있어서 변형초여과법의 효과 (Effects of Modified Ultrafiltration in Pediatric Open Heart Surgery)

  • 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91-597
    • /
    • 1997
  • 개심술시 사용되는 체외순환에 따른 혈액희석, 염증성반응 등으로 인하여 개심술후 혈관외용적 증가 및 조직내 수분증가로 인하며 심장 및 폐기능 저하는 잘 알려진 사실이며 특히 소아에서는 심한 경우에는 장 기부전이 초래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는 변형초여과법을 임상적용하여 개심술 직 후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A): 1996년 4월부터 1996년 8월 까지 삼성의료원 흉부외과에서 변형초여과법을 실시한 총 71명의 환자중 전향적연구을 실시한 소아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여 변형초여과법전후의 혈역학적 수치를 비교하 였다. 변형초여과법 전후의 .적혈구 용적량은 28.3$\pm$3.6%에서 33.8$\pm$4.0%로 증가 (P<0.001), 중심정맥압은 7.8 k3.7mmHg에서 6.9$\pm$2.gmmHg로 감소하였으며(PfO.001), 수축기 혈압은 66.7$\pm$11.2mmH프에서 76.2 11.8 mmHg로 증가하였다( p < 0.02). 연구 B): 변형초여과법이 폐에 미치는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세 미만의 심실중격결손 환자중 변형초여 과법군(12명)과 초여과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14명)으로 하여 수술직후 최대호기압, 폐포-모세혈관 산소 분압차, 기관지 삽관기\ulcorner 등을 비교하였다. 최대호기압은 각각 20.0$\pm$2.4cm1120,22.4$\pm$2.3cm1120로 변형초여 과법군이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3), 폐포-모세혈관 산소분압차 및 기관지 상관기간은 변형초여과법 적용 군에서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상기연구를 통하여 변형초여과법을 사용함으써 효과적으로 혈액을 농축시킬수 있으며, 더 낮은 중심정맥 암에서 더 높은 수축기 혈압 등의 혈역학적 이득이 있으며, 술후 폐포-모세혈관 산소분압차 및 최대호기압 의 감소 등, 폐기능 향상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팀은 향후 계속적으로 소아 개심술후 변 형초여과법을 적용하여 이에 대한 효과.및 기전에 대한 연구를 계속시행할 예정이다.

  • PDF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합제의 마취효과와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Anesthetic and Cardiopulmonary Effects of Medetomidine, Midazolam and Ketamine Combination in Beagle Dogs)

  • 황유선;박지영;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15-420
    • /
    • 2013
  • 본 연구는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병용 마취 시 마취효과와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edetomidine 0.015 mg/kg (MMK-L군) 또는 medetomidine 0.02 mg/kg (MMK-H군)을 근육 주사한 후에 midazolam (0.3 mg/kg) 및 ketamine (5 mg/kg)을 근육 주사하였다. 마취유도 및 회복시간, 진정 및 진통점수, 심박수, 혈압, 직장 온도 및 호흡수 측정 및 동맥혈액가스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 마취 시간은 MMK-L군 ($52.4{\pm}11.08$분)과 MMK-H군($78.2{\pm}20.72$분)이 유의성 있게 달랐다. 두 군 모두에서 MMK 투여로 인해 개에서 만족스런 진정 및 진통을 얻을 수 있었다. 두 군 모두에서 심박수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MMK-H군은 투여 후 5분부터 MMK-L군은 투여 후 20분부터 유의적인 심박수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MMK 투여 후 두 군 모두에서 혈압은 증가하였으나 두 군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 결과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병용마취는 양호한 마취효과를 나타냈으며, 개의 MMK 병용마취에서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만족할 만한 마취효과를 얻을 수 있는 medetomidine의 용량은 0.015 mg/kg 인 것으로 생각된다.

반복적인 심폐소생술 시행 후 건강한 소방대원에서 나타나는 증상, 심전도 및 혈역학적 변화 (The changes of symptom, EKG and hemodynamic in healty firefighters after delivering multiple cycle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이효주;김호중;정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81-388
    • /
    • 2017
  •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서는 효과적인 가슴압박을 강조하지만, 구조자들이 가슴압박을 시행하는 것과 관련한 피로에 대해서는 적절히 다루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소방대원들을 대상으로 마네킨에 심폐소생술을 여러 사이클을 수행한 후에 보일 수 있는 증상, 혈역학적 상태, 그리고 심전도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활력징후, 심전도, 주관적 피로도 점수를 심폐소생술 시작 전, 심폐소생술 5주기 후, 10주기 시행 후에 측정하였으며, 심폐소생술 후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설문하였다. 39명의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5.54{\pm}10.26$세이었으며, 심폐소생술 후 피로와 숨가뿜, 어지러움 등을 호소했다. 심폐소생술 시작 전, 5주기 후, 10주기 후 심박수, 호흡수, 호기말이산화탄소, 산소포화도, 맥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명의 참가자에서 심페소생술 10주기 후 부정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지속적인 심폐소생술은 건강한 성인들에서 피로와 혈역학적 변화 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및 교육에서는 장시간 심폐소생술을 하는 경우 구조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개심술에서 술중 심근보호효과에 관한 임상적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myocardial protection during open heart surgery)

  • 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230-240
    • /
    • 1987
  • Cardioplegia and myocardial protection were performed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during open-heart surgery with the use of cold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4=C] for the coronary artery perfusion and normal saline solution [4- C] for the topical cardiac cooling. To maintain the state of myocardial protection, coronary artery reperfusion was carried out using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at the interval of 30 minutes. A total number of patients studied were 57 cases, including 37 cases of correction for congenital cardiac anomalies and 20 cases for acquired heart valvular diseases. Cardiopulmonary bypass time during the surgery was observed to be average of 87.89*47.55 hours, aortic cross-clamping time to be average of 76.68~44.27 hours raging from 30 to 191 minut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myocardial protection in the surgery, serum enzyme levels were determine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aortic cross-clamping time and myocardial protection effects, patients studied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3 groups. I group: aortic cross-clamping time, 60 minutes, II group: aortic cross-clamping time, 90 minutes, III group: aortic cross-clamping time, over 91 minutes. 1. Changes in serum enzyme levels in postoperative period. [1] SCOT; The postoperative value [increased over 200 units] for ischemic myocardial injury during operation was observed in 11 cases [19.3% of the total] of the total patients studied, of which 4 cases [13.3%] in I group, 1 case [10.0%] in II group, and 6 cases [35.3%] in III group. [2] LDH; The positive value [increased over 900 units] for ischemic myocardial injury during operation was observed in 9 cases [15.7% of the total] of the total patients studied, of which 2 cases [6.6%] in I group, 1 case [10.0%] in II group, and 6 cases [35.3%] in III group. [3] CPK; The positive value [increased over 800 units] for ischemic myocardial injury during operation was observed in 10 cases [17. 5% of the total] of the total patients studied, including 4 cases [13. 3%] in I group, 1 case [10.0%] in II group, and 5 cases [29.4%] in III group. 2. The myocardial protection method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for the myocardial protection in the surgery with aortic cross-clamping time of up to 90 minutes. A few ischemic myocardial injury were observed in the surgery with aortic cross-clamping time over 91 minutes, but no significant cardiac dysfunction was noted. The surgery with aortic cross-clamping time of up to 191 minutes did not appear to give rise any significant interference with postoperative recov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