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metastasis

검색결과 2,630건 처리시간 0.027초

In vitro와 ex vivo 혈관신생 모델에서 황련 냉수추출물의 신생혈관 억제효과 (Antiangiogenic Activity of Coptis chinensis Franch. Water Extract in in vitro and ex vivo Angiogenesis Models)

  • 김억천;김서호;이진호;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8-88
    • /
    • 2017
  • 혈관신생, 즉 새로운 혈관형성은 종양의 성장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암 치료에 중요한 목표물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황련 냉수추출물의 혈관신생 억제작용의 효과를 밝히고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Ex vivo rat aortic ring assay 실험결과 신생혈관성장을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이것을 통해 황련 냉수추출물이 혈관신생과정의 주요한 단계와 내피세포의 증식, 이동, 침투, 혈관내피세포자극인자에 의한 반응으로 모세관 모양의 관 형성작용을 억제함을 알아내었다. 또한 황련 냉수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주기가 억제되고 VEGF에 의한 반응으로 인해 G0/G1 주기에서 S 주기로 가는 과정을 예방하고, VEGF에 의해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2, MMP-9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결과는 황련 냉수추출물이 종양의 발달 단계 중 혈관신생을 방해하는 잠재적인 항암약물의 소재로 고려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Gamma Knife Radiosurgery Using Co-Registration with PET-CT and MRI for Recurrent Nasopharyngeal Carcinoma with Previous Radiotherapy : A Single Center 14-Year Experience

  • Lee, Chaejin;Park, Seong-Hyun;Yoon, Sang-Youl;Park, Ki-Su;Hwang, Jeong-Hyun;Hwang, Sung-Ky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3호
    • /
    • pp.397-405
    • /
    • 2020
  • Objective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efficacy of Gamma Knife radiosurgery (GKS) for recurrent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in patients who previously underwent radiotherapy, and analyzed the treatment outcomes over 14 years. Methods : Ten patients with recurrent NPC who had previously received radiotherapy underwent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Gamma Knife® (Elekta Inc, Atlanta, GA, USA) between 2005 and 2018. The median target volume was 8.2 ㎤ (range, 1.7-17.8), and the median radiation dose to the target was 18 Gy (range, 12-30).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8 months (range, 6-76 months). Overall and local failure-free survival rates were determin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 The NPCs recurred at the primary cancer site in seven patients (70%), as distant brain metastasis in two (20%), and as an extension into brain in one (10%). The recurrent tumors in seven of the 10 patients (70%) were found on the routine follow-up imaging studies. Two patients presented with headache and one with facial pain. Local failure after GKS occurred in five patients (50%) : two of whom died eight and 6 months after GKS, respectively. No adverse radiation effects were noted after GKS. The 1- and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after GKS were 90% and 77%, respectively. The local failure-free survival rates at 6 months, 1 year, and 3 years after GKS were 80%, 48%, and 32%, respectively. The median interval from GKS to local failure was 8 months (range, 6-12).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using co-registration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ocal failure rate of recurrent NPC (p=0.027). Conclusion : GKS is an acceptable salvage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recurrent NPC who previously received radiation therapy. PET-CT and MRI co-registration for dose planning can help achieve local control of recurrent NPC.

피지선 모반에서 동시에 발생한 편평세포암과 기저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and Basal Cell Carcinoma Simultaneously Arising in a Nevus Sebaceus: A Case Report)

  • 박현민;이동근;신경진;윤태영;이지연;성노현;송형근;이동욱;이의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883-885
    • /
    • 2011
  • Purpose: Nevus sebaceus is a congenital hamartomatous lesion, typically involving head and neck. Various benign and malignant neoplasms can develop in association with nevus sebaceus. We report a case of simultaneous occurrenc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nd basal cell carcinoma in nevus sebaceus. Methods: A 73-year-old man presented with erythematous to black verrucous nodules on the right subauricular area. The upper part was accompanied with inflammation and ulceration, and no specific findings suspicious for malignant degeneration were found in the lower part preoperatively. The mass was totally excised and the defect was directly closed. Lymph nodes were not involved on concomitant neck dissection. Results: Histopathologic examination confirmed the presence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upper part and basal cell carcinoma in the lower part of a nevus sebaceus. Negative margins were achieved on resection. No clinical problems were found during the 3-month follow-up period. Conclusion: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simultaneous occurrenc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nd basal cell carcinoma within the same nevus sebaceus. Because patients with nevus sebaceus have risk of malignant changes, surgical excision and work-up for recurrence and metastasis should be considered in suspicious cases. And even in a totally asymptomatic case, the possibility of occult secondary cancer should be informed before surgery in aged patients.

간암세포주에서 상피간엽전환억제를 통한 Silymarin의 침윤 및 전이 억제 효과 (Silymarin Attenuates Invasion and Migr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Huh7 Cells)

  • 김도훈;박소정;이승연;윤현서;박충무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37-344
    • /
    • 2018
  • 발생하는 간암 중 가장 주요한 형태인 간세포암은 강한 전이특성으로 인해 높은 재발율과 사망률을 보인다. Silymarin은 엉겅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여러 암세포주에서 상피간엽전환(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lymarin이 EMT의 조절을 통해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wound healing assay와 in vitro invasion assay를 시행하였고 EMT 관련 유전자와 상위 신호전달물질의 발현 분석을 위해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ilymarin은 농도 의존적으로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였다. EMT 관련 유전자 중 세포 부착 단백질인 E-cadherin은 증가하였으나, 중간엽세포의 지표인 vimentin, 종양미세환경 조절에 관여하는 MMP-9의 발현은 억제되었고 이들의 활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nail과 nuclear factor $(NF)-{\kappa}B$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신호전달물질 중 silymarin은 phosphoinositide-3-kinase (PI3K)/Akt의 인산화 억제를 통해 EMT 관련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selective inhibitor인 LY294002의 처리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ilymarin은 PI3K/Akt 경로를 통해 EMT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silymarin이 간세포암의 전이 억제에 효과적인 항암물질의 후보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rognostic factors in children with extracranial germ cell tumors treated with cisplatin-based chemotherapy

  • Kim, Jinsup;Lee, Na Hee;Lee, Soo Hyun;Yoo, Keon Hee;Sung, Ki Woong;Koo, Hong Hoe;Seo, Jeong-Meen;Lee, Suk-K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10호
    • /
    • pp.386-391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in children with extracranial germ cell tumors (GCTs)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Sixty-six children diagnosed with extracranial GCTs between 1996 and 2012 were included in the study. Primary treatment was surgical excision, followed by six cycles of cisplatin-based chemotherapy. The survival rat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Germ Cell Cancer Cooperative Group classification used for GCTs in adults to validate the classification guidelines for GCTs in children. Results: The median patient age was 4.4 years. In 34 patients (51.5%), the primary tumor site was the gonad. Extragonadal GCTs were detected in 32 patients. The 5-year overall survival and event-free survival (EFS) were $92.0%{\pm}3.5%$ and $90.4%{\pm}3.7%$,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tumor histology, metastasis, and elevated alpha-fetoprotein were not prognostic factors in children with extracranial GCTs. However, EFS was poorer in patients with mediastinal disease (n=12, $66.7%{\pm}13.6%$) than in those with nonmediastinal disease (n=54, $96.0%{\pm}2.8%$) (P=0.001). The 5-year EFS was lower in patients older than 10 years, (n=21, $80.0%{\pm}8.9%$) compared with those younger than 10 years (n=45, $95.2%{\pm}3.3%$) (P=0.04).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the mediastinal tumor site 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Conclusion: The prognosis of children with extracranial GCTs was favorable. However, nongerminomatous mediastinal tumors were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in childre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rognosis of children with malignant mediastinal GCTs.

다발성 폐 양성 전이성 평활근종 (Multiple Pulmonary Benign Metastasizing Leiomyoma)

  • 사영조;심성보;윤형규;유창영;문영규;박재길;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77-781
    • /
    • 2008
  • 양성 전이성 평활근종은 조직학적으로 양성 종양의 소견을 보이나 임상적으로 폐나 다른 장기로 전이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2개월간 지속된 기침을 주소로 입윈한 53세의 여자환자에서 좌우 다발성으로 퍼져 있는 폐결절들을 가진 전이성 평활근종 1예를 경험하였다. 증례는 과거력상 13년전 자궁근종으로 전자궁적출술을 받았으며, 자궁근종은 병리조직 검사상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었었다. 환자는 전이성 폐암 의심 하에 흉강경 폐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폐 결절들은 낮은 세포 분열을 보이는 양성 종양의 소견을 보이며, 평활근 세포의 다발성 결절들로 이루어져 병리학적으로 양성 전이성 평활근종과 일치하는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현재 별다른 치료 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Preliminary results of entire pleural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n a neoadjuvant setting for resectable malignant mesothelioma

  • Hong, Ji Hyun;Lee, Hyo Chun;Choi, Kyu Hye;Moon, Seok Whan;Kim, Kyung Soo;Hong, Suk Hee;Hong, Ju-Young;Kim, Yeon-Sil;Multidisciplinary Team of Lung Cancer in Seoul St. Mary's Hospita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01-10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multimodality treatment with neoadjuvan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resectable clinical T1-3N0-1M0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PM).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eleven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between March 2016 and June 2018 were reviewed. Patients received 25 Gy in 5 fractions to entire ipsilateral hemithorax with helical tomotherapy. Results: All of patients were men with a median age of 56 years. Epithelioid subtype was found in 10 patients. All patients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with pemetrexed-cisplatin regimen. Ten patients (90.9%) completed 25 Gy/5 fractions and one (9.0%) completed 20 Gy/4 fractions of radiotherapy. IMRT was well tolerated with only one acute grade 3 radiation pneumonitis. Surgery was performed 1 week (median, 8 days; range, 1 to 15 days) after completing IMRT. Extrapleural pneumonectomy was performed in 4 patients (36.3%), extended pleurectomy/decortication in 2 (18.2%) and pleurectomy/decortications in 5 (63.6%). There was no grade 3+ surgical complication except two deaths after EPP in 1 month. Based on operative findings and pathologic staging, adjuvant chemotherapy was delivered in 7 patients (63.6%), and 2 (18.2%) were decided to add adjuvant radiotherapy. After a median follow-up of 14.6 months (range, 2.8 to 30 months), there were 3 local recurrence (33.3%) and 1 distant metastasis (11.1%). Conclusion: Neoadjuvant entire pleural IMRT can be delivered with a favorable radiation complication. An optimal strategy has to be made in resectable MPM patients who would benefit from neoadjuvant radiation and surger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look at long-term outcomes.

중증 폐기종 환자에서의 폐용적 감축술, 7례 (Lung Volume Reduction Surgery in Patients with Severe Emphysema, 7 cases)

  • 진웅;이선희;김시훈;왕영필;조규도;박재길;곽문섭;김세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43-548
    • /
    • 1999
  • 배경: 폐용적 감축술은 말기 폐기종환자의 치료에 폐장이식의 대치술 혹은 전단계 시술로 최근 이용되고 있는 술식이다. 또한 심한 폐기종환자에서 종양이 동반되는 경우, 종양절제술과 동반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폐종양 절제술을 동시 시행한 2례를 포함하여 7례의 폐용적 감축술후 평균 21개월간의 추적 관찰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흉부외과에서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6월까지 수술당시 폐 종양이 의심되었던 환자 2례를 포함하여 만성폐기종환자 7명에서 폐용적 감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검사는 3개월, 6개월, 1년, 2년에 각각 시행하였으며 현재까지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후 사망은 술후 13개월에 뇌 전이를 동반한 평편상피암이 좌상엽에서 발견된 환자 1례에서 있었다. 나머지 6례의 환자는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 중으로 현재까지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결론: 폐용적 감축술은 심한 폐기종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며 앞으로 적절한 적응증이 확인되고 장기성적이 보고되는 등의 계속적인 연구 결과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폐 기능의 여유가 없는 폐기종환자의 초기 폐종양치료에 술후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하여 종양절제술과 동시에 폐용적 감축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연부 조직 육종에 대한 무계획적 절제술: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결과 (Unplanned Excision of Soft Tissue Sarcoma: Patient Profile and Treatment Outcomes)

  • 이재후;조용진;김승현;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2-77
    • /
    • 2012
  • 목적: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라는 의심 없이 무계획적으로 절제한 후 육종으로 판명되어 전원된 환자에서 임상적 특징과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성 연부 종양이라고 판단하고 절제한 후 육종으로 판명되어 본원으로 전원된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환자들의 연령, 성별, 종양 크기, 위치, 깊이, 최초 수술 전 예상되었던 진단명, 의뢰된 의료기관, 조직학적 진단명, 무계획적 절제술과 재절제 수술의 간격, 최종 추시 시 재발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 19명 여자 12명이었으며, 평균 48세(17-75세)였다. 종괴의 위치는 상지가 6예, 하지가 17예, 체간이 8예였으며, 평균 6개월(1-24개월)의 증상 지속기간을 보였다. 종괴가 천층에 위치한 경우와 깊이 위치한 경우는 각각 8예, 22예였다. 무계획적 절제술과 재절제 술까지 소요 기간은 평균 5주(2주-1년)이었다. 최종 추시 시 국소 재발은 2예에서 발견되었으며, 폐전이를 포함한 타장기 전이는 모든 예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무계획적 절제가 종합 병원 급 상급 의료 기관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심부에 위치한 비교적 큰 종괴에 대해서는 술 전 충분한 영상 검사 및 조직 검사 후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올리고 마이크로어래이를 이용한 활성화된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사 (DNA Microarray Analysis of the Gene Expression Profile of Activ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김선용;오호균;이수영;남석우;이정용;안현영;신종철;홍용길;조영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74-881
    • /
    • 2004
  • 혈관 신생은 암의 성장 및 전이뿐만 아니라 염증, 관절염, 건성, 동맥경화 등의 병적인 진행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신생 억제를 통한 암의 치료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혈관 신생 시 내피세포의 증식, 이동을 유도하는 활성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내피세포를 배양하여, 각종 growth factor가 풍부한 배지에서 활성화 시켰을 때, 그렇지 않는 세포들과의 유전자 발현 형태를 비교 조사하였다. HUVEC을 70∼80% cofluency로 배양시킨 후에 endothelial cell growth supplement (ECCS), 20% fetal bovine serum, heparin이 첨가된 Ml99 배지에서 13 시간 활성화시킨 세포(AHUVEC)와 대조군 세포(RHUVEC)로부터 분리한 total RNA로부터 CDNA를 제작하였고, 이것을 18,864 개의 유전자가 올려져있는 인간 올리고 칩과 hybridization 반응을 시켰다. 반응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random clustering분석을 실시한 결과, 활성화 시켰던 HUVEC과 그렇지 않은 HUVEC으로 dendrogram 상에서 두개의 subgroup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소 2배 이상 발현 변화가 있는 유전자 122종이 활성화 시켰던 HUVEC으로부터 추출되었다. 이중에서 기능이 알려진 32 개의 유전자는 활성화시킨 HUVEC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38 개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세포 증식과 이동, 염증, 면역반응에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반면에 세포 흡착과 혈관 조직과 기능에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예상외로 규명이 잘된 혈관신생 인자와 관련한 유전자들의 발현에는 크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Eph-B4의 발현은 약 4 배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2배 이상 발현에 차이를 보이고 기능이 알려져 있지 않은 유전자 52종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새로운 혈관 표적 물질 개발에 대한 기회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