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students

검색결과 1,539건 처리시간 0.027초

Study on Customized Education through Job Analysis for the Department of Furniture Design -Focusing on the Computer Application-Oriented Education for Furniture Design Coordinator-

  • Lee, Young-Choon;Shin, Rang-H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05-51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년제 대학 가구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의 개선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2단계의 단계별 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는 직무분석 전문가와 실무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선정된 직종의 직무분석을 하고 학생이 졸업 후 해당 직종에 취업할 경우 취업 적응력 및 업무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대상 직종은 가구디자인 코디네이터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1단계 직무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맞춤형 교과과정을 새로이 개설하고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디자인 결과물을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실무작업에 대한 이해도와 작품 완성도가 높아졌으며 전공 수업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맞춤형 교과과정의 시행 내용, 그리고 최종 결과물을 통해 연구의 효율성 검토 그리고 향후 개선 방향의 제언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대학 교육의 내실을 기하고, 학생들의 경쟁력 제고 및 취업 후 업무 적응능력 향상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구디자인 코디네이터라는 직종뿐 아니라 다양한 가구디자인 관련 직종의 직무분석 및 그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정 시행의 초석이 다져지길 바라며 더 나아가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대학 교육의 실현을 기대한다.

  • PDF

기업의 HRD 관점에서 스마트러닝의 만족도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 in The View of HRD in Company)

  • 조재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68-478
    • /
    • 2018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활용을 통한 새로운 기업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스마트러닝의 학습자만족도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재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11개 기업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육이수자 878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ANOVA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러닝의 학습만족도는 학습동기와 학습과정, 교육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학습만족도는 자발적 학습동기일수록 높았으며, 학습과정에 있어 학습빈도, 학습시간 등 자기주도 학습과 관련된 요인이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습내용이 애니메이션으로 전달될수록 학습 만족도는 높았다. 둘째, 스마트러닝에 있어 학습동기, 학습과정에 있어 자기주도 학습요인인 학습빈도와 학습시간, 교육내용이 학습효과를 높이는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셋째,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가 재수강의도를 강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HRD관점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업의 지원과 적절한 보상을 제시하였으며, 스마트러닝 운영자 측면에서 학습콘텐츠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공학교육 체제 개선을 위한 공과대학 이해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 - ${\bigcirc}{\bigcirc}$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gineering College Stakeholder's Perceptions for Improvements of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 박기문;이규녀;김영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9-25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 이해관계자(stakeholder)인 교수, 학생, 직원/조교들을 대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를 포함한 공학교육 체제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공학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공학교육 체제의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터한 공학교육 체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실 및 장비 등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요자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중장기 교육환경 개선과 재정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공학교육 이해관계자간 관계 증진을 위하여 멘토링 프로그램과 미래상담설계 등의 제도가 실효성 있게 재정비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의 질 평가를 통한 우수 직원/조교에 대한 보상과 직무교육 강화 등의 개선이 요구되며, 공학교육인증제와 관련한 행정 업무의 단순화와 전담인원 충원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공학교육인증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학교육혁신센터의 위상 강화와 체계적인 홍보 체제가 필요하며, 외부 인사가 포함된 '공학교육 체제 평가 협의회(가칭)'와 같은 공학교육 평가 전문가 위원회가 필요하다. 다섯째, 공학교육인증제는 이해관계자들의 실익 부재와 행정 소요의 피로 누적 등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하여 공학교육 관련기관 차원의 방안 연구가 시급하다.

대학 창업 지원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Exploring the government policy for promoting university startups in Korea)

  • 허선영;장후은;이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5-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주요한 대학지원 사업의 하나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대학 창업 지원 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학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부의 각종 창업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의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창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고, 창업동아리 지원, 창업 자금 지원 및 창업 공간 지원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의 형성 및 매출액 등과 같은 정량적 성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정부 재정지원 사업 추진에도 불구하고 대학 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요인으로는 부처별 창업 지원 사업 간의 차별성이 부족하고, 사업 추진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못한 결과 사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문제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처별 창업 지원 사업의 유사 중복성을 탈피하고, 대학 내 사업 추진 체계를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대학 내 창업지원 조직이 사업별로 분리되어 운영됨으로써 사업 간 및 조직 간 연계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대학 내 창업 지원 사업의 파급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이 요망된다.

스마트폰 쇼핑몰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신뢰,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ies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in Smartphone Shopping Malls)

  • 양승권;심재현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2호
    • /
    • pp.31-43
    • /
    • 2018
  • Purpose - Smartphone shopping malls provide customers with a variety of tangible and intangible services including web sites, web design, use convenience, information for products and shopping and various after services. Accordingly, it is needed to expand and classify service qualities based on th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smartphone shopping malls, and then analyze path structures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 customer satisfaction → behavior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qualities of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based on the e-SERVQUAL by Lee(2002) and the SERVQUAL by Parasuraman et al.(1988, 2005), the smartphone shopping malls' service qualities based on service quality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used in the previous use studies, and the Website quality factors of service industry and to analyze path structure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 customer satisfaction → behavioral intention o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confirm the system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s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college students of university located in northeastern of Seoul. It was from December 7 - 15, 2017, and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228 collected. Of them, effective questionnaires used in the final study were a total of 201 except 27 that couldn't be used. In this study, empirical analysis was done wit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istics Package SPSS18.0. Results -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like customer system quality, Web design quality, convenience quality, information-offering quality, service quality, and product quality. Second, it showed that system quality, Web design quality, and information-offering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 it suggested that quality factors of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quality, information-offering quality, system quality and Web design quality. Finally, it showed that customer service quality, product quality, and convenience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it said that customer satisfaction of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had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thereby,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relations between 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Meanwhi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rust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bove study revealed that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and it was possible to generalize after empirical analysis was made in the path structure. Conclusions -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consider usefulness of obtaining shopping information and quality on quick and abundant shopping information more important than access environment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and kind services of smartphone shopping mall managers. Thereby, smartphone shopping mall marketers need to take service qualities like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offering quality into more consideration.

과거성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 소진, 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st Success on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Burnout, and Engagement)

  • 임창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49-78
    • /
    • 2010
  • 본 연구는 과거성공이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정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 자아효능감이 소진을 감소시키고 몰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성과에 매개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이론적 연구들을 토대로 매개역할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438명의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지와 성적을 근거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이론적인 구조방정식의 제안모형을 만들어 대안모형과 비교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구조방정식 이외에도 Sobel test와 경로계수 비교를 위한 Equality test, 쌍대모수비교법 등이 동원되었다. 그 결과 자아효능감이 과거성공과 소진/몰입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과 동시에 자아효능감도 성과에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소진과 몰입을 통한 경로를 거친다는 사실도 입증되었다. 특히 자아효능감은 소진의 감소보다는 몰입의 증가라는 긍정적 측면의 역할이 더 강하다는 것도 입증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결과는 그간 부분적으로 연구되어 온 변수간의 상호관계를 하나의 연결모델로 도출했다는 점과 직무요구-자원(JD-R)모형과 자원보존(COR)모형에서 직무자원의 종업원 well-being에 대한 영향 중 부정적 소진의 감소보다 긍정적 몰입의 증가에 의한 영향이 더 크다는 긍정심리학의 주장을 재 입증하는데 공헌하였다.

  • PDF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특성이 지각된 가치 만족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Features o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Using Intentions)

  • 이성준;대정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75-82
    • /
    • 2014
  • Purpose - Due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needs of information distribution are emphasized more than ever before. As information changes to cater to diversity, professionalism, and detailed segmentation, this information is produced exponentially. Many researchers working in intelligence agencies are feeling the ne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in a systematic and more effective manner. Mobile marketing is based on communication when consumers can access information using GPS systems whatever their location may be when they are on a trip. Until recently, Korean companies have been struggling to perform well in the larger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TIS) for Chinese tourists, which is regarded as a blue ocean area. The principal dimens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were analyzed, and th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was identified. Moreove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 satisfaction and using intentions was empirically analyz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bile tourism information feature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It is based on analyzed data from questionnaires involving advanced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Chinese students using a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was conducted.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circulated, and 22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invalid dat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1.0 statistic package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and the effects of the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features o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using intentions were presented. Results - First,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feature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al value, and do not affect the hedonic value. Second, perceived value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Fourth, satisfaction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Conclusion - MTIS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involves personal, soci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We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on perceived value, and on satisfaction and using intentions. First, the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and perceived value in relation to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usage are important for marketing in the Chinese market. Moreover, after using a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the effect on practical value is more than on hedonic value. We could not analyze the program for tourism information service extensively, and used only questionnaires from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research on the programs for a tourism information service. We expect to study the MTIS program in greater detail, and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putation of MTIS through the analysis of its program.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allow an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regarding MTIS.

여중생의 화장품 관심도가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매행태와 정보화수준을 조절변수로 하여- (The effect of the Interest of Cosmetics on Middle School Girl's Purchase Satisfaction -Purchasing Behavior and Informatization Level as Control Variables-)

  • 윤진숙;이재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21-131
    • /
    • 2018
  • 본 연구는 10대 여중생(n=126) 대상으로 그들의 화장품관심도가 구매행태, 정보화수준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구매만족도와 연계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을 토대로 3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중생들은 초등학교시절부터 화장품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교육이 초등학교때 부터 요청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화장품사용에 대한 올바른 조기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와 구매행태는 화장품구매만족도와 정(+)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화장품구매만족에는 '화장품구매행태' 변수가 '화장품관심도' 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화장품구매행태' 변수는 구매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화장품범주(관심도, 구매행태, 정보화수준, 구매만족도)에 대하여 학년별 평균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중생들의 화장품구매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화장품구매행태에 대하여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향후 지역범위와 연령대를 확대한 추가적 연구가 지속되기를 제기한다.

사회통계학적, 장르적 분류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ge Pattern Based on Genr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nline Games)

  • 류성일;박선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1-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계학적 분류 또는 게임 장르 구분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유사 연구 사례에서는 주로 설문에 의한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게임 접속 기록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고, 일부 요인의 분석을 위해서는 모수적 모델링 및 수리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의 검정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온라인 게임 이용 인구는, 성별 기준으로 남자>여자, 직업분류에서는 학생>화이트칼라>주부>블루칼라>자영업>무직/기타, 학력 기준에서는 대졸>초중고생>고졸>대학(원)생, 월 소득 수준별 구분에서는 300∼500만>100∼300만>500만이상>100만(원) 미만, 그리고 결혼여부에 있어서는 미혼자>기혼자의 관계가 성립되었다. 장르 구분에서는 웹보드>RPG>시뮬레이션>(액션, 레이싱, 슈팅)>스포츠 순으로 이용자가 많았고, 최대동시접속자 측면에서는 RPG가 타 장르보다 MCR(Max Concurrent User Ratio)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장르별 지속이용율의 차이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온라인 게임의 이용 인구 구성에 있어서 성별${\times}$연령, 장르${\times}$성별, 장르${\times}$연령의 상호작용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이들 각 상호작용에 대하여 사후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매스티지 브랜드의 소비가치와 소비자 행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s of Masstige and Consumer Happiness)

  • 김유경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05-118
    • /
    • 2015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such as shopping value and loyalty in social commerce. With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se difference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set up as research questions. First, will there be a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of social commerce? Second, will there be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shopping value? Third, will there be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their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ho had used social commerce within the past six months before answering the questionnaire. First, for social commerce users in Korea, comprisi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 a questionnaire was circulated. For social commerce users in China, university students within Beijing were surveyed. Responses to 336 questionnaires were used, excluding those with no answers or unreliable answers.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were used. SPSS 18.0 was used.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s done to verify the validity of testing tool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is used to verify credibility. For factor analysis, the Varimax method is us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each factor,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is used to verify the credibility. Second, a T-test is done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for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Third, ANOVA (Analysis of variance) is done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shopping value and loyalty. Results - Wh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use social commerce, first,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of social commerce is affected by four factors; playfulness and economic factors are more important to Korean consumers than Chinese consumers. As for informativeness factors,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quality, and buyer comments, there was no confirmed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 convenience factor is more important to Chinese consumers than Korean consumers.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shopping value for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ere hedonic shopping value and rational shopping value.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shopping value factors, a t-test is conducted. As a result, in the rational shopping value factors of social commerce, Korean consumers scored higher than did Chinese consumers. These results were verified to be meaningful through statistics. In the hedonic shopping value factor of social commerce, Korean consumers scored higher than Chinese consumers. Thes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loyalty in social commerce is higher for Chinese consumers than for Korean consumer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loyalty depending on sex. Conclusions - These results will hopefully be valuable and used in the future by Korean companies that wish to enter the Chinese social commerce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