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b weight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셀레늄 처리 농도와 기간이 마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um Application Concentration and Periods on Growth in Garlic)

  • 윤형권;장성호;서태철;이지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6-351
    • /
    • 2006
  • 토양에 비료 형태로 투여한 셀레늄 농도와 처리기간이 마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셀레늄의 농도가 높고 처리기간이 길수록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셀레늄의 처리농도가 높고 처리기간이 길수록 3주 후 셀레늄의 함량은 구보다는 엽초에 많이 축적되었다 그러나 처리 6주 후에는 구>엽초>뿌리 순으로 셀레늄의 함량이 높았다. 셀레늄 처리 후 토양에 잔류하고 있는 셀레늄의 함량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통마늘의 CA저장 중 저장기체 농도에 따른 품질변화 (Effects of Storage Gas Concentrations on the Qualities of Garlic(Allium sativum L.) Bulb during CA Storage)

  • 강준수;홍경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8-263
    • /
    • 2001
  • 마늘을 $0^{\circ}C$에서 일반 대기 및 CA 조건 하에서 4개월 저장하면서 기간 및 조건에 따른 저장 중 마늘의 생리적 품질을 폭정하고 pungency와 fructan 등의 화학적 성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저장 중 마늘의 생리적 품질은 저장 조건에 대해서 큰 차이는 없었으나, CA 저장한 마늘이 일반 대기에서 저장한 마늘에 비해서 수분 감량이 더 많이 일어나 dry weight와 경도가 낮게 나타났다. 표면색은 저장 4개월에서 어둡고 진하게 변했다. CA 저장이 마늘의 발근은 억제하지 못하지만 발아율은 일반 대기저장에 비해서 약 50%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대기에서 저장한 마늘이 CA 저장한 마늘보다 더 높은 pungency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pyruvate는 산소 농도가 닻은 (1% $O_2$) CA 저장 조건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Fructan은 저장기간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fine sugar는 점차 증가하였다. 발아율이 높은 일반 대기 저장의 fructan 함량이 CA 저장의 경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20%의 이산화탄소 농도에서 저장한 마늘의 fructan이 가상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韓國産 산마늘 種子의 發芽와 種球의 休眠 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Bulb Dormancy in Korean- Native Allium victorialis L.)

  • 강치훈;홍정기;최병곤;방순배;박영학;한종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9-226
    • /
    • 2000
  • 본실험은 울릉도와 오대산 산마늘 자생종의 종자의 특성 및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종자의 발아 양상과 가온개시기에 따른 종구의 휴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자의 특성에 있어 모양, 색, 탈립성은 2개 자생종이 비슷하였으나 그 외의 형질에서는 달랐다. 천립중는 울릉도 자생종이 14.8g 으로 오대산 자생종에 비해 2.1배였다. 울릉도 자생종은 채종 즉시 파종한 처리에서만 발아하였으며 화학제 처리효과는 없었다. 또한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86%, 평균발아일수 42일, 발아계수 2.05이었으며, 저온유수 및 저온습윤혼용처리에서는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오대산 자생종은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70%,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0이었는데, 저온습윤 처리에서는 명장태에서 발아율 82%,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75로 광에 대한 반응이 달라졌다. 오대산 자생종 종구는 초상후 45일 이후가 되어야 휴면이 타파되어 가온개시시기로써 적합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온도에 따른 난지형 마늘 '남도'의 생육과 수확기 구생체중 모델 개발 (Growth and Fresh Bulb Weight Model in Harvest Time of Southern Type Garlic Var. 'Namdo' based on Temperature)

  • 위승환;문경환;송은영;손인창;오순자;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18
    • /
    • 2017
  •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 '남도'의 적정 생육 온도 구명과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구중 예측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온도처리는 주간 16시간 야간 8시간 처리로 $11/7^{\circ}C$, $14/10^{\circ}C$, $17/12^{\circ}C$, $20/15^{\circ}C$, $23/18^{\circ}C$, $28/23^{\circ}C$ 로 설정하였다. 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20/15^{\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온이나 저온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엽수와 총엽면적은 저온인 처리구가 고온처리구보다 생장이 느렸으나, 최종적으로는 최고온도인 $28/23^{\circ}C$을 제외하고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구의 생체중으로 6종의 함수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와 한계온도, 온도에 따른 구생장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는 $18{\sim}20^{\circ}C$이며 GDD 기본온도와 한계온도는 $7.1^{\circ}C$$31.7^{\circ}C$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수확기 기준 구생체중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온도구배터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선형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9.0~95.0%, 2차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7.2~92.3%, 로지스틱분포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80.0~95.8% 예측도를 보였다. 이중 가장 예측력이 좋은 함수는 로지스틱분포함수이며 생육적정온도와 한계온도도 잘 표현하였다.

다양한 생물반응기 형태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Bioreactors on Growth and Ginsenoside Accumulation in Ginseng Adventitious Root Cultures(Panax ginseng C.A. Meyer))

  • 김윤수;한은주;백기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49-253
    • /
    • 2004
  • 생물반응기의 형태에 따른 인삼부정근의 생장과 ginsen-side의 생산능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원형의 상부와 하부에 5 cm의 bubble column을 가진 bulb type bubble bioreactor (BU)에서 건물중은 41.92 g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cylindric tube bioreactor (CT)에서 건물중이 38.55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두 생물반응기의 초기 kLa 값은 BU 생물반응기에서 6.98 h$^{-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반대로 bubble column이 없는 CT 생물반응기에서 5.25 h$^{-1}$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기 kLa값의 차이는 부정근내의 이차대사산물인 ginsenoside의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U 생물반응기에서 bubble column의 길이를 기존의 5 cm에서 10 cm로 연장시켰을 때, 초기 kLa값이 6.52 h$^{-1}$에서 7.80 h$^{-1}$로 증가하면서 인삼부정근의 생장을 42.13 g에서 50.30 g으로 약 16%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Aluminum Nanoparticles Induce ERK and p38MAPK Activation in Rat Brain

  • Kwon, Jung-Taek;Seo, Gyun-Baek;Jo, Eunhye;Lee, Mimi;Kim, Hyun-Mi;Shim, Ilseob;Lee, Byung-Woo;Yoon, Byung-Il;Kim, Pilje;Choi, Kyunghe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81-185
    • /
    • 2013
  • Aluminum nanoparticles (Al-NPs)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nanomaterial in cosmetics and medical materials. For this reason, Al-NP exposure is very likely to occur via inhalation in the environment and the workplace. Nevertheless,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 of Al-NP neurotoxicity via inhalation exposu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AL-NPs on the brain. Rats were exposed to Al-NPs by nasal instillation at 1 mg/kg body weight (low exposure group), 20 mg/kg body weight (moderate exposure group), and 40 mg/kg body weight (high exposure group), for a total of 3 times, with a 24-hr interval after each exposure.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sence of aluminum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olfactory bulb (OFB) and the brain. In microarray analysis, the regu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activity (GO: 0043405), including Ptprc, P2rx7, Map2k4, Trib3, Trib1, and Fgd4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the treated mice than in the controls (p = 0.0027). Moreover, Al-NPs induced the activation of ERK1 and p38 MAPK protein expression in the brain, but did not alter the protein expression of JNK,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data demonstrate that the nasal exposure of Al-NPs can permeate the brain via the olfactory bulb and modulate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MAPK and its activity.

양파 정식기용 전용 상토에 적합한 상토 재료 선발 (The Selection Proper Materials to Develop Specialized Root Substrate for Working with Bulb Onion Transplanter)

  • 민병규;하인종;이종태;최시림;이상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0-105
    • /
    • 2016
  • 양파 정식기 작업에 적합한 상토 개발을 위해 원예용 유기질 주재료(피트모스, 코이어)의 적합성을 조사했다. 유기질 재료를 무기질 재료(황토 등)와 혼합하여, 묘 출현율, 생육 및 기계정식 적응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피트모스 혼합 처리구, 코이어 혼합 처리구 모두 묘 출현율, 생육 및 상토 용적밀도에서 유사했으나, 피트모스 혼합 처리구가 코이어 혼합 처리구에 비해 더 높은 상토 응집성을 보였다. 피트모스 혼합 상토의 높은 응집성은 양파 묘 정식 시 뿌리부 무게 증가 등의 효과를 가져와서 정식기 작업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양파 정식기 작업에 적합한 상토 개발 시 피트모스를 유기질 주재료로 선정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최종 판단하였다.

저장 마늘의 녹변현상에 관한 연구 (On the Development of Flesh Greening of the Stored Garlic)

  • 김동만;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0-55
    • /
    • 1990
  • 녹변현상을 나타내는 마늘의 주요 구성성분의 함량을 건전한 마늘과 비교하였고 녹변의 진행에 관련한 몇 가지 인자의 영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늘에 함유된 유기산 중 피르브산 및 숙신산, 아미노산 중 아르기닌, 지방산 중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은 녹변이 발생하는 마늘이 건전한 마늘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의 양상에 있어서는 45-66.2kd 부근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마늘의 녹변반응은 pH, 온도, 반응시간 및 에틸알콜농도에 의존성을 보였으며 pH 5.5의 완충용액에 현탁시켜 $5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시 녹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파 조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2' (Early Maturing Male Sterile Line of Onion (Allium cepa L.) 'Wonye 30002')

  • 김철우;이을태;최인후;장영석;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8-301
    • /
    • 2010
  • '원예30002'는 웅성불임계통으로 초형은 반개장형, 구색은 황갈색이며 도복기는 5월 6일로 비교적 도복기가 빠른 조생 계통이다. 초장은 43 cm, 엽수는 7매이며 엽초경과 엽초장은 각각 15.5 cm, 18 cm이다. 구중은 283 g으로 대구형이며 구형지수는 93으로 고구형 계통이다. 저장성은 중간정도이나 내한성이 강한 특성이 있다. 채종 특성으로 채종 모구의 개화기는 5월 24일이며 화경수는 3개로 비교적 적고 화구폭은 90 mm이며 100% 웅성불임이다.

도입(導入) 마늘구(球)의 인편(鱗片) 특성(特性) (Clove Characteristics of Bulbs of Introduced Garlic Strains)

  • 이우승;이하윤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1-9
    • /
    • 1991
  • 도입(導入) 마늘인 상해조생(上海早生)과 스페인계(系)를 대상으로 1990년산(年産)을 시장(市場)에서 구입(購入)하여 구중(球重)의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고 이들을 포장(圃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수확후(收穫後) 역시 구중(球重)을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구형(球型)은 두 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 일수록 편평형(扁平形)을 나타내었다. 2. 구당(球當) 인편수(鱗片數)는 구(球)가 큰것 일수록 인편수(鱗片數)는 증가(增加)하였으며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도 스페인계(系)는 상해조생(上海早生)에 비하여 구(球)당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3. 외층(外層)과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의 비교(比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은 1990년산(年産)의 외층(外層)에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이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의 구중(球重) 35g 이하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스페인계(系)에서는 1990년산(年産)의 구중(球重) 40g 이상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에서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외층(外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공시(供試) 두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일수록 외층(外層)에서나 내층(內層)에서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의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4. 일차인편수(一次鱗片數)와 총인편수(總鱗片數)의 차이(差異)는 두 계통(系統) 다같이 매우 적어 이차생장(二次生長)은 매우 적었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은 스페인계(系)보다 이차생장(二次生長)이 많은편 이었다. 5. 스페인계(系)와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0년산(年産)에서는 외층(外層)의 인편중(鱗片重)이 내층(內層)의 그것보다 뚜렷이 무거웠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1년산(年産)에서는 이러한 경향(傾向)이 뚜렷하지 않았다. 6. 두 계통(系統) 다같이 소구(小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좁고 대구(大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넓었다. 구(球)당 인편(鱗片)의 크기별 수의 빈도(頻度)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중간 크기의 인편(鱗片)에서는 그 빈도(頻度)가 많았으며 대구(大球)일수록 큰 인편의 수가 많았다.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이 스페인계(系)보다 인편(鱗片)이 컸다.

  • PDF