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bial activit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천안시 가로수의 생리적 특성과 형성층 전기저항치에 관한 연구1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ambial Electrical Resistance of Street Trees in Cheonan City)

  • 송근준;한심희;하태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4
    • /
    • 2002
  • 천안시내에 식재된 가로수의 건강도를 진단하기 위하여 몇 가지 생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형성층 전기저항치와 생리적 특성들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은행나무, 벚나무, 버드나무를 대상수종으로 선정하였고. 7월에 대상 수종의 하부 토양을 채취하여 탈수소효소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수관의 잎은 엽록소 함량, 질산환원 효소, 항산화효소(SOD) 활성을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수목의 형성층 전기전항치는 5월, 7월, 9월에 측정하였다. 토양의 탈수소효소 활성은 도심지역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 토양 오염도를 반영하였으며. 엽록소 함량은 동서대로에 식재된 벚나무가 가장 낮았다. 은행나무의 질산환원효소 활성은 다른 수종보다 높았으며 도심지역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은 도심에서 낮았다. 동서대로의 벚나무는 형성층 전기저항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활력을 상실하였음을 보여주었다. 형성층 전기저항치는 질산환원효소($r^2$=-0.566) 및 SOD활성($r^2$=0.579)과 상관을 보임으로써 수목의 건강도 및 생리적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 수종의 연륜형성(I) - 형성층 활동기간에 관하여 - (Annual Ring Formation of Major Wood Species Growing in Chuncheon, Korea(I) - The Period of Cambium Activity -)

  • 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4호통권132호
    • /
    • pp.1-8
    • /
    • 2005
  •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수종의 생장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형성층 분열기 및 형성층의 휴지기를 조사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는 3월 중순~하순에 형성층 활동이 시작되었다. 5월 하순에서 7월 중순 사이에 형성층 세포의 분열이 활발하였고, 이 때 잣나무의 세포 수가 소나무의 세포 수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환공재인 신갈나무와 아까시나무의 형성층 분열은 3월 중순경에 개시되었으며 동시에 도관 형성이 시작되었다. 산공재인 층층나무와 산벚나무의 형성층은 4월 초에 분열을 개시하였고 도관은 이보다 1~3주일 늦게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형성층 활동이 멈추는 시기는 침엽수 11월 초순경, 활엽수 10월 중순경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형성층의 활동은 동일한 환경조건에서도 수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사리삼 지하경의 유관속 분열조직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Vascular Meristems in the Rhizome of Botrychium ternatum)

  • 소웅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57-362
    • /
    • 1993
  • 고사리삼의 지하경에서 2기생장의 기원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형성층으로부터 유관속 형성층의 분화과정을 미세구조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유관속 형성층은 종자식물에서와 같이 전형성층으로부터 점진적인 분화과정을 거쳐서 기원되지만, 그 활성은 짧아서 화석 은화식물에서와 같은 유한 형성층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관속 형성층의 점진적인 기원은 세포질이 아주 농후한 전형성층으로부터 세포질이 점차 희박해지며, 수가 많고 소형인 액포가 점차로 크기가 커지면서 수가 적어지는 액포로 되는 점 등으로 뒷받침될 수 있다. 한편 유관속 형성층이 유한성을 보이는 점은 후기 유관속 형성층이 지질과립 등의 저장물 축적이 심하고 세포소기관은 물론 세포질이 매우 희박해지면서 세포벽이 일반 분열조직세포와는 달리 상당히 비후되어 있는 특징으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사리삼의 유관속 형성층은 종자식물의 유관속 형성층의 특징과 화석은화식물의 특징을 모두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생장지역에 따른 소나무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Cambium Activity of Pine Trees at Different Growth Sites)

  • 박소연;엄창득;서정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11-420
    • /
    • 2015
  • 동일 수종이라도 생장지역과 영급에 따라 수형 또는 재질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러한 차이는 형성층 활동에 따른 목부세포의 양과 질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게 된다. 본 연구는 소광리와 안면도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여 소나무 목재의 재질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형성층 활동 분석 결과, 소광리 5영급 임분은 목재세포 분열을 4월 중순에 시작하였으며, 안면도는 5영급과 9영급 모두에서 4월 초에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경우는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으로 조사되었다. 형성층에서 세포분열이 종료되는 시기는 소광리 9영급을 제외하고 소광리와 안면도 모두 10월 중순부터 10월 말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형성층 내 세포분열 종료는 10월 초였다. 형성층의 계절별 활동을 조사한 결과, 소광리의 형성층 분열기간이 안면도보다 짧게 나타났다. 반면, 소광리 소나무의 형성층으로부터 분열된 세포 수는 안면도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악산에 식재된 잣나무와 화백나무의 형성층 활동과 기후인자와의 관계 (The Association of Intra-Annual Cambial Activities of Pinus koraiensis and Chamaecyparis pisifera planted in Mt. Worak with Climatic Factors)

  • 서정욱;최은비;주정덕;신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43-52
    • /
    • 2017
  • 본 연구는 월악산에 식재된 잣나무와 화백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모니터링 하여, 1) 수종에 따른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확인하고, 2) 적산온도가 형성층 활동 개시에 미치는 영향과 3) 생육기간 중 강수량이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식재연도가 동일하지만 직경생장이 다른 두 그룹(DBH 평균 30 cm (CPL)와 15 cm(CPS))의 화백나무 생장패턴도 함께 조사하였다.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을 위해 미니코어를 활용하였으며, 시료채취는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실시되었다. 형성층 활동 개시와 종료가 기대되는 4-5월과 9월 중순-10월은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연륜분석 결과 잣나무의 평균 연륜 수는 30개로 CPS와 CPL보다 7 (CPS) 또는 8 (CPL)개 적었다. 반면, 잣나무의 평균 연륜폭은 4.12 mm로 CPL (3.97 mm)과 CPS (1.84 mm)보다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백나무 상호비교에서는 CPL의 평균 연륜폭이 CPS보다 2.13 mm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최근 3년간 평균 연륜폭을 비교한 결과 CPS1 (0.83 mm)를 제외한 CPS2 (2.42 mm)와 CPS3 (2.73 mm)은 CPL (2.71 mm) 그룹과 유사하였다. PK의 형성층 활동 개시는 4월 13일과 21일 사이로 CPS1를 제외한 화백나무보다 일주일 정도 빨랐으며, 종료는 9월 1일과 22일 사이로 형성층 활동 최대기간이 157.3 (${\pm}3.3$)일이었으며, CPS ($145.7{\pm}6.6$일)와 CPL ($148.0{\pm}15.1$일)보다 길었다. 화백나무의 경우 형성층 활동 종료 시기에 차이가 많았으며, 형성층 활동기간과 연륜폭 상호간 상관분석에서는 유의수준에 근접한 결과(r = 0.69, p < 0.064)를 보였다. 잣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유도하는 적산온도는 99와 134 사이였으며, CPS1 (274)을 제외한 화백나무는 134와 200 사이었다. CPS3을 제외한 모든 수목은 7월 21일에 채취한 시료에서 위연륜(false ring)이 관찰되었으며, 그 원인이 여름철 강수량 부족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활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및 벌채 적기 추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Periods for Planting and Felling Larix kaempferi Based on the Period of Its Cambial Activity)

  • YOO, Hye-Ji;JU, Jeong-Deuk;PARK, Jun-Hui;SHIN, Chang-Seob;EOM, Chang-Deuk;SEO, J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399-415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활동 시기를 모니터링 하여 적절한 식재 및 벌채시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각 지역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유도하는 적산온도도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지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월악산과 미동산이다. 월악산과 미동산에서 일본잎갈나무 5본씩을 선발한 후, 월악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10월 6일, 미동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9월 29일까지 직경 2 mm 미니 생장추(trephor)로 형성층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형성층 시료는 PEG2000에 임베딩 한 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두께 10-15 ㎛로 박편 제작을 하였다. 상해세포간구 발생으로 정확한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월악산 일본잎갈나무 1본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 1본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현미경으로 월악산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개시 일을 관찰한 결과, 4월 28일에 월악산에서 2본, 미동산에서 3본이 개시하였다. 나머지인 월악산 2본과 미동산 1본은 일주일 후인 5월 4일에 개시하였다. 형성층 활동 개시를 유도한 적산온도는 월악산의 경우 196.4-271.8이었으며, 미동산은 204.7-277.3로 유사하였다. 형성층 활동 종료는 월악산 8월 4일 ~ 8월 25일, 미동산 8월 4일 ~ 9월 1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월악산과 미동산에 적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시기는 형성층 활동 약 한 달 전인 4월 이전이며, 벌채 시기는 형성층 활동이 완전히 종료되는 10월부터로 확인되었다.

Protective effect of wild ginseng cambial meristematic cells on ᴅ-galactosamin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Kim, Seok-Joo;Choi, Hyo-Sun;Cho, Hong-Ik;Jin, Young-Woo;Lee, Eun-Kyong;Ahn, Jeung Youb;Lee, Sun-M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4호
    • /
    • pp.376-383
    • /
    • 2015
  • Background: Panax ginseng has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functions. Wild ginseng cambial meristematic cells (CMCs) were obtained from P. ginseng cambium. This study examined the protective mechanism of wild ginseng CMCs against $\small{D}$-galactosamine (GalN)-induced liver injury. GalN, a well-known hepatotoxicant, causes severe hepatocellular inflammatory damage and clinical features similar to those of human viral hepatitis in experimental animals. Methods: Hepatotoxicity was induced in rats using GalN (700 mg/kg, i.p.). Wild ginseng CMCs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for 2 wks, and then 2 h prior to and 6 h after GalN injection. Results: Wild ginseng CMCs attenuated the increase in serum aminotransferase activity that occurs 24 h after GalN injection. Wild ginseng CMCs also attenuated the GalN-induced increase in serum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6 level, and hepatic cyclooxygenase-2 protein and mRNA expression. Wild ginseng CMCs augmented the increase in serum interleukin -10 and hepatic heme oxygenase-1 protein and mRNA expression that was induced by GalN, inhibited the increase in the nuclear level of nuclear factor-kappa B, and enhanced the increase in NF-E2-related factor 2.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wild ginseng CMCs protects liver against GalN-induced inflammation by suppressing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enhancing production of anti-inflammatory mediators.

Cytochemical Evidence on Seasonal Variation of Peroxidase Activities in Cambial Region of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and Populus alba

  • Wi, Seung-Gon;Lee, Kwang-Ho;Kim, Y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17-24
    • /
    • 2000
  • The peroxidase activity was localized cytochemically to get an insight into its precise function in lignin biosynthesis. In this work, cerium chloride ($CeCl_3$) was used as a trapping agent for hydrogen peroxide ($H_2O_2$) generated from peroxidase. Seasonal variation of peroxidase activities in cambial region of Populus, Pinus, and Ginkgo was investigated at subcellular levels.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electron dense deposits of cerium perhydroxide formed by reaction with $H_2O_2$ were observed in cambium and its immediate derivatives. The staining with $CeCl_3$ in cambium varied with growth seasons. The strongest $H_2O_2$ accumulation, regardless of tree species, appeared in May. Staining pattern of $CeCl_3$ in the cambium of poplar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of peroxidase started in March before the opening of buds and reached the highest in May and then declined in August. Ginkgo and Pinus showed relatively late generation of $H_2O_2$ production when compared with Populus. Although Ginkgo and Pinus are classified into gymnosperms, however, the generation of peroxidase production and its duration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Little staining appeared in all the tree samples collected in September before falling the leaves.

  • PDF

Origin of Callus and Vascular Cambium in Debarked Stem of Robinia pseudoacacia

  • Soh, Woong-You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317-323
    • /
    • 1994
  • The calluses formed on the surface of a quarter-girdled Robinia pseudoacacia stems have been shown to originate from immature xylem cells and preexisting cambial cells. The cellus is not only formed by periclinal and anticlinal divisions of radial cells, but also axial cells. In tangential view, the callus at initial stage showed heterogeneous structure composed of long and short cells and then homogeneous one with short cells. Some cells of homogeneous structure in middle region of callus at early stage is later elongated and others mainly divided in trasverse plane. In the result the homogeneous structure becomes into a heterogeneous one. Subsequently, the long cells in heterogeneous structures elongated further and became fusifrom initials, and the short cells divided transversely became ray initials. The appearence of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structure in the callus on debarked stem without organ elongation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structure in the procambium of young stem which is elongating extensively. Eventually, the ontogeny of vascular cambium in wound callus resembles that of a young stem grown normally, although the debarked stem does not grow in length but in girth and the young stem elongates activity. These findings mean that the active intrusive growth of short procambial cells occurs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fusiform cambial cells.

  • PDF

아카시아나무의 줄기에 있어서 형성층의 활동과 방사조직의 발생 (Cambial Activity and Development of Rays in the Stem of Robinia pseudo-acacia L.)

  • 한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1호
    • /
    • pp.65-72
    • /
    • 1990
  • An anatomical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develop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ray in Robinia pseudoacacia L. The height of primary ray near pith decreases progressively toward periphery, while the width and number per unit area gradually increase, and then the height, width and number remain somewhat constant. Secondary ray originates from the segmentation of fusiform initials or division of the side or end of fusiform initials at the middle of the first growth layer. And after the height and width of secondary ray increases to some extent, it remains consta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