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n

검색결과 1,446건 처리시간 0.027초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에서 채취된 숯의 수종식별과 물리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Charcoals Excavated from Chudong-ri Site, Korea)

  • 김명진;이종신;박순발
    • 보존과학회지
    • /
    • 제24권
    • /
    • pp.13-22
    • /
    • 2008
  •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내 토과목관묘에서 출토된 숯과 인근의 기와가마에서 연료로 사용되었던 나무의 숯을 채취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각각의 흡습성과 가스 흡착성을 비교하였다. 총 23점의 숯 시료에 대해서 수종을 식별한 결과 토광목관묘에서 출토된 12점의 숯은 모두 활엽수 숯으로 9점이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아속 계통, 3점이 팽나무속 숯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출토된 11점의 숯은 모두 침엽수로 경송류의 소나무류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출토 숯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토광목관묘의 활엽수 숯이 기와가마의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흡습성을 나타냈으며 에틸렌 가스 흡착 시험에서도 상수리나무아속 숯이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가스 흡착성을 보였다. 토광목관묘 유구에 활엽수 숯을 사용한 이유는 침엽수 숯에 비하여 활엽수 숯이 미세 세공이 많고 비표면적이 넓어 수분과 가스 흡착력이 우수하여 묘광 내에 보다 양질의 매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소나무류를 연료로 사용한 이유는 비중이 작아 재질이 연하여 연소가 잘되고 특히 재내에 다량의 수지(송진)를 함유하고 있어 발열량이 높고 비교적 화력 조절이 용이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단순 외상팀 활성화 조건이 중증 외상 환자의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Simple Trauma Team Activation Criteria on Prognosis of Severe Trauma Patients)

  • 이동건;이강현;차경철;박경혜;최한주;김현;황성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1호
    • /
    • pp.71-76
    • /
    • 2009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utcome of the after trauma team (AfterTT) group to the before trauma team (BeforeTT) group. Methods: All trauma patients who visited to emergency room (ER) between July 1, 2006 and February 29,2008 based on trauma registry,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SBP) < 90 mmHg or GCS < 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the ER stay time, the ER visit to CT evaluation time, the ER visit to operation time, the length of ICU stay, the length of hospital admission and the survival discharge rate between the AfterTT group and the BeforeTT group.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had little chance of survival. Burn patients, who visited the ER 24 hours after injury and patients who were dead on arrival (DOA)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Total of 9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42 in the AfterTT group and 51 in the BeforeTT group. The AfterTT group and the Before TT group showed no differences in Revised Trauma Score (RTS) and mean age. Th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was lower in the AfterTT group,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fterTT 11${\pm}$11units, BeforeTT 16${\pm}$15units, p=0.136). The ER visit to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the AfterTT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fterTT 251${\pm}$223 minutes, BeforeTT 486${\pm}$460 minutes, p=0.082). The length of ICU stay was shorter in the AfterTT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TT 11${\pm}$12 days, Before TT 15${\pm}$30 days, p=0.438). The length of Hospital admission was shorter in the AfterTT group (AfterTT 43${\pm}$37 days, BeforeTT 68${\pm}$70 days, p=0.032),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Simple Trauma team activation criteria decreased th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and the hospital admission duration. Hemodynamic instability (SBP < 90 mmHg) and decreased mental state (GCS<9) are good indices for activating the trauma team.

제초제(除草劑)의 사용법(使用법法) 개발(開發)을 위한 연구(硏究) - 제9보(弟9報) 맥후작(麥後作) 대두(大豆)(Glycine max L.) 잡초(雜草) 방제(防除)를 위한 Acifluorfen 과 Haloxyfop - methyl 의 혼용가능성(混用可能性) 연구(硏究)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IX. Tank-mix Use of Acifluorfen and Haloxyfop-methyl for Weeding on Soybeans (Glycine max L.) Cropped after Barley)

  • 구자옥;이관섭;김동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4-210
    • /
    • 1984
  • 남부(南部) 맥후작지대(麥後作地帶)의 대두포장(大豆圃場)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하여 경엽처리용제초제(莖葉處理用除草劑) Halozyfop-methyl과 Acifluorfen의 혼합가능성(混合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시험지(試驗紙)는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본포지장(本浦支場), 공시작물(供試作物)은 대두(大豆) "단엽(短葉)"이었으며, 재식(裁植)은 $60cm{\times}15cm$로 3립(粒) 점파(點播)하였다. 약제(藥劑)는 파종후(播種後) 18일(日)에 처리(處理)하였으며, 약량(藥量)은 Haloxyfop-methyl의 경우 0, 0.05, 0.1, 0.15, 0.2kg ae/ha, Acifluorfen의 경우 0, 0.082, 0.163, 0.245, 0.326kg ai/ha의 25조합(組合)으로 하였고, 구당면적(區當面積)은 $6.84m^2$로서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配置)하였다.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포장(圃場)의 잡초발생조건(雜草發生條件)은 비교적(比較的) 혼생군(混生群)을 형성(形成)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Haloxyfop-methyl 보다는 Acifluorfen에 의한 처리직후(處理直後)의 일반적(一般的) 작물약해(作物藥害)가 인정(認定)되었다. 3. 각 약제(藥劑)가 단위처리(單位處理)될 경우에는 잡초(雜草)의 천이(遷移)에 의한 단위군(單位群)의 집중발생현상(集中發生現想)이 초래(招來)되었다. 4. 두 약제조합(藥劑組合)으로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에는 결항적방제가(結抗的防除價)를, 광엽잡율(廣葉雜率)에는 상가적방제가(相加的防除價)를 보이는 경향(傾向)이었다. 5. 대두(大豆)의 종실생산(種實生産)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유지(維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Acifluorfen을 0.245kg ai/ha, Haloxyfop-methyl을 0.15kg ae/ha 이상으로 혼용(混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 PDF

제초제(除草劑)의 사용법(使用법法) 개발(開發)을 위한 연구(硏究) - 제7보(弟7報) 맥후작(麥後作) 대두(大豆)(Glycine max L.)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수종제초제(數種除草劑)의 체계처리(體系處理)에 관한 연구(硏究)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VII. Weeding Effects in Systemic Use of Some Herbicides on Soybean(Glycine max L.) Cropped after Barley)

  • 구자옥;이관섭;김동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4-203
    • /
    • 1984
  • 남부지방(南部地方) 맥후작대두단포장(麥後作大豆團場)의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하여 발생전토양처리제(發生前處理土壤處理劑)인 Alachlor와 metribuzin, 발생후경엽처리제(發生後莖葉處理劑)인 Acifluorfen과 Bentazon의 4약제(藥劑)를 4조합(組合)의 체계처리(體系處理)로 공시(供試)하여 적용가능성(適用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시험(試驗)은 피와 바랭이가 우점(優占)하는 조건하(條件下)에서 수행(遂行)되었으며, 약제처리(藥劑處理)에 따른 작물약해(作物藥害)는 Metribuzin과 Acifluorfen에서 경미(輕微)한 정도(程度) 나타났으며 입묘(立苗) 및 생장(生長)에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各) 조합(組合)의 약제처리(藥劑處理)가 0.5~0.75kg/ha인 곳에서는 파종후(播種後) 60일(日)에 어느 체계(體系)에서도 만족스런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제초효과면(除草效果面)(60 DAS) 에서의 체계처리(體系處理)된 약제간(藥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Metribuzin보다 Alachlor 체계(體系)에서 뚜렷하였으며, 대체로 각(各) 약제(藥劑) 0.25~0.5kg/ha 범위(範圍)에서 협력적(協力的)인 효과(效果)를 나타내는 경향9傾向)이었다. 그러나 대두성숙기(大豆成熟期)의 작물생장량(作物生長量)과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로는 각(各) 약제(藥劑)의 0.75kg/ha 수준(水準)에서 처리효과(處理效果)가 향상(向上)되고 있었으며 Bentazon 보다는 Acifluorfen의 발생후경엽처리(發生後莖葉處理)에서 유의적(有意的)인 경향(傾向)이 있다. 이는 파종후(播種後) 60일(日) 이후(以後)의 토양잔유성제초효과(土壤殘留性除草效果) 및 이에 따른 잡초경합해(雜草競合害)의 차이(差異)에 따른 결과(結果)로 해석(解析)이 되었다.

  • PDF

연소제어인자의 변화에 따른 직접분사식 초희박 LPG엔진의 연소특성 연구 (Study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with Variations of Combustion Parameter in Ultra-Lean LPG Direct Injection Engine)

  • 박윤서;박철웅;오승묵;김태영;최영;이용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6호
    • /
    • pp.607-614
    • /
    • 2013
  • 오늘날 전 세계의 자동차 회사들은 연비를 향상시키고 배기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 중 직접분사식 초희박 연소기술은 연료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연소 효율을 극대화하고 초희박 연소를 통해 연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기존 가스엔진에 초희박 직접분사 기술을 적용한 초희박 LPG 직접분사 엔진을 개발하기 위해 $2{\ell}$ 급 MPI 엔진을 베이스 엔진으로 실린더 헤드를 재설계하였다. 재설계된 헤드는 초희박 연소를 구현하기 위해 인젝터와 점화플러그가 헤드 중앙에 장착되는 분무유도방식 연소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연료 분사 압력별 연료 분사 시기와 점화 시기의 변경을 통해 연료 소비율과 연소 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적연료 분사시기와 점화시기를 선정하였다.

국내 뜸 요법 임상 실태 파악을 위한 면접조사 (An in-depth interview for use of moxibustion therapy in Korea)

  • 한창현;신미숙;강경원;강병갑;박선희;최선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5권1호
    • /
    • pp.85-97
    • /
    • 2008
  • Objectives : Moxibustion therapy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iental treatments in Korea. In this study, we operate the in-depth interview for use of moxibustion therapy in Korea. Methods :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consensus of acupuncture professors. The list of the Korean medical doctors with experiences more than 10 years is provided by the Association of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 30 Korean medical doctors who answered in the previous telephone survey that they use moxibustion therapy for more than 30 % of patients everyday. Interview survey with them were conducted by the well-trained interviewers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in medical researcher from 22th May to 28th June 2007. Results : Korean medical doctors prefer to use the moxibustion with moxa stick (83.9%). The most common treatment disease was musculo-skeletal disorder (28.9%), gynecology (14.1%), digestive disorder (28.6%). The most common treatment area was the abdomen (35.3%), back (22.5%), lower extremity (15.8%) and upper extremity (16.9%). Indirect moxibustion’s was as frequent as 73.5% of moxibustion method. The most common instrument for treating was mini-moxa of manufactured goods (39.3%). Most Korean medical doctors (48.8%) took up the position that bring symptom relief following good treatment area. 'High preferences of patients' (32.7%) was one of moxibustion strong points but 'Lots of smell and smoke' (54.7%)' was a weak points. The most common side effects was the 'slight burn' (34.9%), 'skin rash' (22.5%), 'skin pruritus' (23.8%) Conclusions : This survey provides unique insight into the perception of the Korea medical doctor at moxibustion therapy. Future research needs to provide more in-depth insight into doctor views of the experience.

  • PDF

미세수술을 이용한 발뒤꿈치 재건 (The Heel Reconstruction by Microsurgery)

  • 이광석;허창룡;김학윤;서정대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3권1호
    • /
    • pp.24-31
    • /
    • 1994
  • 저자들은 1980년 1월부터 1993년 5월까지 종골부위의 피부결손이나 또는 골결손을 동반한 연부조직 손상이 있었던 총 22례 환자에 대하여 유리피판술 또는 생골및 생피부편 이식술을 시행하고 최저 1년 이상 추시하여 다음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리 피부편의 크기는 최저 $7cm{\times}6cm$에서 최대 $28cm{\times}10cm$로 평균 $12.1cm{\times}9.2cm$였고, 유리 골편의 크기는 각각 $4cm{\times}3cm$, $5cm{\times}4cm$였다. 2. 재건술에 이용된 방법으로 유리 피부피판술은 족배 비판 11례, 서혜부 피판 2례, 전완부 피판 2례였고, 유리 피부근피판술은 활배근 피부근피판 3례, 대퇴근막장근 피부근피판 2례였으며, 골결손을 동반한 연부조직 손상인 경우 2례에서 생장골 피부편을 이식하였다. 3. 총 22례중 19례에서 유리편이 생존하여 86.4%의 성공율을 보였으며, 수술후 혈전증 2례와 감염이 발생하였던 1례에서 실패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발뒤꿈치의 연부조직 또는 골결손의 치료로서 미세수술을 이용한 유리편 재건술이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되며, 발뒤꿈치의 감각신경 회복에 대하여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가연물의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 측정 -주거 및 사무공간 가연물을 중심으로 (Measurements of the Heat Release Rate and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s for the Performance-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Combustibles in Residential and Office Spaces)

  • 남동군;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29-36
    • /
    • 2017
  • 가연물의 열발생률에 근거한 설계화원은 성능위주설계의 화재안전성 평가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성능위주설계에서는 국내 가연물의 화재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제한된 외국 문헌정보가 추가 검증이 없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능위주설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거 및 사무공간 가연물을 대상으로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4가지의 단일 및 다수 가연물에 대한 화재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가연물의 최대 열발생률은 36 kW~1,092 kW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화재성장률은 주거용 가연물이 $0.003kW/s^2{\sim}0.0287kW/s^2$이고, 사무용 가연물이 $0.003kW/s^2{\sim}0.0838kW/s^2$ 범위를 갖는다. 특히 소파는 최대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의 관점에서 가장 높은 화재 위험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가연물들의 최대 열발생률과 노출 표면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공간 내의 최대 열발생률을 산출하는 방법론이 제안된다.

액적 배열의 증발과 착화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Evaporation and Ignition of in-line Array Liquid Droplets)

  • 김충익;송기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7-47
    • /
    • 1999
  • 부유중인 분진의 화재 및 용기 또는 파이프의 미세한 균열에서 비산되는 가연성 액체의 분무화재의 위험성은 착화후의 고속 확산과 높은 열방출율로 인하여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험적으로나 또는 거시적인 관점의 해석으로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미시적인 관점의 해석으로서 분진 및 분무를 가연성 미세 액적으로 가정하여 그의 증발과 착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 단계로서 일열의 액적 배열을 계산영역으로 하여, 비정상 이차원 보존방정식들을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은 일반화된 비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였고, 화학반응은 Arrhenius의 법칙에 의하여 반응속도가 제어되는 일단계 반응을 고려하였다. 계산결과는 액적 주위의 온도와 반응물질의 농도분포를 시간에 따라 보여준다. 주위의 산소가 증발하는 액적의 연료와 섞이기 시작하고 착화 조건에 다다르면, 급격한 발열반응이 예혼합된 가스로부터 일어나기 시작한다. 최대온도 영역은 점차적으로 액적 표면으로 이동하며 최대온도는 착화이후 급격히 상승한다. 연료와 산소의 농도는 최대온도 영역 근처에서 최소값을 보인다. 따라서 착화순간에는 예혼합연소의 양상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에는 예혼합 가스의 소멸로 확산연소의 양상을 띠게 된다. 액적간의 거리는 중요한 요소로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부터 액적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착화지연 시간이 줄여들어 착화가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착화 후에는 최대온도 영역이 일열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중심부근의 산소가 먼저 소모되고 외부로부터의 산소공급도 화염에 의해 차단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번 연구로 미세적인 착화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되었고 추후 복잡한 배열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Rice Straw Amendment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Rice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Paddy Field

  • Lee, Sanghun;Bae, Hui-Su;Lee, Soo-Hwan;Lee, Kyeong-Bo;Noh, Tae-Hwan;Lee, Geon-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5-212
    • /
    • 2015
  • Farmers with forage barley (Hordeum vulgare L.)-rice (Oryza sativa L.) cropping system at reclaimed tidal lands burn crop residues to facilitate seedbed preparation or remove them for feed stoc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ce straw amendment and N fertilization on soil properties and N uptake of rice under forage barely-rice cropping system at reclaimed tidal paddy field. Rice straw was applied at the rates of 0, 2.5 and $5.0ton\;ha^{-1}$ and N was fertilized at 0, 100, 200 and $400kg\;ha^{-1}$.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fresh and dry weight of forage bare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rice straw. The amount of N uptake of rice at harvesting stage was $65.8-69.2kg\;ha^{-1}$ by the amount of rice straw amend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ice straw amendment levels. After harvesting the rice, the soil salinity decreased with rice straw amendment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forage barely and rice cultivation,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creased to $2.6-2.8g\;kg^{-1}$ and $3.2-3.5g\;kg^{-1}$, respectively. The amount of N uptake of rice at harvesting stage increased up to $82kg\;ha^{-1}$ in $400kg\;ha^{-1}$ N applied plots which were $37.8kg\;ha^{-1}$ higher than the control. Nitrogen fertilization decreased N recovery efficiency. The highest yield of rice was observed at $244kg\;ha^{-1}$ N fertilization level, but the optimum N level was estimated at $168kg\;ha^{-1}$ in order to keep the protein content of rice under 6.5%. Further researches on N uptake and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according to soil salinity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N use efficiency at reclaimed tidal paddy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