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P1P

검색결과 26,655건 처리시간 0.056초

절식, 스트레스 및 냉각속도가 돼지도체의 사후 대사속도와 등심근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actical Variations in Fasting, Stress and Chilling Regime on Post-slaughter Metabolic Rate and Meat Quality of Pork Loin)

  • 황인호;박범영;조수현;김진형;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97-106
    • /
    • 2004
  • 본 실험은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축 전개체 관리와 도축 후 냉각온도의 편차가 숙성기간동안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총 20 두 랜드레이스를 도축 하루 전날부터 절식(n = 10)한 처리구와 도축일 아침까지 급여(n = 10)한 처리구 중에 각각 5마리씩을 무작위 선발하여 도축 전 스트레스(n = 10)와 무 스트레스(n = 10) 처리하엿다. 분할 후 좌도체는 $6^{\circ}C$에 우도체는 -$3^{\circ}C$의 도체 냉각실에서 24시간 냉각하였다. 사후 강직기와 도축 후 24시간의 pH, 온도, 유리 칼슘이온, 단백질 분해도를 측정하였으며, 1일째 근절길이, $1^{\circ}C$에서 3일 및 7일째 드립량, 1, 3, 7일째 육색, 전단력 및 가열 감량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조건에서 도축 직전 15분 동안 몰이스트레스는 유리 칼슘량을 제외한 대사속도 및 육질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절식하지 않은 구는 절식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1시간과 24시간에 빠른 pH 하강을 보였고 (P < 0.1), - $3^{\circ}C$ 냉각 조건에서는 $6^{\circ}C$에서 냉각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도축후 3시간부터 완만한 pH 강하속도(P < 00.1)을 보였으나 최종 pH가 5.7 ${\sim}$ 5.8로 처리 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pH 6.2에서 절식과 냉각방법간에 상호 작용이 있었는데, 절식하지 않은 도체를 $6^{\circ}C$에서 냉각했을 경우 온도가 $33.3^{\circ}C$로 절식시킨 처리구를 - $3^{\circ}C$에서 냉각한 처리구와 비교하여($22.2^{\circ}C$) 11$^{\circ}C$ 더 낮은 온도를 보였다. 근절길이는 1.7 ${\sim}$ 1.8 ${\mu}m$로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4시간째 전단력은 절식처리구에서 약 2kg 높았다(P < 0.05) 영향을 받았는데, 절식시킨 시험구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냉각실 온도는 전단력과 육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circ}C$ 냉각이 가열 감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 < 0.05), 숙성기간 동안 전단력은 사료 급여를 하지 않은 도체에서 도축 후 1일에 약 6.5 kg으로 도축전까지 급여한 구보다 높았는데( P <0.05), 이 결과는 빠른 pH 하강과 유리 칼슘이온의 방출로 높은 도체 온도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의 높은 활성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것은 빠른 Desmin 분해 속도가 뒷받침하였다. 하지만 숙성 7일째에는 처리간의 전단력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가열 감량 숙성기간동안 가열 감량을 크게 증가시켜 숙성 7일째에는 유의적으로 높은(P < 0.01) 가열 감량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육색과도 연관 되었는데, 육색은 결과는 육색과도 연관 되었는데, 육색은 진공포장 후 7일 동안 $1^{\circ}C$에서 숙성한 결과 절식시킨 시험구와 지교하여 도축 전 급여가 더 밝고 붉은색(P < 0.05)을 나타냈다. 명도는 숙성 7일째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3일째에 증가하였으나 7일째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관찰되었으나 그 차이점은 미미했다. 본 실험결과는 도축 전날까지 급여 또는 절식 여부는 숙성 3일 이상일 경우 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도축일 아침까지 급여가 보수력을 감소시키므로 도축 하루 전날부터 절식하는 것이 육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INTEGRAL BASES OVER p-ADIC FIELDS

  • Zaharescu, Alexandru
    • 대한수학회보
    • /
    • 제40권3호
    • /
    • pp.509-520
    • /
    • 2003
  • Let p be a prime number, $Q_{p}$ the field of p-adic numbers, K a finite extension of $Q_{p}$, $\bar{K}}$ a fixed algebraic closure of K and $C_{p}$ the completion of K with respect to the p-adic valuation. Let E be a closed subfield of $C_{p}$, containing K. Given elements $t_1$...,$t_{r}$ $\in$ E for which the field K($t_1$...,$t_{r}$) is dense in E, we construct integral bases of E over K.

ON (p, k )-QUASIPOSINORMAL OPERATORS

  • Lee, Mi-Young;Lee, Sang-Hu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9권1_2호
    • /
    • pp.573-578
    • /
    • 2005
  • For a positive integer k and a positive number 0 < p$\le$1, an operator T is said to be (p, k)-quasiposinormal if $T^{{\ast}k}(c^2(T^{\ast}T)P - (TT^{\ast})^P)T^k {\ge} 0$ for some c > o. In this paper we consider a structure for (p, k)-quasiposinormal.

통보리 분쇄 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한우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ole Grain Barley Cracked Feed on the Eating Behavior of Hanwoo Steers During Finish Fattening Period)

  • 이상무;최유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49-156
    • /
    • 2010
  • 통보리 분쇄 사료를 급여 수준별로 5개 처리구(C:무처리구, T1: 10% 첨가, T2: 20%, T3: 30%, T4: 40% 첨가)를 두고, 비육후기 5개월 동안(각 처리 구별 6두, 총 30두 공시) 처리구별로 각각 급여한 후 48시간 육안 관찰 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채식량(농후사료+조사료)은 T4 (9.96kg) > T1 (9.42kg) > C (9.22kg) > T3 (8.91kg) > T2 (8.51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시간은 T4 > T3 > C > T1 > T2구 순이였으며 (P<0.01), 반추시간은 T4 > T1 > C > T3 > T2구 순으로 나타났다 (P<0.05). 그러나 휴식시간은 반추시간과 반대로 T2 > T1 > C > T3 > T4 순으로 나타났다(P<0.01). 채식시간과 반추시간을 합한 저작 시간은 T4 (392.5 min.) > T3 (331.4 min.) > C (329.4 min) > T1 (327.2 min) > T2 (276.3 min.) 순으로 나타났다(P<0.01). 식괴수, 총 저작수, 식괴당 저작수, 사료가치지수는 각각 190.9개, 9,129.4회, 47.8회, 39.4 (분/kg)으로 T4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식괴당 반추시간은 C구가 가장 높고 T3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분당 식괴수는 T3 가장 높고 C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채식율과 저작효율은 T2구에서 가장 높았지만(P<0.01, 0.05), 반추효율에서는 T1구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군 행동에서는 휴식(78.5%) > 반추(11.4%) > 채식(10.1%)순으로, 군 행동 중 서서 휴식은 T3 > C > T2 >T1 >T4 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탁중합을 이용한 레졸형 구형 페놀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Resole-type Phenolic Beads via Suspension Polymerization Technique)

  • 한동석;김대정;김홍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2호
    • /
    • pp.279-284
    • /
    • 2013
  • 암모니아수 또는 트리에틸아민(TEA)을 촉매로 사용하여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구형 페놀수지를 페놀:포름알데히드=1:1~1:4의 몰 비로 $98^{\circ}C$에서 현탁중합을 통해 합성하였고, 이를 $700^{\circ}C$의 질소 환경에서 탄화시켜 구형 탄소입자를 형성하였다. 현탁중합으로 형성된 구형 페놀수지의 열적 특성으로부터 후경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현탁중합의 최적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페놀/포름알데히드(P/F)의 몰 비, 촉매의 pH, 안정제의 분자량이 구형 페놀입자의 크기와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머지 변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사하였다. P/F 몰 비에 따라 형성되는 입자 크기는 증가하는 반면 수득율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촉매의 pH가 클수록 큰 입자가 형성되며, 또한 안정제의 분자량은 입도분포보다는 수득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후경화를 거쳐 얻어진 구형 페놀수지의 열안정성을 TGA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P/F 몰 비가 높은 경우는 dibenzyl ether의 존재로 인하여 후경화 이후에도 $220^{\circ}C$의 중량감소가 여전히 존재하며, 반면에 P/F 몰 비가 낮은 경우는 $220^{\circ}C$ 이후 $400^{\circ}C$에 걸쳐 꾸준한 중량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부터 P/F 몰 비가 1:2인 경우가 열안정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대칭키 해독을 위한 아기걸음 2k-ary 성인걸음 알고리즘 (Baby-Step 2k-ary Adult-Step Algorithm for Symmetric-Key Decryption)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3-29
    • /
    • 2015
  • $a^b{\equiv}c$(mod p)에서 a,c,p가 주어졌을 때 b를 구하는 이산대수 문제를 푸는 아기걸음-거인걸음 알고리즘은 p를 $m={\lceil}{\sqrt{p}}{\rceil}$개의 원소를 가진 m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거인 1명이 보폭 m으로 단방향으로만 $a^0$로 걸어가면서 찾는 방법이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p를 p/l, $a^l$ > p로 분할하고, 성인 1명이 보폭 l로 단방향으로 걸어가는 방법으로 변형시켰다. 또한, 성인 $2^k$명이 동시에 걸어가면서 b를 빠르게 찾는 방법으로 확장시켰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1{\leq}b{\leq}p-1$의 범위에서 $2^k$, (k=2)를 적용한 결과 기본적인 성인걸음수의 1/4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알고리즘은 아기걸음-거인걸음 알고리즘의 보폭 수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C6 신경교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p21 (WAF1/CIP1) 및 Bax의 발현증가에 미치는 resveratrol의 영향 (Inhibitory Effect of Resveratrol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p21 (WAF1/CIP1) and Bax Expression in Astroglioma C6 Cells)

  • 김영애;임선영;이숙희;최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4-129
    • /
    • 2005
  • Resveratrol, a phytoalexin found at high levels in grapes and in grape products such as red wine,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a wide range of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ent, anti-inflammatory,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but its molecular mechanism is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resveratrol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growth inhibitory activity and cell growth-regulatory gene products in astroglioma C6 cells to elucidate its possible mechanism for anti-cytotoxicity. It is shown that LPS induced time-dependent growth inhibit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C6 cells, which were recovered by pre-treatment with resveratrol.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LPS wa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 (WAF1/CIP1) expression assess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in time-dependent manner in C6 cells. In addition, the pro-apoptotic Bax expression was also up-regulated in LPS-treated C6 cells without alteration of anti-apoptotic Bcl-2 and Bcl-XL expression. However, resveratrol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53, p21 and Bax levels, suggesting that the modulation of p53, p21 and Bax levels could be one of the possible pathways by which resveratrol functions as anti-cytotoxic agent.

COMMON FIXED POINT THEOREMS FOR TWO SELF MAPS SATISFYING ξ-WEAKLY EXPANSIVE MAPPINGS IN DISLOCATED METRIC SPACE

  • Kim, Jong Kyu;Kumar, Manoj;Preeti, Preeti;Poonam, Poonam;Lim, Won Hee
    • Nonlinear Functional Analysis and Applications
    • /
    • 제27권2호
    • /
    • pp.271-287
    • /
    • 2022
  • In this article, we shall prove a common fixed point theorem for two weakly compatible self-maps 𝒫 and 𝔔 on a dislocated metric space (M, d*) satisfying the following ξ-weakly expansive condition: d*(𝒫c, 𝒫d) ≥ d* (𝔔c, 𝔔d) + ξ(∧(𝔔c, 𝔔d)), ∀ c, d ∈ M, where $${\wedge}(Qc,\;Qd)=max\{d^*(Qc,\;Qd),\;d^*(Qc,\;\mathcal{P}c),\;d^*(Qd,\;\mathcal{P}d),\;\frac{d^*(Qc,\;\mathcal{P}c){\cdot}d^*(Qd,\;\mathcal{P}d)}{1+d^*(Qc,\;Qd)},\;\frac{d^*(Qc,\;\mathcal{P}c){\cdot}d^*(Qd,\;\mathcal{P}d)}{1+d^*(\mathcal{P}c,\;\mathcal{P}d)}\}$$. Also, we have proved common fixed point theorems for the above mentioned weakly compatible self-maps along with E.A. property and (CLR) property. An illustrative example is also provided to support our results.

Expression of DDR1 and DVL1 in Invasive Ductal and Lobular Breast Carcinoma does not Correlate with Histological Type, Grade and Hormone Receptor Status

  • Ameli, Fereshteh;Rose, Isa Mohd;Masir, Noraid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6호
    • /
    • pp.2385-2390
    • /
    • 2015
  • Background: Invasive ductal (IDC) and lobular (ILC) carcinomas are the common histological types of breast carcinoma which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when poorly differentiated. Discoidin domain receptor (DDR1) and Drosophila dishevelled protein (DVL1) were recently suggested to differentiate IDC from ILC. Objectives: To assess the expression of DDR1 and DVL1 and their association with histological type, grading and hormonal status of IDC and ILC.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IDC and ILC breast tumours. Tumours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for (DDR1) and (DVL1) as well as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and C-erbB2 receptor. Demographic data including age and ethnicity were obtained from patient records. Results: A total of 51 cases (30 IDCs and 21 ILCs) were assessed. DDR1 and DVL1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stological type (p=0.57 and p=0.66 respectively).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DDR1 and DVL1 expression and tumour grade (p=0.32 and p=1.00 respectively), ER (p=0.62 and 0.50 respectively), PR (p=0.38 and p=0.63 respectively) and C-erbB2 expression (p=0.19 and p=0.33 respectively) in IDC.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DDR1 and DVL1 expression and tumour grade (p=0.52 and p=0.33 respectively), ER (p=0.06 and p=0.76 respectively), PR (p=0.61 and p=0.43 respectively) and C-erbB2 expression (p=0.58 and p=0.76 respectively) in ILC.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DDR1 and DVL1 are present in both IDC and ILC regardless of the tumour differentiation. More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potential of these two proteins in distinguishing IDC from ILC in breast tum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