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lipi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Membrane Lipids of a Marine Ciliate Protozoan Uronema marinum

  • Seo Jung Soo;Kim Ki Hong;Lee Hyung Ho;Chung Joon K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55-159
    • /
    • 2003
  • Lipid composi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characterized in the membrane of a marine ciliate protozoan (Uronema marinum). Phospholipids accounted for 70% of total lipid, and the remainder was neutral lipids. Total phospholipids were separated as phosphatidylcholine $(24.26\%)$, phosphatidylethanolamine $(22.21\%)$, phosphatidylinositol $(6.14\%)$, phosphatidyl­serne $(5.11\%)$, cardiolipin $(3.07\%)$ and unidentified phospholipids $(28.72\%)$ throug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s and phospholipids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based solely on comparision of retention times. In neutral lipid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group was monounsaturated fatty acid $(48.3\% of total fatty acids)$ with oleic acid (18:1) and nervonic acid (24:1). Saturated fatty acids comprised $29.6\%$ of total fatty acids, with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ane myristic acid (14:0),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accounted for $33.0\%$ with $Di-homo-\gamma-linolenic$ acid (20:3) and linoleic acid (18:2). Wherease phospholipids predominantly contained the fatty acid group in the following orde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52.7\%\;of\;total\;fatty\;acids)$ with linoleic acid (18:2) and $\gamma-linolenic$ acid (18:3) > monounsaturated fatty acids $(28.5\%\;of\;total\;fatty\;acids)$ with oleic acid (18:1) and palmitoleic acid (16:1) > saturated fatty acids $(25.5\%\;of\;total\;fatty\;acids)$ with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and myristic acid (14:0).

LINC01272 Suppressed Cell Multiplication and Induced Apoptosis Via Regulating MiR-7-5p/CRLS1 Axis in Lung Cancer

  • Ma, Xuan;Liu, Yang;Tian, Hao;Zhang, Bo;Wang, Meiling;Gao, Xi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921-932
    • /
    • 2021
  • LINC01272 is a long non-coding RNA (lncRNA) that has been considered as a biomarker for many diseases including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Here, we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mechanism of LINC01272 on lung cancer (LC).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LINC01272 in LC and normal samples was analyzed by GEPIA based on the data from TCGA-LUAD database, as survival prognosis was analyzed through Kaplan-Meier Plotter. LINC01272 overexpression plasmid and miR-7-5p mimic were transfected into A549 and PC-9 cells. LINC01272, miR-7-5p and cardiolipin synthase 1 (CRLS1) mRNA expression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Cell viability was detected through MTT assay. Cell multiplication was evaluated by cell formation assay. Cell apoptosis was assessed through flow cytometry assay. Through bioinformatics, the target miRNA of LINC01272 and downstream genes of miR-7-5p were predicted. The targeting relationship was tested by dual luciferase reporter analysis. CRLS1, B-cell lymphoma-2 (Bcl-2), BCL2-associated X (Bax) and cleaved caspase-3 protein levels were detected through western blot. LINC01272 was downregulated in LC and low LINC01272 expression had poor prognosis. In A549 and PC-9 cells, LINC01272 inhibited cell viability and multiplication and induced apoptosis. LINC01272 negatively regulated miR-7-5p and CRLS1 was a target of miR-7-5p. MiR-7-5p reversed the effect of LINC01272 on viability, multiplication, apoptosis and expression of miR-7-5p and CRLS1 as well as apoptosis-related factors (Bcl-2, Bax and cleaved caspase-3). LINC01272 suppressed cell multiplication and induced apoptosis via regulating the miR-7-5p/CRLS1 axis in LC.

The Preventive Effect of 5-Iodo-6-Amino-1,2-Benzopyrone on Apoptosis of Rat Heart-derived Cell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 Kyoumg A Chung;Ji Seung Back;Jae Hyun Ja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7-246
    • /
    • 2022
  • Ischemia-reperfusion results in exces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at affect myocardial cell damage. ROS production inhibition is effectively proposed in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myocardial hypertrophy. Studies have shown that oxidizing cultured cells in in vitro experiments gradually decreases the permeability of mitochondrial membranes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resulting in increased mitochondrial membrane damage due to secondary ROS production and cardiolipin los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5-iodo-6-amino-1,2-benzopyrone (INH2BP), an anticancer and antiviral drug, inhibited peroxynitrite-induced cell damage in in vitro and alleviated partial or overall inflammation in animal experim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eventive effect of INH2BP on H9c2 cells derived from mouse heart damaged by oxidative stress using 700 μM of hydrogen peroxide. As a result of oxidative stress to H9c2 cells by hydrogen peroxide whether the treatment of INH2BP or not, hydrogen peroxide caused serious damage in H9c2 cells.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with cell viability and Hoechst 33342 assays. And this damage was through cell death.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H9c2 cells pretreated with INH2BP significantly reduced cell death by hydrogen peroxide. In addition, measurements with DCF-DA assay to determine whether ROS is produced in H9c2 cells treated with only hydrogen peroxide produced ROS significantly, but H9c2 cells pretreated with INH2BP significantly reduced ROS production by hydrogen peroxide. Taken together, it is believed that INH2BP can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duced through oxidative stress such as heart damage caused by ischemia/reperfusion.

해양세균(海洋細菌)을 이용(利用)한 EPA(eicosapentaenoic acid) 생성(生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PA(eicosapentaenioc acid) production by marine bacteria)

  • 조용계;김성진;김지수;이민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30
    • /
    • 1995
  • This project has been worked out for isolation of EPA-producing bacteria from marine source of sea water, sea sediment and intestinal contents eviscerated from some red-muscle fish such as mackerel, horse-mackerel and spike fish. The samples were precultured on the media of PPES-II glucose broth and then pure-cultured on Nutrient agar and P-Y-M glucose. Lipids extracted from those bacterial mass collected by centrifugation were analysed in terms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are resumed as follows : 1. 112 strains from sea water and 76 strains from sea sediment were tested for their EPA producing capability, but both strains of (SA-67 and SA-91) from the former and four strains(SS-35, 37, 51 and 71) from the latter have been proved to produce EPA above the level of 2% of total fatty acids. The strains such as GS-11, 29, 31, HM-9, 29, B-18, 33, 107, YL-129, 156, 203, 77, 104 and 256 which were isolated from fish intestinal contents, have also produced EPA at higher level than 2% of total fatty acids. 2. Contents of total lipids extracted from the cultures of these strains grown at $25^{\circ}C$, range from 2.8% to 6.9% (on dry weight %), and they are mainly composed of polar lipids($40.9{\sim}52.9%$) such as phosphatidyl glycerol($^{+}cardiolipin$)(?)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33.8{\sim}40.0%$), with smaller amount of free fatty acid ($11.2{\sim}20.2%$). 3. EPA was isolated from a mixture of fatty acid methyl esters obtained from the lipid of each strain by HPLC in silver-ion mode and was identified by GC-Mass spectrometry. 4. The strains of SW-91, GS-11, GS-29, HM-9, B-18 and YL-203 grown at $25^{\circ}C$ have a level of 5% EPA in their total fatty acids, and the GS-11 and HM-9 strains show a tendency of increase in the EPA level with an increase of growth temperature.

n-3 및 n-6계 다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비율이 다른 유지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뇌, 심장 및 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with Various Level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Fatty Acid Metabolism of Brain, Heart and Spleen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정효숙;강정옥;김희숙;이수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2-701
    • /
    • 1993
  • n-3계 EPA와 DHA의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linoleic acid 함유 비율이 높은 홍화유의 혼합 급여가 고지질식이 흰쥐의 뇌, 심장 및 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쥐에게 버터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정어리유 및 홍화유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유지를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고, 뇌 지질중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EPA 및 DHA의 함유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phosphatidylethanolamine에서는 DHA의 함유 비율이 월등히 높았고, cardioliipin에서는 arachidonic acid의 함유 비율이 높았다. 심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PUFA의 함유 비율은 5군(4% 정어리유|4% 홍화유)에서 가장 높았고, 특히 DHA 함유 비율은 4군(6% 정어리유+2% 홍화유), 5군에서 높았으며, 비장 지질의 조성 지방산중 EPA 및 DHA의 함유 비율은 3군(8% 정어리유)에서 높았다.

  • PDF

한국산 은어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2 중성지질 및 인지질의 성분 비교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in Sweetfish from Korea-2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neutral and phospholipid components)

  • 문수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1-249
    • /
    • 1993
  • 전보(문, 1993)에 이어 은어의 중성 및 인지질의 class별 조성과 각각의 구성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은어의 전 부위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서 $94.8{\sim}99.5\%$를 차지하였으며, 다른 부위에 비하여 내장부위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고, 머리부위가 가장 낮았다. 2. 은어의 인지질은 전 부위에서 phosphatidylcholine 및 phosphatidyl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으며, 이들 성분은 머리와 근육부위에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내장에 cardiolipin, phosphatidylethanolamine, lyso-phosphatidylcholine이 주성분이었다. 3.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16:0, 88:1n-9, 16:1n-7, 18:2n-6, 18:0 및 14:0이었고, 크기와 부위에 따른 차이는 미미했다. 이들 중 16:1n-7 및 14:0의 조성비는 인지질에 비해 특히 높은 반면, polyene산의 조성비는 낮았다. 4. 인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16:0, 18:1n-9, 22:6n-3, 18:0 및 18:2n-6 등이었다. 이들 중 22:6n-3 조성비는 머리 및 근육에서 특히 높아, 중성지질의 경우에 비해 6배 정도 높은 함량이었다. 은어의 크기에 따른 중성 및 인지질의 구성지방산 조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 PDF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항인지질 항체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ntiphospholipid Antibodies in Korean Children with Henoch-$Sch{\ddot{o}}nlein$ Purpura)

  • 박은정;백지영;신재일;이재승;김현숙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46-152
    • /
    • 2009
  • 목적 :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항인지질 항체에 대한 연구가 외국에서 몇몇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또한 항인지질 항체가 양성인 그룹과 음성인 그룹을 비교하여 연구한 논문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한국 소아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양성인 환아의 항인지질 항체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신촌 세브란스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으로 진단받은 6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환아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성별, 나이, 복통, 관절통과 자반증 등의 임상 증상을 조사하였고, 검사 소견으로는 백혈구수, 혈색소, 혈소판수, 호산구수, C-반응 단백, 혈침 속도, 단백뇨, 대변 잠혈 검사, 혈청 면역 글로불린(IgG, IgA, IgM, IgE), 혈청 보체(C3, C4), 항핵 항체(ANA), 알부민과 항인지질 항체(루프스 항응고인자, 항카디오리핀 항체, 항${\beta}$ 2GPI 항체)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총 62명의 환아중 남녀 각각 3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6.0{\pm}3.1$세(범위: 1-16세)였다. 루프스 항응고인자 양성인 그룹과 음성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복통, 자반증, 관절통, 신염 등의 임상 증세에서는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걸로 나타났으나 검사 소견을 비교하였을 때 양성인 그룹에서 C-반응 단백($4.3{\pm}7.2$ mg/dL vs. $1.3{\pm}1.8$ mg/dL, P=0.035), 혈침 속도($37.5{\pm}26.2 mm/hr vs. $25.1{\pm}22.6$ mm/hr, P=0.039), IgM ($148.1{\pm}48.4$ mg/dL vs. $114.9{\pm}41.5$ mg/dL, P=0.024), C3 ($143.1{\pm}21.9$ mg/dL vs. $129.7{\pm}24.5$ mg/dL, P=0.048), C4 ($30.9{\pm}6.3$ mg/dL vs. $24.9{\pm}7.8$ mg/dL, P=0.002)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루프스 항응고인자는 29%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양성인 그룹에서 염증 인자인 C-반응단백, 혈침 속도 그리고 IgM, C3, C4 수치가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이것은 루프스 항응고인자가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질병의 활성과 병인에 어떤 역할을 수행함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감압처리(減壓處理)에 따른 토마토과실(果實)의 주요성분(主要成分) 및 함유지질(含有脂質)의 변화(變化)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 and Lipid in Tomato Fruits Under the Treatment of Sub-Atmospheric Pressure)

  • 김성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1호
    • /
    • pp.31-44
    • /
    • 1980
  • 토마토 상종(商種) 중(中) "강력미수(强力米壽)"를 노지(露地) 재배(栽培)한 것을 mature green stage에서 수확하여 상온(常溫) 감압하(減壓下)에서 처리(處理)하였을 때의 저장 생리(生理)와 관련(關聯)하는 주요성분(主要成分) 및 호흡량(呼吸量), 숙도(熟度), chlorophyll, 지질(脂質)등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바, 1. 과실(果實)의 climacteric rise의 발현(發現)은 감압구(減壓區) 보다 10 일(日)이상 지연되었으며, 2, 처리기간(處理期間) 중(中) 숙도(熟度)의 변화(變化)는 감압정도(減壓程度)에 따라 차(差)가 있어, 대체(大體)로 감압도(減壓度)가 높을수록 지연되었다. 이 관계(關係)는 climacteric rise와도 밀접(密接)한 관계가 있었으며 처리구(處理區)에 관계(關係)없이 dark pink stage와 climacteric maximum는 일치(一致)하였다. 3. 과실(果實)의 색상(色相)과 관계(關係)가 깊은 chlorophyll의 감소(減少)도 상압구(常壓區)가 감압구(減壓區)보다 현저하였다. 4. 과실(果實)의 함유지질(含有脂質)은 중성지질(中性脂質), 인지질(燐脂質). 당지질(糖脂質)이었으며 그중(中) 중성지질(中性脂質)이 46%, 인지질(燐脂質)이 32%, 당지질(糖脂質)이 13%이였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의 구성(構成)은 sterol ester, triglyc ericle, free fatty acid, 1.3 diglyceride, 1.2 diglyceride, sterol, monoglyceride 의 7종(種)이었으며, 이중(中) triglyceride가 49.3%로서 가장 함량(含量)이 많았다. 인지질(燐脂質)은 phosphatidic acid, cardiolipin,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 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ine의 7종(種)으로 구성(構成)되며 이중(中) phosphatidyl choline 및 phosphatidyl ethanol am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고 있었다. 5. 저장중(貯藏中) 총지질(總脂質)은 시일(時日)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漸次)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는데 상압구(常壓區)에 비하여 감압구(減壓區)의 변화(變化)가 적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은 climacteric rise 및 숙도(熟度)와 관련하여 변화(變化)하였으며 climacteric onset기(期)에. 가장 많이 감소(減少)하다가 다시 상승(上昇)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 중(中) climacteric rise 및 숙도(熟度)와 관련하여 변화(變化)한 것은 diglyceride 및 sterol ester의 2종(種)이었으며 glyceride가 중성지질(中性脂質) 전량(全量)의 변화(變化)와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인데 반(反)하여 sterol ester은 climactric onset까지 증가(增加)하다가 기후(其後) 감소(減少)하였다. 인지질(燐脂質)도 저장기간(貯藏期間) 중(中) 처리구(處理區)에 관계(關係)없이 다같이 감소(減少)되었는데, 그 정도(程度)는 상압구(常壓區)에 비(比)하여 감압구(減壓區)의 변화(變化)가 적었다. 인지질(燐脂質) 중(中) ph. choline과 ph. ethanlamine은 climacteric rise및 숙도(熟度)와 관련하여 변화(變化)하였다. 중성지질(中性脂質) diglyceride 및 sterol ester와 인지질(燐脂質)의 ph. choline 과 ph. ethanol amine은 climacteric rise와 관련하여 변화(變化)하였다.

  • PDF

만성 알코올 섭취시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흰쥐 간 미토콘드리아 ATPase 활성도와 막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ronic Alcohol Feeding and 2-Acetylaminofluorene Treatment on Hepatic Mitochondrial ATPase Activity and Membrane Lipid Composition in Rats)

  • 김정희;류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67-873
    • /
    • 1995
  •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가 미토콘드리아의 지질조성 및 ATP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간의 발암물질인 2-AAF를 토여하여 간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에 미치는 상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120~125g 숫쥐에게 열량의 35%를 알코올로 공급하여 6주간 사육하였으며 알코올 섭취 4주 후에 2-AAF를 3일 간격으로 2회 복강투여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중 증가, 식이 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대한 알코올의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2-AAF에 의한 유의적인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다. 알코올 섭취군이 대조군 보다 체중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미토콘드리아 ATPase 활성도는 알코올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2-AAF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적이지 않으나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대조군(C)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와 2-AAF투여군(EA)에서 ATPase 활성도가 29.3%의 감소를 나타냈다. 3. 간 미토콘드리아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총 인지질량은 알코올과 2-AAF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알코올 투여군에서만 2-AAF 투여시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보여주었다. C/PL 비율은 알코올 섭취와 2-AAF 투여 보두에서 유의적인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나 군간 비교시 알코올군(E)이 대조군(C)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4. 간 미토콘드리아의 CL량은 알코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S와 PI량은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 섭취로 PC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PE량은 차이가 없엇으며, 2-AAF 투여시 PC량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PE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E/PC 비율은 알코올 투여에 의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감소경향을 나타냈으며, 2-AAF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적인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5. 알코올 섭취시 미토콘드리아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stear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UFA/SFA와 UI는 알코올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AAF 투여에 의해서도 linoleic acid는 감소되고 arachidonic acid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UI값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나타난 ATPase 호라성도 변화는 비토콘드리아의 콜레스테롤변화, C/PL 비율, 인지질 조성이나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 막지질 조성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표고버섯의 지질(脂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s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 로목영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9-427
    • /
    • 1985
  • 삿갓이 완전히 펴진 표고버섯의 부위별(別)에 따른 지질(脂質)의 특성(特性)과, 삿갓이 펴지지 않은 표고버섯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지질(脂質)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삿갓이 펴진 표고버섯의 삿갓부위(部位)의 총지질(總脂質) 함량(含量)은 4.58%이었고 자루부위(部位)는 2.6%이었으며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중성지질(中性脂質)$(46.7{\sim}48.8%)$과 연지질(憐脂質)$(42.0{\sim}43.8%)$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탕지질(糖脂質)은 적었다$(9.2{\sim}9.5%)$. 2.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은 tryacylglycerol이었고 연지질(憐脂質)은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다. 또한 지질산(脂質酸)의 조성(組成)은 각지질(各脂質) 및 부위(部位)에 따라 현격하게 달랐으며 $C_{18:2},\;C_{16:1}$$C_{18:1}$ 지방산(脂肪酸) 순(順)으로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3. 삿갓이 펴지지 않은 표고버섯의 총지질(總脂質)은 2.5%(자루)${\sim}3.7%$(삿갓)이었고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및 카아보닐價(價)는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지질(總脂質)의 산가(酸價)는 일건시료(日乾試料)가 생시료(生試料) 및 열풍건조시료(熱風乾燥試料) 보다 약간 낮았으나 일건시료(日乾試料) 중(中)의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은 다른 시료(試料)보다 높았다. 4. 가장 많은 部分을 차지한 중성(中性) 및 연지질(憐脂質)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의 삿갓이 완전히 펴진 표고버섯과 같았고 탕지질(糖脂質)은 digalactosyldiglycerol이었으며 일건시료(日乾試料)의 연지질중(憐脂質中) phosphatidiyl ethanolamine과 phosphatidyl choline함량은 생시료(生試料) 및 열풍건조시료(熱風乾燥試料)보다 낮았다. 5. 모든 건조시료의 각(各) 지질(脂質) 중(中)의 주요(主要) 지방산조성은 삿갓이 펴진 시료의 경우와 비슷하였고 일건시료(日乾試料)의 $C_{18:2}$ 지방산(脂肪酸)함량은 다른 시료보다 높은 반면 $C_{16:0}$ 지방산은 낮았다. 한편일건시료 중의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열풍건조시료 및 생(生)시료보다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