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yl valu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Stability Test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Amino Acids in Pharmacopuncture Extracted from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 Cho, GyeYoon;Han, KyuChul;Yoon, JinYo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55
    • /
    • 2015
  • Objectives: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S. subspinipes mutilans) is known as a traditional medicine and includes various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The amino acids in the pharmacopuncture extracted from S. subspinipes mutilans by using derivatization method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ver a 12 month period to confirm its stability. Methods: Amino acids of pharmacopuncture extracted from S. subspinipes mutilans were derived by using O-phthaldialdehyde (OPA) & 9-fluorenyl methoxy carbonyl chloride (FMOC) reagent and were analyzed using HPLC. The amino acids were detected by using a diode array detector (DAD) and a fluorescence detector (FLD) to compare a mixed amino acid standard (STD) to the pharmacopuncture from centipedes. The stability tests on the pharmacopuncture from centipedes were done using HPLC for three conditions: a room temperature test chamber, an acceleration test chamber, and a cold test chamber. Results: The pharmacopuncture from centipedes was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of the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KPI) and through quantitative analyses was shown to contain 9 amino acids of the 16 amino acids in the mixed amino acid STD. The amounts of the amino acids in the pharmacopuncture from centipedes were 34.37 ppm of aspartate, 123.72 ppm of arginine, 170.63 ppm of alanine, 59.55 ppm of leucine and 57 ppm of lysine.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 results for the pharmacopuncture from centipedes had a maximum value of 14.95% and minimum value of 1.795% on the room temperature test chamber, the acceleration test chamber and the cold test chamber stability tests. Conclusion: Stability tests on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amino acids in the pharmacopuncture extracted from centipedes by using derivatization methods were performed by using HPLC. Through research, we hop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amino acids in the pharmacopuncture extracted from centipedes.

Biosorption of Lead(II) by Arthrobacter sp. 25: Process Optimization and Mechanism

  • Jin, Yu;Wang, Xin;Zang, Tingting;Hu, Yang;Hu, Xiaojing;Ren, Guangming;Xu, Xiuhong;Qu, Juanju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8호
    • /
    • pp.1428-1438
    • /
    • 2016
  • In the present work, Arthrobacter sp. 25, a lead-tolerant bacterium, was assayed to remove lead(II) from aqueous solution. The biosorption process was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on the Box-Behnken desig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second-order polynomial equation and 3D response surface plots. The biosorption mechanism was explored by characterization of the biosorbent before and after biosorption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9.6 mg/g was obtained at the initial lead ion concentration of 108.79 mg/l, pH value of 5.75, and biosorbent dosage of 9.9 g/l (fresh weight), which was close to the theoretically expected value of 9.88 mg/g. Arthrobacter sp. 25 is an ellipsoidal-shaped bacterium covered with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The biosorption mechanism involved physical adsorption and microprecipitation as well as ion exchange, and functional groups such as phosphoryl, hydroxyl, amino, amide, carbonyl, and phosphate groups played vital roles in adsorp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rthrobacter sp. 25 may be potentially used as a biosorbent for low-concentration lead(II) removal from wastewater.

Comparison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scorbic Acid, and Clove Extract as Antioxidants in Fresh Beef Patties at Refrigerated Storage

  • Zahid, Md. Ashrafuzzaman;Seo, Jin-Kyu;Parvin, Rashida;Ko, Jonghyun;Yang, Han-Su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68-779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amongs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clove extract (CE), and ascorbic acid (AA) as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color values in fresh beef patties. The adding of BHT, AA, and CE to patties significantly restrained lipid oxidation, lowered hue angle as color value, and expanded redness and chroma values of fresh beef pattie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p<0.05). BHT and AA significantly led to impede the protein oxidation of patties by lowering carbonyl content (p<0.05). CE had no negative effect on protein oxidation. The antioxidant effects of BHT, AA, and CE were obviously manifested. Nonetheless, BHT, AA, and CE appeared to have insignificant difference of each other for lowering the protein oxidation at the end of storage. BHT and CE represented lowered lipid oxidation in comparison to AA. The antioxidant effects of BHT, AA, and CE on lipid oxidation were more marked than the effects on protein oxidation. Furthermore, CE as a natural antioxidant evinced the efficiency in oxidative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in fresh beef patties. The study implied that CE could substitute the use of BHT and AA when making beef patties during storage.

산국 잎과 줄기의 유효성분 분리 및 특성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nstituent Compounds from Leaves and Stems of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박숙자;박문기;이종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93-1004
    • /
    • 2019
  •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C. boreale)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n countries, and has traditionally been used to treat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bronchitis. In this study, we aimed to isolate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leaves and stems of C. boreale. Chemical components were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y and recyclic HPLC, and characterized from their spectral data (IR, MS, NMR). Biological activ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Farnesyl-protein transferase (FPTase) activity, apoptosis and nitirc oxide (NO) release. As a results, three sesquiterpene lactones were isolated. Compound 1 (4-methoxy-8-O-acetyl-10-hydroxy-2,11(13)-guaiadiene-12,6-olide) showed strong cytotoxic activities having an average growth inhibition of 50% ($GI_{50}$) value of $1.89{\mu}g/m{\ell}$ against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Compound 1 also showed a low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 of $10{\mu}g/m{\ell}$ for NO release. In the caspase 3 activity, compound 1 and compound 2 (8-O-(2-carbonyl-2-butyl)-3,10-dihydroxy-4,11(13) -guaiadiene-12,6-olide) exhibited 94% and 90% apoptosis inhibition activity, respectively. Compound 3 (4,8-O-diacetyl -10-hydroxy-2(3),11(13)-guaiadiene-12,6-olide) showe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FPTase activity with 90% inhibitory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ell}$. These results clearly show the presence of lactone compounds in the leaves and stems, which may partially contribute to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C. boreale.

유자액 처리에 의한 고등어유와 필렛의 냉장 저장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on Treated Mackerel Oil and Fille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정복미;정규화;장미순;신석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74-579
    • /
    • 2004
  • 유자를 이용하여 등푸른생선인 고등어에 유자 자숙액 및 착즙액을 처리하여 냉장 보관하면서 기름을 추출한 고등어유와 고등어 필렛의 여러 가지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어 필렛를 냉장 보관하면서 25일간의 저장기간별 휘발성 염기질소와 TMA-N를 측정한 결과 유자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1, 2% 처리구와 자숙액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는 유자액 처리구에 비하여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유자액 처리구중 특히 자숙액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고등어유의 과산화물가, 카르보닐가, 산가 및 TBA가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서 대체로 저장기간이 실험 시작 시에 비해 25일 후에는 급격히 증가하는데 비하여 유자액 처리구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자숙액 처리구에서 더욱 완만하게 나타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자숙액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 대조구와 2%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1% 처리구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 자숙액 처리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간 고등어 제조 시 유자액 처리는 고등어의 산패를 감소시키고, 비린내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유자 자숙액 처리군이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유자 자숙액 대신 착즙액 처리 시 1%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조리냉동식품의 가공 및 저장중 품질안정성 : (Ⅳ) 고등어버어거의 동결저장 안정성 (Processing and quality stability of precooked frozen fish foods : (Ⅳ) Quality stability of mackerel based burger during frozen storage)

  • 이응호;김진수;안창범;주동식;이정석;손광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58-63
    • /
    • 1993
  • 고등어버어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동결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조직후 고등어버어거의 수분함량 및 조지방함량은 각각 $60.2{\sim}61.5%,\;14.7{\sim}14.9%$ 범위이었다. 저장중 세 제품 모두 pH는 다소 감소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약간 증가하였다. 고등어버어거의 제조직후 histamine함량은 $2.60{\sim}2.81\;mg/100g$ 범위이었고, 저장중 약간씩 증가하여 저장 60일에는 $5.24{\sim}9.28\;mg/100g$이었으나 세 제품 모두가 식중독 한계값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었다. 동결저장중 고등어버어거의 과산화물값, 카르보닐값, TBA값, 지방산조성 및 색조는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과 진공포장한 제품이 함기포장한 대조제품보다 변화폭이 적었다. 텍스튜어는 저장중 경도와 질김성은 증가하였고, 탄성과 응집력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관능검사의 결과 저장중 색조, 냄새, 조직감 및 맛은 저하하였고 그 저하폭은 항산화제 첨가제품이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진공포장한 제품의 순이었으며, 두 제품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함기포장한 대조제품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고등어버어거 제조시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여 제조하거나 진공포장함으로써 가공 및 저장중 지질산패 및 산화변색과 같은 저장중 품질변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패류 건제품의 저장 중 지질산화 (Lipid Oxidation in Dried Shellfish during the Storage)

  • 조호성;조태용;이강호;이남걸;주동식;김경업;이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4-598
    • /
    • 1998
  • 패류 건제품의 지질산화는 주로 단백질과의 상호반응에 의해 변색, 산패취 등을 일으키며 또한 산화로 인해 hydroperoxide나 불포화 aldehyde 등과 같은 독성물질을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건제품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지질과 단백질의 반응에 의한 품질저하는 상품가치의 저하는 물론 영양가 손실 등을 야기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 패류 건제품의 저장온도 ($4{\pm}2^{\circ}C$$25{\pm}2^{\circ}C$)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을 지질산화생성물과 단백질 등의 amino 화합물과의 반응정도를 조사하였다. 산가의 변화는 홍합이나 바지락 모두 $2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4^{\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높았으며 또한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바지락이 홍합보다 다소 높았다. 그러나 생성된 유리지방산은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과산화물가는 $25^{\circ}C$ 저장구의 경우 홍합 및 바지락이 각각 저장 60일과 3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4^{\circ}C$ 저장구에서는 120일간의 저장기간 중 과산화물이 분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축적되었다. TBA가와 카르보닐가는 홍합의 경우 $4^{\circ}C$ 저장구가 저장 30일경에만 $25^{\circ}C$ 저장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을 뿐 그 이후는$25^{\circ}C$ 저장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바지락도 $4^{\circ}C$ 저장구가 $25^{\circ}C$ 저장구보다 다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아미노질소의 함량은 두 제품모두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감소폭이 컸다. 형광강도는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그리고 바지락이 홍합보다 높았으며, 저장 60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저장 온습도가 땅콩의 흡습 및 산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Water Adsorption and Rancidity of Peanuts)

  • 고하영;권용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2
    • /
    • 1989
  • 생 및 볶은 땅콩의 흡습특성 및 산패를 온도 $25-60^{\circ}C$와 습도 11-85%RH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모든 습도 조건에서 땅콩 50g이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시간은 온도 $40^{\circ}C$에서 14일, 온도 $25^{\circ}C$에서 30일이 소요되었다. 건물기준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생땅콩이 $2.19{\sim}2.69%$이었으며, 볶은 땅콩이 $2.47{\sim}2.67%$이었다. 땅콩의 산패속도는 온도나 습도보다 땅콩의 상태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서, 생땅콩은 볶은땅콩에 비해 $a_W\;0.51$의 경우 과산화물가(POV)의 0차반응상수 K값은 $25^{\circ}C$$40^{\circ}C$에서 $0.032day^{-1}$$0.142day^{-1}$ 로 매우 낮은 상태이나, 볶은 땅콩은 같은 조건에서 $0.663day^{-1}$$1.120day^{-1}$$8{\sim}21$배 높게 나타났다. 산패와 기호도향과의 직선회귀식을 이용하여 볶은 땅콩의 저장 한계 POV 및 카아보닐가(CV)를 조사한 결과 $60^{\circ}C$, $0.51a_w$에서 15.0meq/kg 및 4.7meq/kg 으로 나타났다.

  • PDF

시판 마른 멸치의 종류에 따른 지방산 함량 (Fatty Acid Content of Five Kinds of Boiled-Dried Anchovies on the Market)

  • 이응호;오광수;이태헌;정영훈;김세권;박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3-186
    • /
    • 1986
  • 수산식품의 가공 및 저장중 지방질성분의 변화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서 tricosanoic acid (23:0)를 내부표준물질로 하여 시판 마른멸치의 지방산을 측정하였다. 시판 마른멸치의 조지방질함량은 대멸 $16.9\%$, 중멸 $12.5\%$, 소멸 $9.5\%$, 자멸 $8.7\%$ 및 세멸이 $7.6\%$이었다. 마른멸치의 산값은 $14.9{\sim}20.1$, 과산화물값은 $22.4{\sim}89.8meq/kg$ lipid, 카아보닐값은 $14.7{\sim}49.6meq/kg$ lipid의 범위로서 마른멸치의 개체가 커질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다. 각 마른멸치제품의 지방산함량은 지방질 1g당 23:0의 mg 수로 나타내었을때 대멸이 562.8mg, 중멸 572.2mg, 소멸 542.8mg, 자멸 587.7mg 및 세멸이 568.8mg이었고, 함량이 많은 지방산은 16:0, 16:1, 22:6, 18:1, 20:5 및 14:0 등이었다.

  • PDF

기류건조기를 이용한 고수분 석탄의 건조 특성 (Drying Characteristic of High Moisture Coal using a Flash Dryer)

  • 김상도;이시훈;임영준;최호경;임정환;전동혁;유지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06-111
    • /
    • 2012
  • 5 kg/hr 벤치규모 기류건조기를 이용한 고수분 석탄의 건조 특성을 알아보았다. 도착시료 기준으로 원료 석탄의 수분 함량 및 발열량은 각각 29.74 wt%, 4,270 kcal/kg이다. 가스유입온도 및 가스유입속도는 각각 $400{\sim}600^{\circ}C$ 및 10~20 m/sec이다. 원료 석탄의 입자크기는 $100{\sim}2,000{\mu}m$로 분쇄 및 분급하였다. 원료석탄의 수분제거율은 가스유입온도는 증가하고 가스유입속도는 감소할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건조석탄의 발열량은 5,100~5,900 kcal/kg으로 증가하였다. 기류건조를 통한 고수분 석탄 표면에서의 발생하는 화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FT-IR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록실, 카르복실 및 카보닐 피크에서 주요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