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ray treatment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feed restriction on the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of broiler breeders

  • da Silva Teofilo, Guilherme Ferreira;Lizana, Rony Riveros;de Souza Camargos, Rosiane;Leme, Bruno Balbino;Morillo, Freddy Alexander Horna;Silva, Raully Lucas;Fernandes, Joao Batista Kochenborger;Sakomura, Nilva Kazu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5호
    • /
    • pp.690-697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d libitum and restricted feeding regimen on fasting heat production (FHP) and body composition. Methods: Twelve Hubbard broilers breeders were selected with the same body weight and submitted in two feeding regimes: Restricted (T1) with feed intake of 150 g/bird/d and ad libitum (T2). The birds were randomly distributed on the treatments in two runs with three replications per treatment (per run). The birds were adapted to the feed regimens for ten days. After that, they were allocated in the open-circuit chambers and kept for three days for adaptation. On the last day, oxygen consumption (VO2)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VCO2) were measured by 30 h under fasting. The respiratory quotient (RQ) was calculated as the VCO2/VO2 ratio, and the heat production (HP) was obtained using the Brower equation (1985). The FHP was estimated throughout the plateau of HP 12 hours after the feed deprivation. The bod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canning at the end of each period. Data were analyzed fo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Minitab software. Results: The daily feed intake was 30 g higher to T2 (p<0.01) than the T1. Also, the birds of the T2 had significatively (p<0.05) more oxygen consumption (+3.1 L/kg0.75/d) and CO2 production (+2.2 L/kg0.75/d). That resulted in a higher FHP 359±14 kJ/kg0.75/d for T2 than T1 296±17.23 kJ/kg0.75/d. In contrast, the RQ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with an average of 0.77 for the fasting condition. In addition, protein and fat composition were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 while a tendency (p<0.1) was shown to higher bone mineral content on the T1. Conclusion: The birds under ad libitum feeding had a higher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but their body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compared to restricted feeding.

울산 하대고분 출토 민고리자루칼의 재질 특성과 환두부 제작 방법 (Metallurg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Ring-Pommel Sword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Hadae, Ulsan)

  • 조하늬;김한슬;유하림;이재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7-212
    • /
    • 2020
  • 울산 하대유적에서 출토된 민고리자루칼을 방사선 비파괴조사와 미세조직 분석으로 환두부의 제작 방법과 재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사선 비파괴 조사법으로(X-ray, CT) 내부 구조를 확인한 결과, 제작 방법의 기본형식은 철 단일 소재로 칼 끝부터 환두부까지 일체형으로 제작한 단조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세조직 분석을 통해 살펴 본 제작기술은 '순철-형태가공, 순철-형태가공-침탄, 강-형태가공-담금질'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민고리자루칼 5점 중 4점의 환두부는 약 0.7% 내외인 공석강 정도의 탄소 함량을 가진다. 특히 환두부에서는 손잡이보다 증가된 탄소함량을 보이는데, 이는 손잡이 끝 부분을 세장한 형태로 만들고 둥글게 구부리는 과정에서 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침탄 처리의 결과로 추정된다. 길이 60 cm 이하의 민고리자루칼 1점은 날 부위에 집중시킨 담금질을 통해 강한 인성을 부여하여 무기로서의 용도를 극대화시켰다. 반면 75 cm를 넘는 4점의 날 부위에서는 담금질 조직인 마르텐사이트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칼등 대비 날 부위의 탄소함량 증가나 결정립의 미세화는 실용기로서 사용이 가능했음을 보여준다. 2C말에서 4C초로 편년되는 울산 하대고분군 출토 민고리자루칼은 단조기술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였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제강, 열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칼이 가지는 용도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제작하였다.

해학반도도 채색안료에 대한 비파괴 특성 분석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the Pigments on the Korean 12-fold scheen, Haehakbando-do)

  • 김규호;송유나;임덕수;송정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8호
    • /
    • pp.121-147
    • /
    • 2007
  • A large variety of mineral pigments has been used for Korean paintings and it has known that organic pigments have been used together on the Buddhist painting and the portrait. Haehakbando-do, which is from Honolulu Academy Museum in the United States, 12-fold screen was commissioned by Cou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order to pray for the King's longevity. Therefore, it seems that all material used including pigments were selected very carefully and a great deal of technical effort was gone into its proces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stimate the pigments and the contributory elements of each color used on Haehakbando-do, in accordance with the conservation treatment carried out by Gochang Conservation Institute throughout last year. Without extracting sample, property of pigment was measured by nondestructive method, X-ray spectral analysis, and by comparing with the data about ancient pigments. In spite of the limited range of pigment analysis by nondestructive method,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method would not cause damage to the cultural properites. White pigment was found in all colored parts except the background, so it can be suggested that white color was used as a grounding of other color pigments. This would be flake white[$2PbCO_3{\cdot}Pb(OH)_2$] as Pb was found. Pb was the only element could be found in yellow, however, it can be organic pigment like Gamboge as same as background. Red would be Cinnabar (HgS) as hydrargyrum (Hg) was detected. For the light purple in cloud, organic pigments were probably used since any element is not detected except for Pb, which is used for background. It is possible that green color is the mixture of Malachite[$CuCO_3{\cdot}Cu(OH)_2$] and Azurite [$2CuCO_3{\cdot}Cu(OH)_2$], which share Cu as their main element. Azurite[$2CuCO_3{\cdot}Cu(OH)_2$] was used for bluish pigments. Black is carbon compound. For gold, solid gold (Au) was detected. It shows that gold was gilded on the flake white background. Red painted on the frame of screen was identified as Cinnabar (HgS) and the gold pattern was solid gold (Au). The supporting leg of folding screen was made of brass because both copper and zinc were detected. In conclusion, white pigment was used as grounding of all colors of Haehakbando-do, and specific pigments were used for each color. Additionally, result from the analysis of several pigments shows that mineral pigment and organic pigment, or different mineral pigments were mixed to make various colors.

  • PDF

부여 응평리 출토 백제 사비기 인골 보존처리 및 과학적 분석 (Conserv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of Human Bone Excavated in Sabi Period of Baekje from Eungpyeong-ri, Buyeo)

  • 김미정;이윤섭;조은민;박수진;문민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305-321
    • /
    • 2022
  • 부여 응평리 석실묘는 두 개체를 합장한 형태로 피장자 간의 상관관계 및 석실묘의 성격에 대해 조사하였다. 부여 응평리 석실묘는 지리적 입지·공반유물·출토인골을 통해 백제 사비기에 위계가 있는 도성민 혹은 지방관료로 추정할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골 특성에 적합한 수습 및 보존처리와 함께 과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현장에서 출토되는 인골 수습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과학적 분석용 시료를 제외한 잔존 뼈들에 대한 강화제의 종류와 농도이다. 부여 응평리 인골의 경우 paraloid B-72를 사용하였으며 현장에서 강화 처리 시 사용했던 약품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표면의 이물질 제거·강화·접합 등 최소한의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토양의 영향으로 인골의 외부 형태 식별이 어려운 경우 X-ray와 CT촬영 자료를 활용하였다. 안정동위원소와 DNA분석을 수행하기 앞서 근적외선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시료 채취 부위를 선정하였다. 인골의 콜라겐을 이용하는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의 경우 콜라겐의 수율이 3.8~6.1%로 나타났으며 안정동위원소비는 EBW, EBE 개체 각각 δ13C -18.3‰±0.1‰, -19.0‰±0.1‰이고, δ15N 10.7‰±0.5‰, 10.6‰±0.1‰로 확인되었다. 두 개체는 C3 식물을 위주로 약간의 잡곡류를 함께 섭취했고, 단백질은 육상 동물로부터 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두 개체의 데이터 편차가 근소하여 유사한 식이를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DNA 분석의 경우 증폭이 불가능하여 결과를 얻기 어려웠으며 이는 시료의 보존상태 등을 연관 지어 보았을 때 DNA가 극미량으로 잔존하여 증폭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여 응평리 유적 석실묘에서 출토된 인골의 경우 안정동위원소분석 및 DNA 분석과 근적외선 분석의 연관성은 도출하기 어려웠으며 뼈의 보존상태 평가를 위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리보핵산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의 개발 (Developme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with High RNA Content)

  • 김재식;김진욱;심원;민병철;김정완;박관화;백운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65-474
    • /
    • 1999
  • 식용 단백질 생산 균주인 S. cerevisiae ATCC 7754에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핵산 함량이 높으면서도 성장 속도가 빠른 고핵산 축적 균주를 선별하였고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7754는 pH $3{\sim}4$에서 최대 활성을 보이는 산성 RNase와 pH 9에서 최대활성을 보이는 알칼리성 RNase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산성 RNase의 활성이 훨씬 높았다.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7754의 RNase는 금속염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데 산성 RNase의 경우는 $0.08\;M\;HgCl_2$에 의하여 활성이 크게 저하되었고, 알칼리성 RNase경우는 2.0 M NaCl이나 KCl에 의하여 활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반면 알칼리성 RNase는 $0.05\;M\;CaCl_2$, $0.02\;M\;ZnSO_4$, $0.008\;M\;HgCl_{2}$에 의하여 활성이 증가되었다. Ethylmethane sulfonate, 자외선, 감마선을 이용한 돌연변이를 통하여 핵산 축적능이 뛰어난 KCl 감수성 균주를 선발하고 YPD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건조 균체량과 리보핵산 함량을 측정하여 건조 균체 단위 무게당 리보핵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B24 균주를 고핵산 변이주로 선택하였다. B24 균주는 모균주와 비슷한 증식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pH $4.5{\sim}5.5$에서 성장이 잘 되었고 리보핵산 축적은 pH 4.5와 5.0에서 가장 잘 일어났으며, 또한 탄소원으로 당밀을 사용한 경우가 세포 내에 리보핵산이 가장 많이 축적되었고 균의 생육도 빠름을 알 수 있었다. 발효기를 이용한 유가식 배양에서는 배양 초기에 균체내 리보핵산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정지기까지 서서히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리보핵산 함량이 균체 건물량의 19.8%(w/w)로 모균주의 16.1% (w/w)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이때 최대 69.6 g/L(건물량)의 균체를 수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