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plegic solution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19초

선천성 심장기형의 수술 후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심정지액과 혈성 심정지액의 전자현미경적 심근 구조의 비교 관찰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Versus Blood Cardioplegic Solutions: A Prospective, Myocardial Ultrastructural Study)

  • 김시호;이영석;우종수;성시찬;최필조;조광조;방정희;노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8-16
    • /
    • 2007
  • 배경: 선천성 심장기형의 수술적 교정 시,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HTK) 심정지액과 혈성심정지액의 심근 보호에 관한 비교를 위해 술 후 심근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벙법: 개심술을 계획하고 있는 선천성 심기형 환아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전향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2명 중 11명(HTK 집단)은 개심술 시 HTK 심정지액을, 다른 11명(혈성 심정지액 집단)은 혈성 심정지액을 사용하였다. 술 중 재관류 30분 후 우심실에서 작은 조직을 채취하여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심근 초미세구조에 대한 평가는 무작위 체계적 표본 추출법에 의한 반정량적 평가법을 사용하였다. 1명의 병리조직학자에 의해 사전정보의 제공 없이 시행되었다. 결과: 미토론드리아의 보존 형태에 대한 반정량적 평가는 혈성 심정지액 집단이 $19.65{\pm}4.75$ 그리고 HTK 집단이 $25.25{\pm}5.85$ (p=0.03)였다. 혈성심정지액 집단 중 6명의(54.5%) 환아에서 그리고 HTK 집단 중 3명(27.3%)에서 3도 이상의 사이질의 부종을 보였다. 결론: 전자현미경적 초미세구조의 보존은 HTK 심정지액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임상적 그리고 수술 중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술 중 심근 보호에 대한 우월성에 대한 비교는 계속적인 관찰과 연구를 요한다.

허혈성 전조건화 유발이 심근보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Myocardial Preservation Effect of Ischemic Preconditioning)

  • 이종국;박일환;이상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19-130
    • /
    • 2004
  • 개심술 후 나타나는 심기능 저하는 수술 중 허혈로 인하여 생긴 심근손상에 의한 것으로 심근 허혈 상태가 반복되는 경우에 허혈 상태에 의한 심근기능의 손상이 축적되지 않고 오히려 먼저 온허혈 상태에 의하여 심근세포가 일종의 조건화 상태가 되어 허혈에 견디는 힘이 증가하여 장시간의 허혈이 오는 경우에 허혈에 의한 심근손상을 줄일 수 있다고 하여 이를 허혈성 전조건화라고 하는데, 허혈성 전조건화의 효과는 심근손상을 감소시키고, 재관류 시 심근회복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부정맥의 빈도를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이러한 허혈성 전조건화를 본원에서 사용하는 중외1호 심정지액을 흰쥐의 적출 심장에 이용하여 심근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케뉼라를 삽관한 후 modified isolated working heart model에 부착 고정하였다. 관류과정은 비작업성 순환과 작업성 관류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작업성 관류를 20분간 실시하고 이 때 심박동수, 대동맥압, 대동맥관류량, 관관류량을 측정기록 하였다. 대조군은 적출심장을 작업성 순환 20분 후 대동맥 차단과 동시에 심정지액을 주입하여 60분간 보존 후 재관류를 실시하여 회복시킨 군이며, 비교군은 허혈성 전조건화로 관류액 자체를 저산소증으로 만들어 허혈을 유발시킨 후 심정지액을 주입하여 60분간 보존시킨 군(제I군), 작업성 관류 20분 후 대동맥 차단을 실시하여 허혈을 유발시킨 후 재관류 없이 심근보호액을 45초(제II-1), 1분(제II-2군), 3분(제II-3군) 주입한 군과, 작업성 관류 20분 후 45초(제III-1군), 1분(제III-2군) 및 3분(제III-3군)간 대동맥 차단을 실시한 후 2분간 재관류를 실시하여 심장을 회복시킨 후 다시 동일 방법으로 2회 실시 후 심근보호액을 주입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모든 군에서 60분간 보존시킨 후 재관류를 실시하여 회복정도를 혈역학적 성적만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자연 심박동 출현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제I군, 제II-3군, 제III-2군 및 제III-3군에서 매우 늦은 출현시간을 보였고(p<0.01), 제II-1군과 제III-1군에서도 늦은 출현은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NS). 심박동수의 비교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제III-1군이 가장 좋은 회복을 보였고(p<0.05), 비교군 간의 비교에서도 제III-1군이 제II-1군보다 좋은 회복을 보였다(p<0.05). 대동맥 수축기압에서도 제III-1군(p<0.05)에서 좋은 회복을 보였고, 대동맥 차단 군간에서도 제III-1군이 제II-1군에 비해 가장 좋은 회복을 보였다(1<0.01). 심박출량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제III-1군이 좋은 회복률을 보였고(p<0.05), 비교군 간에서는 제III-1군이 제II-1군보다 좋은 회복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p=NS), 제III-2군이 제II-2군에 비해 좋은 회복을 보였다(p<0.05). 심부종의 평가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제I군(p<0.01)과 제II-3군(p<0.05)에서 심부종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적출 심장만으로는 다른 장기의 영향을 배제한 경우에 심근보호액 자체보다 허혈 전조건화를 부여한 심근보호액 군에서 허혈 전조건화 시 심박동의 이상 징후가 출현하기 직전까지 짧은 시간 동안 허혈을 실시한 후 재관류시킨 뒤 심정지액을 주입하여 심장을 보호하는 것이 심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개심술에서 St. Thomas Hospital 심정지액의 심근보호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Myocardial Protection of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During Open Heart Surgery)

  • 김영학;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225-233
    • /
    • 1989
  • Cardioplegia and myocardial protection were performed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during open heart surgery with the use of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4 [C] for the coronary artery perfusion and normal saline solution [4[ c] for the topical cardiac cooling. To maintain the state of myocardial protection, coronary artery reperfusion was carried out using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at the interval of 30 minutes. A total number of patients studied were 57 cases, including 37 cases of correction for congenital anomalies and 20 cases for acquired heart diseases. Cardiopulmonary bypass time during the surgery was observed to be average of 87.89*47.55 hours, aortic cross-clamping time [ACCT] to be average of 76.68*44.27 hours raging from 30 to 191 minut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myocardial protection in the surgery, serum enzyme levels were determine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T and myocardial protection effects, patients studied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3 groups. I group: ACCT 60 minutes, II group: ACCT 90 minutes, III group: ACCT over 91 minutes [1] SGOT; The positive value [increased over 200 units] for ischemic myocardial injury during operation was observed in 11 cases [19.3% of the total] of the total patients studied, of which 4 cases [13.3%] in I group, 1 case [10.0%] in II group, and 6 cases [35.3%] in III group. [2] LDH; The positive value [increased over 900 units] for ischemic myocardial injury during operation was observed in 9 cases [15.7% of the total] of the total patients studied, of which 2 cases [6.6%] in I group, 1 case [10.0%] in II group and 6 cases [35.3%] in III group. [3] CPK; The positive value [increased over 800 units] for ischemic myocardial injury during operation was observed in 10 cases [17.5% of the total] of the total patients studied, including 4 cases [13.3%] in I group, 1 case [10.0%] in II group, and 5 cases [29.4%] in III group [4] The myocardial protection method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for the myocardial protection in the surgery with ACCT of up to 90 minutes. A few ischemic myocardial injury were observed in the surgery with ACCT over 91 minutes, but no significant cardiac dysfunction was noted. The surgery with ACCT of up to 191 minutes did not appear to give rise any significant interference with postoperative recovery.

  • PDF

관상동맥 협착을 동반한 심장에서 심근보호액 우심방 관류법의 심근 국소관류량 (The Local Myocardial Perfusion Rates of Right Atrial Cardioplegia in Hearts with Coronary Arterial Obstruction)

  • 이재원;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호
    • /
    • pp.1-16
    • /
    • 1992
  • The quantitatively measured local myocardial perfusion rates with microspheres are used as an objective indicator of even distribution of cardioplegic solution, and the efficacy of the retrograde right atrial route of cardioplegia is evaluated in hearts with various levels of coronary arterial obstruction. After initial antegrade cardioplegia under the median sternotomy and aortic cannulation, 60 hearts from anesthetized New Zealand white rabbits are divided in random order as normal group [ligated left main coronary artery ; MA, MR] and diagonal group [ligated proximal diagonal artery ; LA, LR]. Half of each group [N=10] are perfused with antegrade cardioplegia[A] under the pressure of 100 cmH2O and the other half with retrograde right atrial route[R] under the pressure of 60 cmH2O[St. Thomas cardioplegic solution mixed with measured amount of microspheres]. The myocardium is subdivided into segments as A[atria], RV[right ventricle]. S[septum], LV[normally perfused left ventricular free wall], ROI[ischemic myocardium of left ventricular free wall]. LV and RQI are further divided into N[subendocardium] and P[subepicardium]. The resulting local myocardial perfusion rates and N /P of each group are compared with Wilcoxon rank sum test. The weight of the hearts is 5.94$\pm$0.66g, and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ANOVA] between six compared group. The mean flow rate[F: ml /g / min] of MR group is comparable with MA group[p>0.05], but in N and L group, there are significantly depressed F with right atrial route of cardioplegia, which means elevated perfusion resistance with this route. In spite of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ivered doses of microsphere[DEL] between compared groups[p>0.05, ANOVA], there are significantly depressed REC and NF in hearts with right atrial cardioplegia which suggests increased requirement of cardioplegic solution with this route. The interventricular septum shows poor perfusion with right atrial route of cardioplegia without obstruction of supplying coronary arteries. But, with obstruction of coronary artery supplying septum as in M group, the flow rate is superior with right atrial route of infusion. The left ventricular free wall perfusion rates of every RQI with R route are superior to that of A route[p<0.05]. But, in LV segments, there are unfavorable effects of right atrial cardioplegia in L group, although the subendocardial perfusion is well maintained in N group. The LV free wall of left main group shows depressed perfusion rates with antegrade route as compared with RQI segments of diagonal group. But, by contraries, there are increased perfusion rates and superior N /P ratio with retrograde right atrial route. It implies more effective perfusion with right atrial route of cardioplegia in more proximal coronary arterial obstruction[i.e., M group as compared with L group]. As a conclusion, all region of ischemia have superior perfusion rates with right atrial car-dioplegia as compared with antegrade route, and especially excellent results can be obtained in hearts with more proximal obstruction of coronary arteries which would otherwise result in more severe ischemic damage. But, the depressed perfusion rates of the segments with normal coronary artery in hearts with coronary arterial obstruction may be a problem of concern with right atrial cardioplegia and needs solution.

  • PDF

고칼륨과 저온이 흰쥐 대동맥의 내피세포의존성이 완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vperkalemia and Hypothermia on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of the Rat Aorta)

  • 이응배;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299-1305
    • /
    • 1996
  • 고칼륨과 저온이 혈관내피세포의 acetylcholine(Ach)에 의한 혈관이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의 흉부 대동맥을 이용하여 Ach과 sodium nitroprusside(SNP)에 대한 이완 반응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다섯 군으로 나누어서 실시하였으며 각 군을 10례로 하였다. 1군은 대조군으로 어떤 조작도 가하지 않고 organ bath에서 등랑성 긴장도를 측정하였고, 2군(내피세포 제거군)은 내피세포를 물리적으로 제거후 1군과 같은 방법으로 긴장도를 측정하였고, 37$^{\circ}C$ 57에 45분간 처리후 혈관의 등장성 긴장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457,4mST및 3757군에서의 Ach에 대한 혈관의 이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내피세포 제거군에서는 Ach에 대한 혈관의 이완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SUP에 대한 혈관의 이완은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고농도의 칼륨과 저온자체는 흰쥐의 흉부대동맥 내피세포의 Ach에 대한 이완능을 저해하지 않는다.

  • PDF

허혈 전처치가 심근보호에 미치는 영향 -적출 쥐 심장에서 상온에서의 심근허혈과 중등도 제체온하에서 심근정지액 사용 시의 비교 연구- (Enact of Ischemic Preconditioning on Myocardial Protec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Normothermic and Moderate Hypothermic Ischemic Hearts Induced by Cardioplegia in Rats -)

  • 조성준;황재준;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42-254
    • /
    • 2003
  • 상온에서 단기간의 심근 허혈이 가해질 때 허혈 전처치가 심근기능의 보호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증명되었지만 저온의 심근 보호액을 이용하여 심장을 정지시킨 후 $25^{\circ}C$의 중등도 저체온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심근 보호액을 주입하며 장시간 허혈 상태에 노출시키는 일반적인 심장수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허혈 전처치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며 또한 연구결과에 따라 많은 이견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상온에서의 허혈과 중등도 저체온법을 사용하며 심근 보호액의 간헐적 주입을 병행하는 일반 심장 수술에서 허혈 전처치가 심근 보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circ}C$에서 St. Thomas hospital 심근 보호액을 사용한 경우와 상온에서 심근 보호액 없이 허혈을 받은 경우 각각에서 허혈 전처치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모든군의 심장을 20분간 $37^{\circ}C$의 Krebs 용액으로 관류시키고, 제1군은(n=6)은 허혈 전처치로 $37^{\circ}C$에서 3분간의 허혈 및 5분간 재관류를 두 차례 받은 후, $4^{\circ}C$의 심근 보호액을 20분마다 반복해 주입하며 120분간 $25^{\circ}C$의 중등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였다. 제2군(n=6)은 제1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허혈 전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역시 120분간 $25^{\circ}C$상태를 유지하며 20분마다 심근 보호액을 반복해 주었다. 제1, 2군 모두 허혈기가 끝난 후 $37^{\circ}C$의 Krebs 용액으로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1, 2군: 저온 심근 보호액군). 상온에서의 허혈군으로 $37^{\circ}C$를 유지하며 전반적 허혈을 받은 두 군을 설정하였다. 제3군(n=6)은 3분 허혈, 5분 재관류로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30분간 허혈 상태를 유지 후 30분간 재관류하였고, 제4군(n=6)은 제3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허혈 전처치 없이 30분간 허혈 후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3, 4군: 상온 심정지군). 결과: 저온 심근 보호액 군에서는 허혈전처치를 시행 후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군(제1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대조군(제2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관류량, 심박동수, 좌심실내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 값,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및 CPK, LDH의 비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NS). 상온 심정지 군에서는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허혈을 유지한 군(제3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허혈을 유지한 대조군(제4군)의 비교에서 허혈 전처치를 시행한 군이 좌심실 수축기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값, 좌심실 이완기압,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등이 허혈 전처치를 시행치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호전되었고 CPK, LDH의 변화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허혈 전처치가 심근의 기능적 회복 및 심근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쥐의 심장을 이용한 실험 시 허혈 전처치가 상온에서의 심근 허혈과 재관류 시에는 심근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으나 중등도 저체온법과 간헐적 심근 보호액의 주입 하에서 시행한 심장의 재관류에는 심근보호 효과가 없음을 보았다.

허혈 전처치가 심근보호에 미치는 영향 - 적출 쥐 심장에서 상온에서의 심근허혈과 중등도 저체온하에서 심근정지액 사용 시의 비교 연구 - (Effect of Ischemic Preconditioning on Myocardial Protection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Normothermic and Moderate Hypothermic Ischemic Hearts Induced by Cardioplegia in Rats -)

  • 조성준;황재준;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242-254
    • /
    • 2003
  • 배경: 상온에서 단기간의 심근 허혈이 가해질 때 허혈 전처치가 심근기능의 보호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증명되었지만 저온의 심근 보호액을 이용하여 심장을 정지시킨 후 $25^{\circ}C$의 중등도 저체온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심근 보호액을 주인하며 장시간 허혈 상태에 노출시키는 일반적인 심장수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허혈 전처치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며 또한 연구결과에 따라 많은 이견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상온에서의 허혈과 중등도 저체온법을 사용하며 심근보호액의 간헐적 주입을 병행하는 일반 심장 수술에서 허혈 전처치가 심근 보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circ}C$에서 St. Thomas hospital 심근 보호액을 사용한 경우와 상온에서 심근 보호액 없이 허혈을 받은 경우 각각에서 허혈 전처치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모든 군의 심장을 20분간 37$^{\circ}C$의 Krebs 용액으로 관류시키고, 제1군은(n=6)은 허혈 전처치로 37$^{\circ}C$에서 3분간의 허혈 및 5분간 재관류를 두 차례 받은 후, 4$^{\circ}C$의 심근 보호액을 20분마다 반복해 주입하며 120분간 $25^{\circ}C$의 중등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였다. 제2군(n=6)은 제1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허혈 전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역시 120분간 $25^{\circ}C$상태를 유지하며 20분마다 심근 보호액을 반복해 주었다. 제1, 2군 모두 허혈기가 끝난 후 37$^{\circ}C$의 Krebs 용액으로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1, 2군:저온 심근 보호액군).상온에서의 허혈군으로 37$^{\circ}C$를 유지하며 전반적 허혈을 받은 두 군을 설정하였다. 제3군(n=6)은 3분 허혈, 5분 재관류로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30분간 허혈 상태를 유지 후 30분간 재관류하였고, 제4군(n=6)은 제3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허혈 전처치 엄이 30분간 허혈 후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3, 4군: 상온 심정지군). 걸과: 저온 심근 보호액 군에서는 허혈전처치를 시행 후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군(제1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대조군(제2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관류량, 심박동수, 좌심실내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 값, 좌심실압순간 변화율 및 CPK, LDH의 비교 모두에서 총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NS). 상온 심정지 군에서는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허혈을 유지한 군(제3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허혈을 유지한 대조군(제4군)의 비교에서 허혈 전처치를 시행한 군이 좌심실 수축기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 값, 좌심실 이완기압,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등이 허혈 전처치를 시행치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호전되었고 CPK, LDH의 변화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허혈 전처치가 심근의 기능적 회복 및 심근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쥐의 심장을 이용한 실험 시 허혈 전처치가 상온에서의 심근 허혈과 재관류 시에는 심근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으나 중등도 저체온법과 간헐적 심근 보호액의 주입 하에서 시행한 심장의 재관류에는 심근보호 효과가 없음을 보았다.

잡종견의 심장 이식후 발생한 부정맥의 관찰 (Sinus Node Dysfunction after Orthotopic Dog Heart Transplantation)

  • 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5호
    • /
    • pp.339-344
    • /
    • 1994
  • Sinus node dysfunction is common after orthotopic heart transplantation.Electrophysiologic studies have documented a high incidence [46% to 50%] of impaired sinus node automaticity and sinoatrial conduction in the early posttransplantation period. Sinus node dysfunction persists in over 20 % of patients and leads to prolonged bradyarrythmias, including sinus or nodal bradycardia and sinus arrest.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observe sinus node dysfunction after orthotopic heart transplantation. Ten cardiac recipient dogs were monitored continuously after orthotopic transplantations between unrelated adult mongrel dogs. Crystalloid cardioplegic solution [Choongwoi Cardioplegia

  • PDF

자연기흉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Evaluation of Spontaneous Pneumothorax; A Review of 612 Cases)

  • 황석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1호
    • /
    • pp.866-870
    • /
    • 1993
  • Possible enhancement of myocardial protection with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and blood cardioplegia were evaluated in a cardiac enzyme study. The bicarbonate-containing solution equilibrated with 100% oxygen becomes highly alkaline as carbon dioxide is released. 95% oxygen and 5% carbon dioxide was added to the crystalloid cardioplegic solution [St. Thomas` Hospital No. 2 Solution] for prevention of severe alkalinity of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Heart was arrested and reinfused every 20 minutes throughtout the ischemic period with crystalloid cardioplegia or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or blood cardioplegia. Group I was a patient with crystalloid cardioplegia in 11 patients. Group II was a patient with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in 9 patients. Group III was a patient with blood cardioplegia in 15 patients. The value of CK-MB was evaluated from the patient`s serum at 6 hours, 24 hours,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In Group I and II,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CK-MB. In Group I and III, the value of CK-MB at postoperative 6 hours was 114$\pm$83 ng/ml and 56$\pm$22 ng/ml [P < 0.05]. In conclusion, blood cardioplegia was superior to crystalloid cardioplegia.

  • PDF

개심술시 CK-MB치 변화 [심근보호] (Changes of CK-MB in OHS by Using of Different Cardioplegia)

  • 황석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2호
    • /
    • pp.899-903
    • /
    • 1993
  • Possible enhancement of myocardial protection with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and blood cardioplegia were evaluated in a cardiac enzyme study. The bicarbonate-containing solution equilibrated with 100% oxygen becomes highly alkaline as carbon dioxide is released. 95% oxygen and 5% carbon dioxide was added to the crystalloid cardioplegic solution[St. Thomas` Hospital No. 2 Solution] for prevention of severe alkalinity of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Heart was arrested and reinfused every 20 minutes throughtout the ischemic period with crystalloid cardioplegia or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or blood cardioplegia. Group I was a patient with crystalloid cardioplegia in 11 patients. Group II was a patient with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a in 9 patients. Group III was a patient with blood cardioplegia in 15 patients. The value of CK-MB was evaluated from the patient`s serum at 6 hours, 24 hours, and 48 hours postoperatively.In Group I and II,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CK-MB. In Group I and 11I, the value of CK-MB at postoperative 6 hours was 114 + 83 ng/ml and 56 + 22 ng/ml [P [0.05]. In conclusion, blood cardioplegia was superior to crystalloid cardiopleg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