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rcass quality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29초

거세한우의 혈청 및 간장내 비타민 A 농도와 도체형질간의 상관관계 (Correlated Relationships Between Vitamin A Concentration in Serum and Liver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채성화;정근기;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85-592
    • /
    • 2003
  • 본 연구는 사료 중 비타민 A 농도 조절을 통한 고급육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의 일환으로, 비타민 A가 거세 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한국종축개량협회에서 주관하는 제 4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1999)에 출품된 거세한우 210두와 일반농가 거세한우 118두에 대하여 혈청 및 간장내 비타민 A 농도를 분석하고, 비타민 A 농도와 육질 및 육량 판정 항목들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비육전기 거세한우의 혈중 비타민 A 농도는 평균 212.0$\pm$32.7 IU/$d\ell$ 이었으며, 비육말기 거세한우의 혈중 비타민 A 농도는 117.56$\pm$43.15 IU/$d\ell$를 나타내었으며, 비육말기 거세한우의 간장내 비타민 A 농도는 평균 143.62$\pm$110 IU/g로서 개체별, 지역별, 농가별로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거세한우의 혈청내 비타민 A 농도는 근내지방도(r=-0.24, P<0.01), 등심내 조지방 함량(r=-0.21, P<0.01) 및 육질등급(r=-0.20, P<0.01)과 유의한 부(負)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간장내 비타민 A plamitate는 등심내 조지방 함량(r=-0.18, P<0.01) 및 육질등급(r=-0.16, P<0.05)과 유의한 부(負)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거세한우의 혈청 및 간장내 비타민 A 농도와 근내지방도 및 육질등급간에는 유의한 부(負)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우 고급육 생산시 사료내 비타민 A 함량을 조절함으로서 근내지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거세한우의 사료내 비타민 A의 함량과 급여량 및 급여시기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계속해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도체 등급판정기준 육색등급과 기계적 측정값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arcass Color Grade and Instrumental Values in Pork Loin)

  • 김동준;이도현;이용기;박동원;김갑돈;정은영;서현우;정진연;주선태;양한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33-13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돼지도체 등급 세부기준 중 육색등급과 일반적인 기계적 육색측정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인데, 총 538두의 돼지를 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등급판정 부위인 배최장근(longissimus dorsi)에서 육색등급과 색차계를 이용한 기계적 육색값($L^*$, $a^*$, $b^*$, ${\Delta}C$ and H)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육색측정항목은 모두 육색 등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p<0.05), 특히 명도 $L^*$ value)는 육색 1등급에서 65.2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육색 6등급에서는 45.29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한편 모든 기계적 육색측정치는 축산물품질평가원 기준 육색등급과 부의 상관관계(p<0.001)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명도는 r-value가 -0.8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기계적 육색측정치는 축산물품질평가원 기준 육색등급과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명도는 돼지도체의 등급판정과 육색등급판정에 있어서 유용한 참고항목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박, 무기물® 및 흑설탕® 첨가 급여가 Holstein 거세 비육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Marc, Mineral and Black Sugar® Supplementation on the Production of Holstein Steers (Bos taurus))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3-279
    • /
    • 2021
  • 본 실험은 Holstein 비육후기에 홍삼박, 광물질 및 설탕을 첨가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일당증체량, 육질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로서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급여하지 않는 처리구를 대조구(C), 홍삼박 200g 첨가 급여 구는 T1, 홍삼박 100g과 광물질 50g 첨가 급여구는 T2 그리고 광물질 50g과 흑설탕 20g 첨가 급여한 구를 T3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총 사료섭취량 및 1일 채식량은 T2 및 T3구가 C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채식량이 많았던 T2 및 T3구에서 총 증체량 및 일당 증체량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C구가 다른 구(T1, T2, T3)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p<0.05), T1, T2 및 T3 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및 육량등급은 처리구 상호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근내 지방은 T3(4.5) > T1(4.0) > T2(2.7) > C(2.5)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질등급은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T3 > T1 > T2 > C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경제적 조수익성은 T3 > T1 > T2 > C구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합사료와 조사료 만 급여하는 체계(C) 보다는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첨가 급여(T1, T2, T3)하는 체계가 도체등급 및 수익성 증대에 유리하며, 특히 증체량, 육질등급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T3구가 가장 좋은 급여체계로 나타났다.

Eating Quality Traits of Hanwoo longissimus dorsi Muscle as a Function of End-Point Cooking Temperature

  • Yang, Jieun;Jeong, Dawoon;Na, Chong-Sam;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1-299
    • /
    • 2016
  • Interaction between carcass quality grade and end-point cooking temperature on eating quality of Hanwoo m. longissimus was investigated. Ten (10) of steers were sampled from a commercial population; carcasses with QG 1++ (n=5) and QG 1 (n=5) were chosen. Samples were cooked by electric oven at 60 or 82℃ and compared with uncooked control samples. The pH was not affected by cooking temperature but decreased the redness after cooking and steaks cooked at 60℃ were more reddish than steaks cooked at 82℃ in both QG groups. Higher cooking temperature greatly (p<0.05) increased the cooking lo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ooking temperature and QG on the cooking loss. Moistur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in both QG while the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crude fat and end-point temperature found in QG 1++. WBSF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 for QG 1, while that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increase. The increasing quality grade of beef resulted in significant higher (p<0.01) level of TBARS and cooking temperature increased TBARS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altered by cooking at both temperatures and also the amount of fat intake was not changed.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eating quality of beef m. longissimus was greatly influenced by end-point temperature being interacted with QG. However,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fat were stable regardless of end-point temperatur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consumer reference to determine cooking conditions and intramuscular fat content.

Effects of Dietary Octacosanol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Long, L.;Wu, S.G.;Yuan, F.;Wang, J.;Zhang, H.J.;Qi, G.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470-1476
    • /
    • 2016
  • Octacosanol, which has prominent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functions, has been recognized as a potential growth promoter in animals. A total of 392 1-d-old male Arbor Acres broiler chicks with similar body weight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four dietary groups of seven replicates with 14 birds each supplemented with 0, 12, 24, or 36 mg octacosanol (extracted from rice bran, purity >92%)/kg feed. The feeding trial lasted for six weeks and was divided into the starter (day 1 to 21) and the grower (day 22 to 42) pha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roilers fed a diet containing 24 mg/kg octacosanol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in the overall phase (day 1 to 42, p = 0.042). The average daily gain and FCR both showed linear effects in response to dietary supplementation of octacosanol during the overall phase (p = 0.031 and 0.018, respectively). Broilers fed with 24 or 36 mg/kg octacosanol diet showed a higher eviscerated yield, which increased by 5.88% and 4.26% respectively,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p = 0.030). The breast muscle yield of broilers fed with 24 mg/kg octacosanol diet increased significantly by 12.15%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p = 0.047). Eviscerated and breast muscle yield increased linearly with the increase in dietary octacosanol supplementation (p = 0.013 and 0.021, respectively). Broilers fed with 24 or 36 mg/kg octacosanol diet had a greater (p = 0.021) $pH_{45min}$ value in the breast muscle, which was maintained linearly in response to dietary octacosanol supplementation (p = 0.003).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p = 0.007) in drip loss value between the octacosanol-added and the control groups. The drip loss showed linear (p = 0.004) and quadratic (p = 0.041) responses with dietary supplementation of octacosanol. These studies indicate that octacosanol is a potentially effective and safe feed additive which may improve feed efficiency and meat quality, and increase eviscerated and breast muscle yield, in broiler chicks. Dietary supplementation of octacosanol at 24 mg/kg diet is regarded as the recommended dosage in the broilers' diet.

Variation of Meat Quality Parameters Due to Conformation and Fat Class in Limousin Bulls Slaughtered at 25 to 27 Months of Age

  • Guzek, Dominika;Glabska, Dominika;Pogorzelski, Grzegorz;Kozan, Karolina;Pietras, Jacek;Konarska, Malgorzata;Sakowska, Anna;Glabski, Krzysztof;Pogorzelska, Ewelina;Barszczewski, Jerzy;Wierzbicka, Agnieszk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716-722
    • /
    • 2013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ge of animal, hot carcass weight, pH, conformation and fat class on basic beef quality attributes (tenderness, sarcomere length, basic chemical composition, marbling and colour) in a group of purebred animals. The object of the study was beef of Limousin bulls (25 to 27 months, hot carcass weight - $432{\pm}31$ kg, "U" conformation class, "2"-"3" fat class). Analysed cuts were Infraspinatus muscle from the blade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from the cube roll and the striploin. Tenderness was analysed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 colour - chromometer analysis, sarcomere length - microscopic method, basic chemical composition -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marbling - computer image analysis. No differences in tenderness and sarcomere length were observed within the age groups of Limousin bulls (age of 25, 26, 27 months) (p>0.05). Moisture (p = 0.0123) and fat (p = 0.0250) cont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meat of animals slaughtered at the age of 25 and 27 months. No influence of pH value on tenderness was observed, but at the same time, influence on sarcomere length (p = 0.039) and $b^*$ component of colour (0.045) was found. For "U" conformation class, in subclasses, as well as for fat classes "2"-"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nderness, sarcomere length and colour components. Higher fa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higher fat class, rather than in lower, however this feature was not associated with marbling.

Illite의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과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Illite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 김희윤;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2
    • /
    • 2007
  • 본 시험은 illite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illite를(0, 0.5, 1.0 및 2.0%) 삼원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평균체중 $68.3{\pm}1.6 kg$) 비육돈 48두를 공시한 후 50일간 급여하여 증체량, 사료섭취량, 육등급과 도체율, 육의 pH, 육색, 지방색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illite를 첨가함으로서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도체중량과 도체율 및 등지방두께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A등급 출현율은 illite를 1.0% 첨가함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육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조지방 함량은 illite를 1.0% 첨가할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다. 육의 pH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5.55-5.68로 차이는 없었고 lllite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육색의 명도($L^*$) 값은 낮았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 값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불포화지방산인 palmit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illite 1.0%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illite를 0.5-1.0% 급여함으로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낮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의 영양수준에 따른 재래흑돼지의 산육능력 및 육질비교 (Effect of Nutritional Levels on the Growth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Black Pigs)

  • 최염순;박범영;이종문;채병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9-44
    • /
    • 2008
  •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의 육질특성과 생산성 구명을 통해 소비 및 생산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사료내 에너지(ME, kcal/kg)사이신(%)수준을 달리한 3처리구, 즉 상(H), 중(M), 하(L)로 나누어 사양시험을 한 후 성장 및 육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양시험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에 있어 에너지아이신 수준이 높을수록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고 출하일령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도체성적의 경우 도체율,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살코기 생산량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거세돈이 암퇘지에 비해 등지방이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재래흑돼지 등심육의 일반조성분, 근내지방함량, 근절길이 및 근섬유 비율은 처리구별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근내지방은 영양수준이 높은 H 처리구가 M, L 처리구보다 포화지방산은 높고, 불포화지방산은 낮게 나타났으며, n-3비율은 에너지/라이신 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았으나, n-6/n-3 비율은 영양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근절길이 및 근섬유 비율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영양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근절길이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근 비율은 L처리구가, 백색근 비율은 M 처리구가 각각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sensory evaluation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with fermented cassava leaves

  • Arti Bhavna;Titus J. Zindove;Paul A. Iji;Archibold G. Bakare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7호
    • /
    • pp.1225-1235
    • /
    • 2024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ing fermented cassava leaf meal (FCLM)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sensory evaluation of broiler chickens. Methods: A total of 160 Cobb-500 chickens were used during the phases of growing (21 days of age; initial weight 0.39±0.025 kg/bird) and finishing (35 days of age; initial weight 1.023±0.164 kg/bird). The whole experiment lasted for four weeks. The FCLM was included in starter and finishing diets at 0, 50, 100, and 150 g/kg inclusion levels. Total feed intake (TFI), weight gain (WG), feed conversion ratio, and nutrient digestibility were recorded. Sensory evaluation of breast meat was used to determine the eating quality of the meat prepared using roasting and boiling methods. Results: The TFI and WG decreased (p<0.05) with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FCLM in the diets of growing chickens. Crude protein digestibility for chickens fed 0 and 50 g/kg FCLM was higher (p<0.05) than for chickens subjected to a diet with 150 g/kg FCLM. During the finishing phase, TFI increased linearly (p<0.05) with increasing inclusion level of FCLM in chicken diets, while WG decreased (p<0.05) with inclusion level of FCLM. Treatment diets had no effect (p>0.05) on the eating qualities of breast meat. However, juiciness was significant (p<0.05) for the cooking method and treatment interaction. At 50 g/kg inclusion level, boiled meat had a higher (p<0.05) juiciness score than roasted meat. Tenderness, on the other hand, was significant (p<0.05) for the interaction of gender and treatment. Females considered the boiled meat to be more tender than the males at 150 g/kg inclusion level.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eeth adhesion and fibrousness, flavour and juiciness, and springiness and tenderness. Conclusion: From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FCLM can be used as an ingredient in the diets of broiler chickens. Inclusion level of 50 g/kg can be used in chicken diets during the growing phase, whereas in the finishing phase, inclusion level of 150 g/kg FCLM can be used. The FCLM did not affect the eating quality of breast meat.

현수방법이 한우육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spension method on meat quality of Hanwoo)

  • 황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427-436
    • /
    • 2004
  • 본 연구는 현수방법이 한우 육질에 미치는 영향과 근육간 육질특성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18두 한우 거세우의 좌도체와 우도체를 순차적으로 tendaerstretch(TS) 처리하고, 다음날 양 도체의 longissimus(LD), semimembranosus(SM), tricepsbrachii(TB)을 발골하여 7일 동안 숙성하였다. 관능검사는 한국식 바베큐(BBQ)와 서양식 스테이크(Grill) 방법으로 3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동시에 전단력, 보수력, 가열 감량, 근절길이와 근내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소비자 맛 지수는 도체 육질등급이 높은 경우 LD는 높았으나(P < 0.05), TB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SM은 Grill의 경우에만 높은 듭급이 높은(P < 0.05) 값을 없었다. 이 결과는 높은 도체 육질등급은 LD의 경우 맛이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하나, SM과 TB의 맛은 대변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enderstretch는 TB의 관능 특성 및 물리적 육질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른 근육의 가열 감량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이 현수 방법은 LD와 SM의 근절길이와 맛 지수를 증가(P < 0.05) 시키고 전단력을 감소(P < 0.05) 시켰다. 이 결과는 시료가 7일 동안 냉장 숙성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결체조직의 약화와 관련되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도체 육질등급에 따른 현수방법의 특별한 효과는 대부분 육질 특성에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tenderstretch된 SM의 맛 지수가 처리를 하지 않은 LD와 동하였다. 이 결과는 소비자들이 tenderstretch한 우둔을 불고기 형태로 소비했을 경우 등심과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 맛 지수와 기계적 육질 측정치와의 상관관계에서, LD의 경우 근내지방과 유의적(P < 0.05) 상관관계를 보였고, SM의 경우는 근절길이와 유의적(P < 0.05) 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는 근육에 따라 맛을 대변할 수 있는 예측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SM의 경우 보수력과 가열 감량이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보수력과 가열 감량과의 관계를 잘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근육에서는 높은 상관도가 관찰되지 않았다. 소비자가 느끼는 맛 차이를 포함하여 실험실적 측정요인을 이용한 근육간 별별력 검사를 하였을때 약 77%의 확률에서 분류되었다. 근육간 차이에서 가장 큰 요인은 맛지수였고, 가열 감량과 근절길이도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결과는 전단력 측정의 절대치와 맛과의 관계는 근육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며, 근육간 맛 차이는 전단력보다 가열 감량과 근절길이가 설명력이 높다는 것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Tenderstretch는 우둔과 같은 비인기부위의 맛 지수를 높이는데 유용한 방법이고, 기계적인 육질측정 방법이 국내 소비자 맛 지수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